__ (2).jpg

 

어쩌지. 새해 벽두부터 우리 부부는 심각한 표정으로 마주 앉았다. 아기를 재워놓은 깊은 밤이었다. 어쩌지. 나는 한숨을 쉬었고 남편은 스마트폰으로 검색질을 시작했다.

 

그날 낮 아기는 동네 또래 친구들을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그러니까 생후 10~12개월의 친구들 말이다. 그중에는 앞으로 곤란이와 같은 어린이집에 다니게 될 여자아이도 있었다. 아직 잘 기지 못해 대부분 가만히 앉아 있는 여자아이의 얼굴을, 곤란이가 너무도 여러번 쥐어뜯었다. 귀엽게 묶어올린 머리도 자꾸만 잡아채려 했다. 여자아이의 엄마는 근심이 가득한 목소리로 내게 말했다. “언니, 얘네 같은 어린이집 보낼 일이 걱정돼요. 곤란이가 다른 아기 못 쥐어뜯게 교육 좀 해줘요.”

 

머릿속에서 쿵 하는 소리가 들렸다. 집에 와 가만히 되짚어보니, 곤란이가 이런 행동을 보인 것은 참으로 반복적이었다. 친정에 가서 동생의 아기를 만났을 때도, 회사 출산 동지들인 F4가 모였을 때도 곤란이는 항상 다른 아이들의 머리채를 쥐고 볼을 쥐어뜯고 옷을 잡아당겼다. 아아, 그런데도 나는 그때마다 “곤란이가 머리숱이 없다보니 다른 애들 머리카락이 신기한가보다” 등 헛소리를 해대며 웃어넘겼던 것이다. 그러는 사이 내 새끼는 친구들 사이에, 친구 엄마들 사이에 ‘요주의 인물’이 되고 만 것이다.

 

문제아 뒤에 문제 부모 있다고 떠들 줄만 알았지, 내가 그 문제 부모 가 될 줄이야. 얼굴이 화끈거린다. 맞다. 돌이켜보니 내가, 우리 부부가 문제였다. 곤란이가 태어나 가장 먼저 ‘쥐어뜯기’ 대상으로 삼은 이들은 당연히 우리였으리라. 그런데 우리가 그 행동이 버릇이 될 때까지 제대로 교육하지 않은 것이다. 아이를 교육 대상으로조차 보지 않아온 것인지도 모른다. 잘 자고 잘 먹는 순둥이라며 예뻐서 물고 빨 줄만 알았지 잘 자고 잘 먹은 덕에 우량해진 아이의 몸놀림이 다른 아이들에게 얼마나 위협적이었을지는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

 

내 눈에는 마냥 귀여워만 보였다. 포동포동 보드라운 손으로 힘주어 내 얼굴을 쥐어뜯을 때면 웃음이 나와 손가락에 입을 맞추기도 했다. 머리카락을 잡아채보라고 일부러 갖다 대주기도 했다. 가끔 손톱에 긁혀 내 얼굴에 상처가 나거나 맞고 보니 너무 아파 애한테 성질을 낼 뻔한 적도 있지만, 대개는 ‘아, 우리 아기가 이렇게 활동적으로 잘 자랐구나’ 싶은 생각에 즐겁고 또 즐거웠다.

 

이제 곤란이는 내 몸의 일부, 그저 보듬고 먹여살려야 할 내 새끼만이 아니로구나. 한 인격체로서 다른 이들에게 영향을 주고 또 영향을 받게 됐구나. 돌쟁이 아이에게 필요한 건 젖이나 기저귀만이 아니구나. 나는 이 사실을 비로소 큰 충격과 함께 깨우치게 됐다. 

 

이것저것 읽고 참고해보니 아이에게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일관되고 반복적으로 ‘쥐어뜯고 잡아채는 등 남을 아프게 하는 행동은 나쁜 것’이라는 사실을 설명해줘야 한단다. 그날 이후 매일 아이의 손을 잡고 타이르고 또 타이른다. 내 새끼가 이제 사람이 되려 한다. 엄마도 아빠도 변해야 한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임지선 기자
<한겨레21> 기획편집팀, 사회팀, <한겨레> 사회부 24시팀을 거쳐 현재 오피니언넷부에서 일하고 있다. “결혼 생각 없다”더니 한 눈에 반한 남자와 폭풍열애 5개월만에 결혼. 온갖 닭살 행각으로 “우리사랑 변치않아” 자랑하더니만 신혼여행부터 극렬 부부싸움 돌입. 남다른 철학이라도 있는양 “우리부부는 아이 없이 살 것”이라더니 결혼 5년만에 덜컥 임신. 노키드 부부’로 살아가려던 가련한 영혼들이 갑자기 아기를 갖게되면서 겪게되는 좌충우돌 스토리를 나누고자 한다.
이메일 : sun21@hani.co.kr      
블로그 : http://plug.hani.co.kr/sunny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99146/73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4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어른들은 왜 어린 아이들에게 돈을 줄까? imagefile [2] 홍창욱 2013-03-28 17929
74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결혼전 딸기여행, 결혼후 딸기체험 imagefile [7] 양선아 2013-03-27 33910
743 [김미영 기자의 공주들이 사는 법] 회사, 나의 힐링 캠프! imagefile [18] 김미영 2013-03-27 37684
74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드디어 끝난 7년 4개월의 모유수유 대장정! imagefile [17] 신순화 2013-03-26 27097
74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봄꽃이 떨어진다 imagefile [4] 홍창욱 2013-03-19 17514
74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반짝 반짝 빛나는 네 살! imagefile [14] 신순화 2013-03-19 21118
739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어린이집 입학을 신고합니다! imagefile [11] 김은형 2013-03-18 24689
73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에서 며느리살이,이보다 더 가벼울 수 없다 imagefile [7] 윤영희 2013-03-18 68469
73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22편] 결국~~~다 가버렸네~ㅠ.ㅠ imagefile [3] 지호엄마 2013-03-15 91239
73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들과 된장담근 날 imagefile [5] 윤영희 2013-03-13 23149
73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배움에 목마르게 하자! imagefile [4] 신순화 2013-03-12 20005
734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곤란해도 괜찮을 수 있나요? imagefile [3] 임지선 2013-03-11 18800
73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를 울린 엄마, 부엌에서 죄책감을 씻다. imagefile [3] 윤영희 2013-03-06 22324
732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나의 못난 찌질함을 반성합니다 imagefile [5] 김외현 2013-03-06 19234
73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를 기다리며 imagefile [2] 홍창욱 2013-03-05 17620
73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버려야 산다!! imagefile [5] 신순화 2013-03-05 20707
72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파트에서 주택으로 가는 길 imagefile [4] 윤영희 2013-03-01 26849
»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쥐어뜯어도 귀여운 줄만 알았네 imagefile [1] 임지선 2013-02-27 19991
72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남편보다 아이가 더 편한 불편한 진실! imagefile [7] 신순화 2013-02-26 48056
72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한일 초등학교 입학분투기 imagefile [2] 윤영희 2013-02-21 26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