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즈 까페에서 노는 아이들.
전업맘 대 직장맘 간의 긴장은 엄마들 사이에 주요 화제다. 직장을 다니는 엄마들은 아무래도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며 육아 관련 정보를 모으는 시간이 부족하다. 반면 전업맘들은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있고 또 아이에 대한 열정과 에너지가 많아 육아 및 살림, 교육, 어린이집, 쇼핑 등등 각종 정보를 쭉 꿰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전업맘 상당수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어떤 형태의 정보든 전업맘 중심으로 공유를 하고, 전업맘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그 네트워크에 직장맘들은 낄 수가 없고, 소외감을 느낀 직장맘들은 직장맘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도 한다. 그렇게 해서 전업맘 대 직장맘이라는 대결구도가 발생하기도 한다.
육아 휴직을 하는 동안 나는 동네 아줌마들과 친해지려 노력했다. 원래 다양한 사람들과 얘기 나누는 것을 좋아하는데다, 기자라는 직업을 가지게 된 뒤론 누굴 만나든 10분 이내에 친해지는 노하우가 쌓였다고나 할까. 육아 휴직을 하는 동안 놀이터에서 만난 또래 엄마들에게 말을 걸어 육아 정보를 나눴다. 같은 동 아랫층에 사는 엄마들과 아이들을 우리집에 초대하고, 같은 어린이집에 보내는 엄마들 까페 모임에 가입해 글도 자주 올렸다. 그렇게 이런 저런 인연들을 만들었고, 그들과 꽤 허심탄회한 대화도 나눴다. 그러나 아이 딸린 엄마들인 만큼 애들과 함께 만나야 하기 때문에 개인 대 개인으로 자주 만나지는 못했고, 직장 복귀 뒤로는 더욱 만날 시간이 줄어들었다.
만날 수 있는 시간이 물리적으로 줄어들었는데도, 그들은 나를 직장맘이라 따돌리지 않았다. 나도 모르게 가지고 있던 `전업맘들은 직장맘들 따돌릴거야'라는 고정관념이 맞지 않다는 것을 요즘 나는 확인하고 있다. 그들은 오히려 내게 각종 공연·놀이 정보를 전해주고 항상 내게 용기를 준다. 어떤 모임에서는 지난해 연말 파티를 함께 하고, 어떤 모임과는 정기적으로 월차를 내 키즈 카페에 애들을 데리고 가 함께 논다. 또 내가 휴가를 못내면 엄마들이 아이들 노는 모임에 딸을 함께 참석하게 해 놀아주고 보살펴준뒤 집에 데려다주기도 한다. 또 어린이집 관련 취재를 할 때 어린이집에서 일어나는 각종 일들에 대해 알려주기도 하고, 기사 관련 아이템도 던져주는 엄마들도 있다. 심지어는 오늘은 전업맘 둘이 남대문 시장에 쇼핑하러 다녀오면서 다가오는 민지 생일 선물로 예쁜 티셔츠와 치마를 샀다며 카카오톡으로 사진을 보내왔다.
» 친한 엄마들이 준비했다고 알려온 민지 선물. 너무 예쁘다. 그 마음이 감사하다.
딸 생일이 다가오고 있어도 아무런 계획 없이 이벤트 구상 없이 일상을 이어가고 있던 내게 그들은 감동을 줬다. 가슴이 뭉클했다. 그 선물에 ‘필’이 꽂혀 2주 뒤 두 명의 민지 친구와 그 엄마들을 초대해 민지의 작은 생일파티를 열기로 했다. 바쁜 일상에, 전쟁같은 일상에 치여 자주 연락도 못하고 맨날 전업맘들에게 도움만 받는 내게 그들은 말을 걸어오고, 이렇게 민지 선물까지 준비해줬다. 나는 다시 한번 생각한다. 난 정말 인복이 많은 사람이라고. 나도 이들처럼 다른 사람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그런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내 곁에 있는 사람들에게 내 마음을 표현하고 작은 선물이나 고운 말을 통해 기쁨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당장 지나버린 친정엄마 생일과 남편 생일선물을 사러 가야겠다고.
» 친한 엄마들끼리 까페 하나 빌려 진행한 연말 파티. 탈 인형을 쓴 사람은 아는 엄마.
» 마술쇼도 하고 엄마들과 아이들이 게임도 하고 즐거운 파티였다.
지난 연말에 진행된 연말 파티때도 전업맘들에게 정말 고맙고 감사한 마음 뿐이었다. 그때 난 복귀한 지 얼마 안돼 긴장의 나날들을 보내고 있었다. 그래서 엄마 까페 모임에서 까페 하나를 빌려 파티를 연다고 할 때 나는 참석하겠다고 말만 했을 뿐 파티 준비를 할 때 아무것도 도와주지 못했다. 파티는 내가 예상했던 것보다 화려했다. 풍선 장식부터 포토존, 각종 게임 준비에 아이들을 위한 선물까지 하나의 큰 이벤트라고 해도 손색이 없었다. 소품 하나하나를 빌리고, 풍선 장식부터 탈 인형을 쓰고 아이들에게 마술쇼를 보여주고 게임을 진행시키는 것까지 모두 전업맘 중심으로 준비했다. 아이들은 너무 즐거워했고, 내게도 색다른 체험이었다.
