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727_2.JPG


어릴 때부터 이상하게도 ‘배 째라’며 배짱을 부리면 일이 잘되곤 했다. 학교 시험기간에 시험범위까지 다 공부하지도 못해놓고, 에라이 모르겠다 배 째라, 하고 잠을 자버리면 다음날 되레 시험을 잘봤다. 대학생이 됐다는 낭만에 젖어 술에 젖어 아버지가 정해놓은 통금 시간을 넘겨 집에 들어갈 때, 혼나도 어쩔 수 없지, 체념하고 들어가면 아싸! 컴컴한 집 안에는 부모님의 낮게 코 고는 소리만 울려퍼졌다. 오히려 전전긍긍 노심초사한 날은 꼭 시험도 망치고 아버지도 거실 소파에 앉아 현관문을 노려보고 계셨다.


아기 낳는 일을 어디 중간고사 수학 시험이나 술 취해 늦게 귀가하는 일 따위에 비하겠느냐마는, 이번에도 느낌이 딱 그랬다. 갑자기 아기를 갖고, 뱃속의 아기를 낳아 키우기로 결심했을 때, 사람은 다 자기 먹을 밥 숟가락은 물고 태어난다는데 어떻게든 되겠지 싶었다. 비위가 상해 어린 조카 똥 한 번 못 치워주고 길거리에서 떼쓰는 아이를 보면 기겁하면서도 내 애는 어찌 키우겠지, 그랬단 말이다.


산후조리원에서 나와 아기를 데리고 집으로 온 첫날, 떨렸다. 이제 아기를 24시간 온전히 나와 남편이 돌봐야 할 터다. 특히 병원과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실에 아기를 맡겨놓고 푹 자던 밤 시간이 걱정이었다. 그런데! 반전이었다. 밤 9시쯤 젖을 먹고 잠이 든 아기는 깨지 않았다. 지금이 밤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듯이 7시간을 내리 잤다.


우연인가 했는데, 아니었다. 곤란이는 그렇게 밤잠을 잤다. 처음부터 7시간을 내리 자고 일어나 젖을 조금 먹고 2시간을 더 자는 패턴을 완벽하게 굳혔다. 한달 두달이 지나자 내리 자는 시간은 7시간에서 9시간까지 길어졌다. 밤잠을 자기 시작하는 시각은 저녁 8~9시였다. ‘육아 퇴근’이 있다는 것도 신기한데 퇴근 시간마저 거의 일정했다. 곤란이의 취침 시간이 점점 빨라져 칼퇴근을 해도 잠자는 아기만 보게된 지경이 이른 남편은 "네가 퇴근하고 싶어 강제로 애를 재운 것 아니냐"며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기까지 했다.


“네가 정녕 전생에 나라를 구한 게냐.” 밤잠 잘 자는 순둥이 곤란이를 보며 나와 함께 아기를 낳은 ‘F4’(지난호 참조)는 절규했다. 그런 그들에게 “아기가 일찍 자버리니 심심하다”는 말로 염장까지 지른 나는 나쁜 여자다.

 

잘 먹고 잘 자니 아기는 무럭무럭 살이 쪘다. 우량한 몸집을 하고는 방긋방긋 잘도 웃는다. "까칠한 네 뱃 속에서 어찌 이리 순한 아기가 나왔냐"며 놀라고 놀리는 이들도 여럿이다. 임신 기간동안 그렇게 기분이 좋더니만, 순둥이 아기가 뱃 속에서 매일 웃고있어 그랬나보다. 


‘곤란해도 괜찮다’고 했는데 엄마 처지에서 미안하리만치 순한 아기가 나왔다. 세상의 이치가 참으로 신기하다. 엄마가 잘 못 재워줄 것 같으니 아기가 알아서 잘 자기로 한 걸까. 이제는 되레 아기가 내게 말하는 것 같다. 엄마, 곤란해도 괜찮아.


아아, 이렇게 자식 자랑을 늘어놓는 것을 보니 나도 이제 팔불출 아들바보가 다 되었구나. 그나저나 이번 글에선 자기 자랑만 한다고 사람들이 싫어하면 어찌하나. 에잇 모르겠다, 배 째세요.^^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임지선 기자
<한겨레21> 기획편집팀, 사회팀, <한겨레> 사회부 24시팀을 거쳐 현재 오피니언넷부에서 일하고 있다. “결혼 생각 없다”더니 한 눈에 반한 남자와 폭풍열애 5개월만에 결혼. 온갖 닭살 행각으로 “우리사랑 변치않아” 자랑하더니만 신혼여행부터 극렬 부부싸움 돌입. 남다른 철학이라도 있는양 “우리부부는 아이 없이 살 것”이라더니 결혼 5년만에 덜컥 임신. 노키드 부부’로 살아가려던 가련한 영혼들이 갑자기 아기를 갖게되면서 겪게되는 좌충우돌 스토리를 나누고자 한다.
이메일 : sun21@hani.co.kr      
블로그 : http://plug.hani.co.kr/sunny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74439/10d/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65 [사진찍는 엄마의 길 위의 생각] 어느 일요일 아침 image [5] beanytime 2012-08-12 18242
564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산후우울 주범 ‘나홀로 육아’ imagefile [5] 임지선 2012-08-08 18740
56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한 밤중에 응급실, 주인공은 나!!! imagefile [2] 신순화 2012-08-07 20160
56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5일간, 병원휴가를 가다 imagefile [2] 홍창욱 2012-08-06 19940
561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나의 여름휴가 레서피, 나만 홀로 또 같이 imagefile [11] 양선아 2012-08-06 41609
56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방학에 대처하는 나의 사상과 투쟁 imagefile [9] 신순화 2012-07-30 17810
»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아, 내가 전생에 나라를 구했나! imagefile [14] 임지선 2012-07-26 43907
558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취학전 준비 번외편-아이의 여름방학 보내기 imagefile [5] 전병희 2012-07-26 20659
55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언니처럼 할래요!! imagefile [2] 신순화 2012-07-24 19147
55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의 747공약, 급조한 약속에 재미가 쏠쏠? imagefile [2] 홍창욱 2012-07-24 18111
555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공짜없다 imagefile [1] 윤아저씨 2012-07-18 15828
55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대안학교 첫 학기보낸 아들, 이렇게 변했다!! imagefile [6] 신순화 2012-07-17 18325
55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낯가림 타파? 뽀뇨 방송 출연기 imagefile [5] 홍창욱 2012-07-17 16766
552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육아남에게 마음을 열어주세요 imagefile [3] 김외현 2012-07-12 13852
551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취학전 준비, 실전교육법(3)- 영어! imagefile [3] 전병희 2012-07-12 14048
550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애 낳고 나니, 부질없네 부부싸움 imagefile [9] 임지선 2012-07-11 24349
54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리얼 다큐, '단독주택에서 살아남기'! imagefile [4] 신순화 2012-07-10 25573
54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그대와 함께라면 '세숫대야도 아쿠아다' imagefile [4] 홍창욱 2012-07-10 20943
547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아이 머리 감길 때 울리지 않는 나만의 필살기 imagefile [16] 양선아 2012-07-05 40088
54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산부인과 서비스, 나도 할 말 있다!! imagefile [13] 신순화 2012-07-03 29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