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뇨가 보고싶어 하루에도 열 두번 영상통화를 거는 외할머니.

마침 단체여행이 있어 제주로 오셨다가 집에 며칠 묵으셨다.

첫 손자다보니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으신듯 자연스럽게 ‘뽀뇨 천재만들기’ 작업에 들어가신다.

 

아빠인 내가 봐도 신기하긴 한데 동화책을 펼쳐놓으면 모르는 동물이 없고 모르는 과일이 없다.

한번쯤은 손가락을 짚어 알려주긴 하였을 텐데 어떻게 그 이름을 모두 기억하는지.

할머니는 뽀뇨와의 대화를 110% 복원하여 “천재났다”며 하루에도 몇 번을 그대로 전해주신다.

장모님 이야기만 들으면 분명 뽀뇨의 천재기가 느껴지는데

실제 두 명의 대화를 옆에서 들으면 내 귀에 안들리는 것이 장모님께는 들리나보다.

천재 만들기는 대화를 넘어 뽀뇨의 잔머리(?)굴리기에서 빛을 발하게 되는데

잠을 안자기 위해 할머니 심부름을 시킨다거나

“할머니, 우리 아이스크림 먹을까?” 애교투로 한번 던지고 나면 모든 것이 게임셋이다.

 

며칠 동안 할머니와 뽀뇨 사이에 핑크빛 분위기만 돌았을까? 그렇지 않다.

뽀뇨가 음식을 흘리고 먹거나 옷을 아무렇게나 옷장에서 꺼내 어지러거나 하면

엄마아빠는 그냥 지켜보고 넘어갔는데 할머니는 있는 그 자리에서 바로 잡았다.

요즘은 부모앞에서 아이를 심하게 혼내면 그러지 말라고 조부모를 제지하게 되는데

(나또한 작년에 엄마가 뽀뇨에게 언성을 높이며 혼을 내어서 그 자리에서 제지한 적이 있다)

장모님은 어떤 부분에선 우리를 인정하면서도 다른 부분에선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해주셨다.

 

예를 들면 계단을 오를 때나 조금이라도 먼 거리를 걸어서 이동할 때 더 이상 뽀뇨를 안아주지 말라는 것.

혼자서도 계단을 잘 오르고 잘 뛰어다니는 뽀뇨인데 어찌된 일인지 며칠 전 할머니와 계단을 오를 때는

안 올라가겠다며 울고 섰다.

절대 안아주지 말고 앞서가라는 장모님과 그 자리에 서서 울며 버티는 뽀뇨.

모르는 채 하고 올라오기를 기다리는데 건물이 떠나갈 정도로 큰 소리를 울다가 결국엔 스스로 걸어 올라왔다.

 

주저앉아 펑펑 우는 아이를 보며 어릴 적 나도 저렇게 서글프게 울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다가

이제 안고 다니는 때가 지났다고 생각하니 많이 아쉽기도 하다.

안아달라고 할 때 많이 안아줘야 된다고, 그 이후에는 안아 줄려고 해도 도망간다고 하던데..

아이에게 정색을 하고 목청 높이되 화를 내지 않는 기술을 연마해가는 아내를 보고는

귀엽기도 하고 제법 엄마가 되어감을 느낀다.

 

할머니라는 또 한명의 가족이 며칠 동안 함께 한 사이

아빠놀이에 스스로 푹 빠져서 지낸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해본다.

아빠는 스스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의 관계에서 만들어지는데

그 역할에 너무 소홀한 것이 아닐까?

 

할머니 표현에 따르면 “말도 잘 하고 말도 잘 듣지 않는” 뽀뇨를

잘 키워보고 싶다.

 

<거의 처음으로 밖에서 떼를 쓰는 뽀뇨. 장모님은 모른체 하고 앞으로 가 있으라고 하셨다.

뽀뇨 "떼쓰기 기술"을 뽀로로앞에서만 하지 말아다오 ^^;>

*사진을 클릭하시면 "엄마 말타기"동영상을 보실 수 있어요.

떼쓰는 뽀뇨.jpg

 

우리, 블로그 밖에서도 만나요 (^^)/

+ 트위터 + 페이스북 + 유튜브 +핀터레스트 + 메일로 받아보기 + 팟캐스트 제주이민편 + 아빠맘대로 동화책읽기 + 내 소개 & 스토리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89396/69d/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6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나에게 주는 크리스마스 선물^^ imagefile [4] 윤영희 2012-12-07 19974
664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악역을 맡은 천사 imagefile [5] 김외현 2012-12-06 14368
663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돌잔치, 그걸 꼭 해야 하나요? imagefile [8] 임지선 2012-12-06 27881
662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추첨인생, 나도 국기에 대한 맹세 좀 해보고 싶다. imagefile [19] 전병희 2012-12-06 32538
66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애엄마에게 문화생활은 너무 먼 이야기..ㅠㅠ imagefile [10] 신순화 2012-12-05 17224
66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가족문화공간으로 진화하는 어린이서점 - 한국 / 일본 imagefile [1] 윤영희 2012-12-04 18070
65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30개월 아이, 어린이집에 보내야 할까 imagefile [8] 홍창욱 2012-12-03 16504
658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폴리 젓가락 찾아 삼만리 imagefile [10] 양선아 2012-12-03 17681
65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북카페와 마당과 동물이 있는 어린이서점을 아시나요? imagefile [12] 윤영희 2012-11-30 29897
656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17편] 뒤늦은 가을 소풍, 악어야! 입이라도 쩍 벌려줄래? 플리즈~ ㅠ..ㅠ imagefile [3] 지호엄마 2012-11-29 81900
65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의 어린이의료환경] 아이들이 아프면 지갑없이도 병원간다. [2] 윤영희 2012-11-29 17786
654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아이에게 제안하는 거래 imagefile [1] 김외현 2012-11-28 26966
65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과 나는 '만화'로 통한다!! imagefile [3] 신순화 2012-11-28 24082
65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사과한알 먹으면서도 방사능 걱정.. imagefile [3] 윤영희 2012-11-27 20016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손자 천재 만들기, 외할머니의 작업 imagefile [3] 홍창욱 2012-11-27 27536
65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이중언어환경에 대한 환상 - 조기영어교육 반대! imagefile [16] 윤영희 2012-11-22 28363
649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찬바람 쌩쌩, 아기 안고 승차거부 당한 날 imagefile [5] 임지선 2012-11-21 14300
64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애들 부려먹기.. 생각보다 힘들구나.. imagefile [3] 신순화 2012-11-21 16416
64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랑 광합성 할래요 imagefile [2] 홍창욱 2012-11-20 15657
64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세 가족이 함께 사과따고 왔어요! imagefile [3] 윤영희 2012-11-19 20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