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아내와 세 번째 유치원 면담을 갔다. 가족끼리 하는 유치원 행사가 있거나 선생님 면담이 있을 때는 항상 아내가 시간이 되는지를 묻는데 그럴 때면 항상 가능하다고 이야기를 한다. 스케줄을 확인하고 메모하고 나면 매주 스케줄을 확인할 때 항상 챙기는 편인데 아내는 내가 출근할 때 한 번 더 확인을 하는 꼼꼼한 스타일이다.

다른 유치원 행사가 있을 때는 안 그랬는데 나는 유독 선생님 면담 일정만 잡히면 사고를 쳐왔다. 그래봐야 두 번이긴 한데 아내가 두 번 째 면담 때에 화를 냈기 때문에 그 상황을 상세하게 기억한다. 상담은 오후 5시 즈음에 잡혀있었고 나는 제주시의 일정이 생각보다 일찍 끝나서 약간의 여유를 부렸던 것 같다. 보통 오후 5시 조금 지나서 퇴근을 하는데 오후 4시가 지나서 일이 끝났기 때문이다.

서귀포 집에서 서남쪽 대정으로 출근하여 다시 제주시로 향하는 바쁜 일정 속에 아이 유치원 면담이 머릿속에 까맣게 잊혀진 사이.. 막 제주시에서 서귀포로 넘어가는 성판악에 차가 지나가고 있을 때 아내에게 전화가 왔다. 어디냐고. 목소리가 심상치 않아서 이상했고 순간적으로 면담을 떠올리게 되었는데 차에 부착된 시계를 보니 집까지 20, 다시 유치원까지 10분 빠듯하게 달려도 부족한 시간이었다.

아내는 이미 내가 깜빡하고 있는 것을 눈치챈듯해서 미끄러지듯 성판악에서 차를 몰아 집으로 향했고 다행히 시간이 늦지는 않았다. 하지만 아내가 화가 났는지 다음부터는 절대 유치원 면담을 함께 가지 않겠다고 했다. 어떻게 이렇게 가정에 무심할 수 있냐며.. 시간이 한참 지난 후에 아내가 내게 안 되면 안 된다고 분명히 이야기를 해달라며 재차 속에 있는 말을 꺼냈다.

거절을 잘 못하는 내 성격 탓이기도 한데 일도 잘 하고 싶고 가정도 챙기고 싶은 것이 욕심이지만 바쁠 때 어쩔 수 없이 양보해야 하는 것은 가정이며 육아일 때가 많다. 그럴 때 일수록 아내가 이해를 해주는데 다 받아 주다보니 가끔은 선을 넘을 때가 있다.

왠만하면 수긍하는 아내지만 아주 화가 날 때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는 타입인지라 세 번째 유치원 면담 앞에서는 바쁜 일도 잠시 멈추고 집으로 달려왔다. 첫 번째 타임에 면담이 잡혀서 이른 시간이었지만 둘째와 함께 유치원에 들러 여유롭게 선생님을 기다렸다. 첫째가 친구 사귀기를 어려워 한다는 이야기를 직접, 자주 듣게 되는데 유치원에서의 모습은 어떨까 싶었다. 본인의 외모가 못생겨서 혹은 머리가 짧아서 친구가 없다는 이유를 들었을 때는 황당하기도 했는데 아이 입장이면 얼마나 유치원 생활이 어려울까 생각하니 아이의 고민이 내게 직접 전달되더라. 내가 괜히 친구 역할을 해주며 놀아준 것이 그런 결과를 가져왔나 싶기도 하고 어릴 때부터 어른들 노는데 자주 끼다보니 그런가 싶기도 했다. 동네 친구들도 사겨야 되는데 나는 직장이 멀고 아내 또한 동화창작에 바쁘다 보니 시간이 많이 나지 않는다. 그나마 함께 놀아줄 동생이 생겨서 다행이다 싶다.

주말에 시간이 나면 아내는 도서관에 나는 아이들을 데리고 밖으로 다닌다. 다행히 새로 시작한 정원공부모임에 아이들을 동행하는 것이 가능할듯하다. 어제는 따라비오름을 오르며 여러 식물의 종자를 모았는데 아이들과 함께 오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첫째와 용눈이 오름을 오른 것이 벌써 3년이 되었다. 제주 오름의 아름다운 억새가 지기 전에 아이들과 나서야 겠다. 집에 와서는 채종한 종자를 꺼내어서 정리하는 작업을 첫째와 함께 했다. 종자의 이름도 알려주고 다음 달에는 함께 파종을 하자는 약속도 했다. 두 아이와 함께 하는 정원공부를 기대하시라.

         

<광화문에 100만명이 모인날, 첫째와 나는 따라비오름의 식물 씨앗들을 정리했다>

 

근혜하야.jpg

 

 

#가막살나무 #쥐똥나무 #억새 #산마 #쑥부쟁이 #산부추 #수쿠령 #사스레피나무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91571/ce2/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4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만 네 살, 우리는 여전히 [11] 케이티 2016-12-13 100912
1744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0편] 전업맘이 되어보니 어때? imagefile [1] 지호엄마 2016-12-13 9465
174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우리집만의 12월 imagefile [2] 윤영희 2016-12-11 11753
1742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하늘이의 하늘 imagefile [1] 최형주 2016-12-10 10462
174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기대어 산다 imagefile [6] 신순화 2016-12-09 12593
1740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첫째가 아기가 됐다 imagefile [2] 박수진 2016-12-05 9458
173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여섯 여자 imagefile [1] 최형주 2016-12-02 13634
17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멕고나걸 교수의 주름에서 배우는 것들 imagefile [8] 신순화 2016-12-01 23219
173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돈 밖에 없는 빈곤 imagefile [3] 윤영희 2016-11-30 11003
1736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9편] 광화문 촛불집회를 다녀오니~ imagefile [6] 지호엄마 2016-11-29 43557
173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KBS 인간극장과 내 마음 속 촛불 imagefile [4] 강남구 2016-11-25 15970
173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아이 있는 집, 정리수납 도전기 1 imagefile [6] 양선아 2016-11-24 19010
173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지금 여기, 우리가 해야 할 일 imagefile [3] 케이티 2016-11-20 10943
1732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아빠도 주양육자가 될 수 있다 imagefile [2] 이승준 2016-11-18 11159
173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왜 늘 고통은 국민 몫인가 imagefile [4] 윤영희 2016-11-18 14028
173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시민들이 만든 어린이식당 이야기 imagefile [9] 윤영희 2016-11-14 14355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세번째 유치원 면담을 가다 imagefile [1] 홍창욱 2016-11-13 12041
172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가장 먼저 사랑을 해 imagefile [1] 최형주 2016-11-10 10476
172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금은 광장으로 나가야 할 때 imagefile [5] 신순화 2016-11-10 19406
1726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박근혜와 오래된 가방 imagefile [8] 강남구 2016-11-10 24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