직장맘인 내게 전업맘들은 든든한 동행인이자 정보원이다. 그들과의 소중한 인연을 잘 이어가야겠다. 인연을 잘 이어가려면 월차를 내거나 주말에 시간을 내 그들을 자주 만나고, 카카오톡이나 문자를 통해 대화를 나누고, 인터넷 까페에 글도 자주 올려 내 일상과 아이의 일상을 공유해야겠다. 또 그들에게 고마워하는 내 마음을 자주 표현해야겠다. 전업맘들~ 그대들은 나의 든든한 동지!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누굴 만나든 10분 안에 친해질 수 있는 나만의 노하우
1. 무조건 먼저 말을 건다. 말걸기, 친해지는 기본이다.
놀이터에서, 아니면 집 근처에서 아이와 함께 있는 부모에게 다가가 말을 건다. 엄마든 아빠든 가리지 않는다. 아이 연령대가 우리 아이와 비슷하면 더 좋다. 친구를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에. 말걸기는 친해지는 기본이다. 먼저 말걸어오기 기다리면 누구와도 친해질 수 없다. 아이가 있으니 말걸기는 의외로 쉽다. “몇 살이예요?” “아~ 정말 예쁘다. 이름이 뭐야?”“어린이집 다녀요? 어느 어린이집이요?”이렇게 말을 걸어 대화를 하다보면 친해질 수 있는 계기는 생긴다.
2. 핸드폰에 연락처를 저장해놓아라. 그리고 가까운 시일 내 또 만나라.
놀이터에서 잠깐 대화를 나눈 뒤 그냥 헤어지면 그 인연은 더이상 발전할 수 없다. 몇 분 얘기해보면 이 사람과 내가 양육방식이 비슷한지, 아니면 완전히 다른지는 알 수 있다. 만약 나와 잘 맞는 사람이라 생각이 된다면, 반드시 핸드폰 번호를 저장해놓아야 한다. 그리고 가까운 시일 내에 문자를 주고 받던지, 만나던지 하는 것이 좋다. 한번 만나고 연락 뚝 하는 사람과 누가 친해지고 싶겠는가. 집에 초대해 아이랑 함께 놀아도 좋고, 서로 책이나 교구, 어린이집 등등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좋다.
같은 어린이집 같은 반 엄마 연락처를 알아내라. 딸의 단짝 친구 도훈 엄마를 사귈 때도 난 연락처 얻기에 적극적이었다. 어린이집 원장님께서는 개인정보는 함부로 알려줄 수 없다고 하셨는데, 원장님께 “민지 엄마가 도훈 엄마와 통화하고 싶다고 전해주시고 제 연락처 도훈엄마게 알려주세요”라고 부탁드렸다. 그렇게 해서 도훈 엄마는 내게 전화를 했고, 아이들을 데리고 만나 함께 놀면서 우정을 쌓아갔다. 내가 이렇게 연락하면 다른 엄마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두려워하지 말자. 다 같이 아이를 키우는 엄마다. 나이도 중요치 않다. 친구가 될 수 있다.
3. 많이 웃고, 엉망진창 집안 모습이나 실수투성이 육아담을 공유하라. 남편욕이나 시댁욕 함께 하면 공감 백배.
육아는 너무 고되다. 사실 아이가 이쁠 때도 많지만, 아이를 키우다 보면 아이가 구속으로 여겨질 때도 있다. 엄마들끼리 친해질 수 있는 소재는 무궁무진하다. 남편과의 대판 싸운 일, 시댁에서 속상했던 일을 털어놓다 보면 언제나 공감할 소재는 많다. 공감을 하고 소통을 하면 친해지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만난지 얼마 안됐는데 개인사를 말하는 것은 이상해보일 수 있지만, 어느 정도 관계를 쌓은 뒤엔 공감할 만한 것들을 나누면 쉽게 친해질 수 있다. 또 완벽하게 정리된 집안보다는 엉망진창 집안의 모습을 보여주고, 실수투성이 육아담을 말하면 상대방이 나를 어렵지 않게 생각할 수 있다.
4. 육아 정보는 무조건 공유하라.
육아나 쇼핑, 교육, 책, 놀이 등 아이와 관련된 정보는 무조건 공유하라. 정보는 많이 공유하면 할수록 좋다. 모든 엄마는 육아 정보에 대한 갈증이 있다. 육아 사이트를 운영하는 나는 베이비트리 관련 정보나 각종 좋은 글 등을 엄마들과 공유한다. 엄마들 까페에 들어갔을 때 엄마들이 사진과 글을 올린 경우 나는 반드시 댓글을 단다. 댓글은 관심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누가 나에게 무엇을 물어온다면 최대한 성의를 다해서 답한다. 컴퓨터 앞에 있는 시간이 늘어 피곤한 것은 사실이지만, 사실 밤잠을 안자고 엄마들 까페에 들어가 댓글을 달기도 하고 글을 올릴 때도 있다. 적정한 선에서 건강을 해치지 않는 한에서 그런 수고로움은 감수해야 한다. 세상에 공짜는 없기 때문.
사실 누굴 만나든 10분 안에 친해질 수 있다는 나의 대책없는 자신감은 나 혼자만의 착각인 줄도 모른다. 상대방이 내게 마음을 쉽게 열어줘서, 또 우연히 그런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어 그랬는지도 모른다. 낯가림이 덜한 편인 내 성격 탓도 있다. 아무튼 전업맘들과 친해지려면 전업맘들과 친해지고 싶은 마음이 있어야 하고, 그들에게 마음을 여는 것이 가장 우선이다. 또 그들에게 내가 해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보고, 육아 정보든 잠시 다른 집 아이와 함께 놀아주기든 요리든 선의를 베풀면 좋다. 이 땅의 모든 엄마들이 서로에게 동지 의식과 연대감을 느끼며 행복해질 수 있길. ^^
양선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