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키우는 일이 너무 힘들고 절망적이어서 다 포기하고 싶은가?

 

책 속에서 이 문장을 읽었을 때,

마음 속으로 서슴없이 "네!!!"하고 소리치는 자신을 느끼며

한숨을 몰아쉬었습니다.

딸 둘을 키워보는 게  꿈이었던 제가

얼떨결에 아들과 함께 산 지 만 4년이 되었어요.

이젠 좀 요령도 생기도 마음을 많이 비웠지만, 지난 4년은 너무너무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고집이 말도 못하게 세고, 제멋대로이고 먹는 건 또 얼마나 밝히는지

혼자 많이 차지하려고 한꺼번에 입속 가득 꾸역꾸역 넣고는 욱.. 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한숨이 나요...  잘 먹는 만큼 힘도 세서 움직이는 순간마다 사건사고가 일어나곤 하는데 1kg가 가까운 꿀병을 들고 설치다가 제 발등에 떨어뜨려 응급실 실려갈 뻔 한 일이나, 장난치다가 제 얼굴이나 머리를 박아 눈이 빠질뻔 한 일이나...

그렇게 덩치도 크고 힘도 좋으면 다른 면의 성장도 빨라야 할텐데

말은 왜 그리 느린지, 배변 훈련은 진짜 밝히기 남사스러울 정도로 늦었답니다.

그래도, 다 이해합니다. 내 자식이니까.

그런데 아직까지 고쳐지지 않는 아들의 고질병!

*********** 기다리고 참는 게 안 돼요!!!!!!!!***************

아기 때 안 되는 건 당연한 거고 만 세 살 정도까지도 아직 어리니까 그렇다 치고, 열심히 이해시키고 달래면서 언젠간 될 거라고 믿고 있긴 한데, 아직도 여전히 고집불통.

외출을 할 때 전철을 타면, 타자마자 "아직이야?? 왜 이리 멀어???"

마트에서 장을 보러가면, 바구니 들자마자   "언제 끝나???  왜 안 나가???"

이런 식.  

유치원에 다녀오면, 같은 아파트 친구들이랑 밖에서 놀거나 친구집에 놀러가기도 하는데

집으로 돌아와 옷을 갈아입는 5-10분 정도의 그 짧은 시간도 못 참아 난동을 부리는데

그 현장은 대충 이렇습니다.

 

DSCN0825.JPG

 

잠이 많고 배고픈 걸 못 참는 성격이라

유치원에서 돌아오는 이 시간이 딱 배고프고 잠이 오는 타이밍이라 이해하려 해도

늘 이렇게 몸으로 진압?을 하지 않으면 진정이 안 될 만큼, 말로는 안 통합니다.

 

문제는 아들의 이런 모습을 식구들 외에 외부? 사람들은 잘 모른다는 거지요.

시댁에서도 가끔 보고는 깜짝깜짝 놀라시는데

유치원에서도 얌전하다고 하고 다른 엄마들에게도 늘 귀여운 이미지로만 기억되는

이중적인 아들의 모습..

 



유아는 무척 솔직하고 강렬하고 때로는 재미있게 감정을 경험한다.

그 중 가장 강렬한 감정은 분노로 만2세에서 3세 사이에 최고조에 달한다. 이 시기 막무가내로 떼를 쓰는 모습이 자주 목격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 ...

만약 아이의 분노 수준이 지나치다고 생각된다면 인터넷에서 '떼쓰기'를 검색해보라. 어쩌면 당신의 아이는 얌전한 축에 낄지도 모른다. 발달 중인 아이의 뇌에 한 차례 분노의 파도가 휩쓸고 지나가는 유아기에는 아이 스스로도 어쩔 도리가 없다.

 

책 속의 표현대로 '그토록 쉽게 산산조각이 나는 아이들의 마음'이란 말처럼

그런 게 아이들의 특징이란 걸 잘 알지만, 그래도 우리 아들은 해도해도 너무합니다.

어쩌면 유치원이란 집단생활을 시작하면서 알게 모르게 참고 있던 것들이 집과 엄마라는

익숙한 곳에서 폭발하는 것이니, 제대로 적응할 때까지 잘 설명해 주고 기다려주자 했지만

1년이 가까운 얼마전까지 점점 더 심해져만 가는 듯;;

그럴수록 다른 사람들과 유치원 버스 앞에서는 초얌전 모드.

 

DSCN0859.JPG

 

남들 앞에서는 저리 얌전한 척.. 순한 양이 되는  아들.. 어쩔 땐 얄미울 정도랍니다;;

 

아들의 친구가 되고 싶다는 바람에도 불구하고, 엄마들은 정작 자신의 태도는 전혀 바꾸려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문제의 원인은 자신이 아닌 아들에게만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엄마들의 태도는 대개 이런 식이다. 나 같은 컨설턴트의 말을 예의있게 잘 듣고 나서 "이야기는 잘 들었지만 나는 본디 그렇게 하지 않기 때문에 실천하지는 않겠다."라고 답하기 일쑤다.

