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갈대.jpg » 가을갈대. 한겨레 자료 사진. 


둘째 아이가 태어났다. 그리고 우리 가족은 모두 힘들어졌다.


얼마 전 두 돌을 맞은 큰 아이는 동생을 못 잡아먹어서 힘들다. 엄마·아빠 사랑을 나눠야 하는 동생이 눈엣가시다. 너무도 미워서, 꼬집고 할퀴고 찌르고 싶은데 엄마·아빠는 못하게 한다. 요령을 부려본다. 엄마·아빠가 경계를 풀 만큼 한껏 웃는 표정으로 다가와, 일단 동생의 이마에 뽀뽀를 한다. 그리고 잽싸게 꼬집거나 할퀴거나 찌르고는 내뺀다. 동생이 생긴 큰 아이의 심리적 부담이 첩을 들이는 본처의 스트레스에 맞먹는다는 세간의 이야기는, 크게 보아 틀리지 않을 성 싶다. 나는 언젠가부터 큰 아이 있는 데선 작은 아이가 예쁘다는 소리도 함부로 못하고 산다.


작은 아이는 할 수 있는 의사표현이 앙~ 하고 울음을 터뜨리는 것밖에 없어 힘들다. 울음의 뜻은 배고픔, 졸림, 더움, 기저귀의 찝찝함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다. 사실 엄마 뱃속에서 배 밖으로 나오는 과정은 신에서 인간으로 강등되는 ‘일체개고’(一切皆苦: 모든 게 괴로움)라 할 만하다. 엄마 뱃속의 삶은 먹지 않아도 먹을 수 있고, 잠들지 않아도 잘 수 있고, 마렵지 않아도 쌀 수 있는 삶이다. 엄마 배 밖에선 때맞춰 먹어야 하고, 트림해야 하고, 싸야 하고, 자야 한다. 신이 인간이 됐으니 얼마나 힘들겠는가.


아내는 밤낮을 가리지 않는 수유 탓에 힘들다. 잠을 못 자니 두 눈이 퀭하다. 신경도 예민하다. 집에 있으며 보며 겪는 이 일 저 일 모두가 성질을 긁는다. 가사도우미나 육아도우미는 성에 차지 않는다. 프리랜서 생활의 요령을 익히면서 회사에선 자유로워졌지만, 머릿속 한편엔 경력 단절의 두려움이 가시지 않는다. 첫 아이 출산 뒤 원치 않는 퇴사를 했던 트라우마도 생생하다. 잠잘 시간도 없는 지금도, 언제든지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앞선다. 기회만 된다면 일하는 게 행복한 사람이다. 일하지 못하는 현실에 스트레스가 쌓인다.


나는 나대로 밖에서 일하느라 힘들다. 늦은 밤 퇴근해 집에 와도 제대로 못 쉬어서 또 힘들다. 그런데 나머지 셋 이야기를 적다보니, 솔직히 그보단 덜 힘들 것 같다. 어쨌든 그래서 넷 다 힘들다.


그러나 행복의 씨앗은 집안 곳곳에서 꽃을 피운다. 아기의 볼살이 오르고, 때마다 황금 똥을 싸고, 새근새근 잠드는 모습을 보며 힘들다는 생각을 잊는다. 일하던 도중에 아내가 두 녀석이 낮잠 자는 모습을 찍어 휴대전화로 보내오면 난 기분이 좋아서 어쩔 줄을 모른다. 아내도 마찬가지인가 보다. 오늘은 아내가 “둘째 자는 모습 보다가 살짝 셋째도 가져볼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 했다. 얼마 전 부양가족 셋의 이름이 찍힌 건강보험증이 집으로 왔을 때, 한편으론 부담이 없진 않았지만, 그래도 한 가족이란 뿌듯함이 앞섰다.


동갑내기 한 친구가 직장을 곧 관둘 거란 소식을 들었다. 두 아이의 엄마로 남편은 외국에 나가있는 상황에서 회사 생활이 쉽지 않기 때문이리라 짐작한다. 그는 첫 아이가 생긴 뒤 서둘러 결혼을 했다. 아이를 낳은 뒤 육아휴직을 냈다가 복직을 했는데 남편이 외국지사로 발령을 받았다. 남편이 국내에 온 새 둘째가 생겼고, 출산 뒤에는 다시 휴직하고 남편을 따라 외국으로 갔다. 그리고 복직 시점이 되어 결국 그렇게 결론을 내린 것 같다.


여름인가 싶은 5월 햇살 아래 누구에게나 힘든 출산·육아 현실을 새삼 깨달으며 생각에 잠긴다. 우리 인생의 봄날은 이렇게 가버리는 걸까. 아니면 같은 자리에 심은 행복의 씨앗이 우리는 몰랐던 꽃을 피우는 걸까.

 

** 이 글은 월간 육아잡지 <맘&앙팡>(디자인하우스) 2012년 6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김외현 기자
아이 둘의 아빠인 <한겨레21> 기자. 21세기 인류에게 육아는 남녀 공통의 과제라고 믿는다. 육아휴직 등으로 나름 노력해봤지만 역시 혼자 가능한 일은 아니며,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걸 어렴풋하나마 알게 됐다.
이메일 : oscar@hani.co.kr      
블로그 : http://plug.hani.co.kr/osca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86367/3f9/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4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 지브리의 어린이집, 에니메이션 성공보다 사원들의 복지가 우선 imagefile [8] 윤영희 2012-11-16 17658
64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깜빡했던 사후지급 육아휴직급여 오호라~ imagefile [5] 양선아 2012-11-15 20791
64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스트레스에는 갓구운 빵냄새가 효과적이라네요. imagefile [2] 윤영희 2012-11-15 15108
64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천사아빠는 밉상남편? imagefile [4] 홍창욱 2012-11-15 19724
641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이사 imagefile [5] 윤아저씨 2012-11-14 16581
64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 없는 2박 3일, 엄마만 신났다!! imagefile [2] 신순화 2012-11-14 25809
639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아들 둘…, 축복을 해달란 말이다! imagefile [10] 김외현 2012-11-13 21023
63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육아, 10년해도 여전히 힘들다.. [4] 윤영희 2012-11-13 15615
637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아기와의 캠핑, 곤란하지 않아요 imagefile [1] 임지선 2012-11-09 23144
63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의 어린이집 이야기 imagefile 윤영희 2012-11-09 20851
63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 노벨상 수상과 아이들의 과학교육 imagefile [8] 윤영희 2012-11-08 30063
63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막내 때문에 울고, 웃고... imagefile [6] 신순화 2012-11-07 20395
633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우리집 `강남 스타일' 배꼽이 떼굴떼굴 movie [11] 양선아 2012-11-06 17015
63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무엇이 아내를 춤추게 하는가 imagefile [8] 홍창욱 2012-11-06 16155
631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옷 한벌 갖춰입기 어려운 그대. 엄마라는 이름. imagefile [13] 전병희 2012-11-05 17259
63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 전업맘과 워킹맘이 함께 육아모임을 만들다! imagefile [6] 윤영희 2012-11-04 18887
62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 아파트의 공동부엌 이야기 imagefile [10] 윤영희 2012-11-03 30624
»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봄날은 간다? imagefile [1] 김외현 2012-11-01 24947
62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16편] 쌀쌀한 가을 날씨엔 뿌리채소로 유아반찬을~ imagefile [11] 지호엄마 2012-11-01 80336
62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의 육아는 아직 아날로그 감성시대 imagefile [3] 윤영희 2012-10-31 2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