엄마들의 이런 태도는 참으로 안타깝고 또 모순된 것이다. 자신의 현재 모습을 개선할 필요가 있단 걸 스스로 잘 알면서도 그에 필요한 변화는 거부하고 있는 셈이다.



책 속의 이 부분을 읽으면서 수많은 육아책을 읽어도 문제가 개선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이것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옳은 이야기란 걸 백만 번 공감해도 그에 필요한 변화, 노력은 결국 자신이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거니까요. 육아도 습관같은 거라서 자신만의 육아스타일을 하루아침에 바꾼다는 것은 보통 쉬운 일이 아니지요.

아들이 태어난 뒤로 많이 적응하긴 했지만

이 작가가 주장하는 말처럼, 남자 아이들이 느린 게 아니라 여자 아이들이 성장의 여러 부분에서 너무 빠르게 향상되기 때문에 아들들이 그렇게 보이는 게 아닐까 하는 말이 맞다 싶어요.

비교하지 않는다 하면서도, 툭하면

누나는 이맘 때 이랬는데, 이런이런 것도 했는데, 말로 모든 걸 이해했는데 -

그런 식으로 딸의 성장속도에 맞추려고 한 건 아닌가 반성을 많이 하게 됐습니다.

 

아들은 아들만의 방식과 속도가 있다는 것 - 더 많이 천천히 지켜보는 즐거움을 누려보리라 마음먹습니다. 떼쓰기와 고집은 여전하지만 그래도 점점 나아지고는 있으니까요.. 

아들을 다 키우고 나면 내 몸 속에서 사리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하면서^^

 

"고집불통에다 먹보에다 ,,  내가 너땜에 못 살아!"  

 

아들한테 이렇게 소리치고 있으면,

옆에 있던 딸아이가 시크한 목소리로 이렇게 말합니다.

"그래도 좋아하지?"

 

 

 

 

헉!   딸아이의 이 한마디에 엄청 뜨끔했다는;;

힘들어하는 만큼 이뻐서 물고빨고 하는 거, 첫째에게 안 들키려고 무지 노력했는데

다 들키고 말았네요;;^^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94883/b1b/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0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그림의 떡 아니 집, 구경이나 하지요^^ imagefile [5] 윤영희 2013-01-24 21315
70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남매 사진 속 추억이 방울방울 imagefile [9] 양선아 2013-01-24 19089
70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미각교육, 아빠의 욕심 imagefile [8] 홍창욱 2013-01-24 16771
70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어제는 '바비', 오늘은 '클라라', 내일은 뭐 할꺼니? imagefile [2] 신순화 2013-01-22 19654
»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엄마,아들을 이해하기 시작하다]를읽고/아들키우다가 몸 속에 사리생기겠어요! imagefile [7] 윤영희 2013-01-21 25101
70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겨울감성 가득한 윤동주의 동시^^ [2] 윤영희 2013-01-18 14580
699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내가 찾은 사교육비 대안 두가지 imagefile [1] 전병희 2013-01-18 15809
698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이제 나는 젖소, 젖 떼라니 싫소 imagefile [6] 임지선 2013-01-18 35769
697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나는 못된 엄마가 되겠다 imagefile [16] 김은형 2013-01-17 18289
696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소중히 길렀던 내 ‘육아 근육’은 어디에 imagefile [4] 김외현 2013-01-15 16510
69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의 또 다른 이름 ' 이모' imagefile [6] 신순화 2013-01-15 21531
69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스케이트장에서 생긴 일 - 세상이 아직 살만하다고 느낄 때 imagefile [1] 윤영희 2013-01-15 17271
693 [김미영 기자의 공주들이 사는 법] 큰집으로 옮긴 기쁨도 잠시…층간소음 문제될 줄이야! imagefile [2] 김미영 2013-01-11 26865
692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일하는 엄마도 비빌 언덕이다 imagefile [4] 김은형 2013-01-10 26580
691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예비초등맘의 분투기, 결론은 학원보다 대안 imagefile [3] 전병희 2013-01-10 14554
69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가 뿔났다 imagefile 홍창욱 2013-01-09 15967
68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1년만에 찾아 온 아들의 잠자리 독립!! imagefile [9] 신순화 2013-01-09 25924
68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엄마 교과서>- 베이비트리와 함께 읽고 싶은 책 윤영희 2013-01-08 14318
68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새해 "탈 아파트"소망, 이룰 수 있을까 imagefile [3] 윤영희 2013-01-07 17630
686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놀고싶은 애엄마, 송년회 분투기 imagefile [2] 임지선 2013-01-02 16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