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처녀적부터 엄마라고 불렸다. 봉순이 엄마, 반려견 봉순이 때문에 생긴 별명이다. 봉순이와의 인연은 10년 전, 내가 아름다운가게에서 일하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헌 물건을 기부 받아 파는 것을 업으로 하는 아름다운가게가 문을 열자, 별의별 물건이란 물건은 다 들어왔다. 그 중에서 가장 당황스러웠던 물건(?)이 바로 6개월된 슈나우저 한 마리였다. 처음에는 재미있는 이야기 거리라고만 생각했다. 그런데 간사들 사이에서 얼마 후 기부라는 이름으로 버린 건 아닌지, 아름다운가게에서 동물을 사고 팔아도 되는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다. 그 논의가 진행되는 동안 당시 사무실 죽돌이 신세였던 내가 자연스럽게 임시보호인이 되었다.

그때까지 나는 강아지를 키워본 적도 없고, 만져본 적도 없었다. 오히려 살짝 무서워하는 쪽에 가까웠다. 그런데, 정이 무섭다고, 며칠 밤(!)을 같이 보내자 우리는 이제 떨어지면 못 살 거 같은 사랑하는 사이가 되었다. 그 사이 아름다운가게에서는 동물은 사고팔면 안 된다, 잘 키울 수 있는 사람에게 입양을 시켜야 한다는 결론이 났고, 임시 보호인이었던 나에게 우선 기회가 주어졌다. 역시 내가 죽돌이 신세여서 우리는 주로 사무실에서 지냈다. 비닐봉지를 가지고 논다고 해서 봉달이라는 별명도 붙어졌다. 그런데 어느 날 한 순간의 실수로 봉달이가 행방불명되었다. 한 달 밤낮을 울며, 찾아 헤맸지만, 찾을 수가 없었다. 그렇게 눈물이 말라갈 무렵, 우리 사무실 앞에 또 한 마리의 슈나우저가 나타났다. 같은 슈나우저였지만, 봉달이가 아니라는 것을 한 눈에 알아봤다. 등에 있는 털이 듬성듬성 빠져있고, 피부에는 부스럼 같은 것도 덕지덕지 붙어있는 병이 들어 만지는 것조차 꺼려지는 유기견이었다. 병원에 데리고 갔더니, 피부병은 치유불가라는 판정까지 받았다. 병들어서 버려진 건지, 길에서 생활하다보니 병이 든 건지 모르겠지만, 보호가 필요한 아이였다. 상처의 경험이 있는 우리는 새로운 인연을 맺었고, 나는 '봉순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현재 서울시장이 된 당시 상임이사님은 내가 너무 울어서 하늘이 보내준 인연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정말 그런 거 같았다.

그렇게 우리는 10여년의 세월을 동고동락하며 같이 살아왔다. 중간 중간에 여러 가지 사건사고들도 많았지만, 가장 큰 위기는 내가 임신하면서부터다. 임신을 하자, 주위에서 다들 난리였다. 빨리 어디로 보내든지 팔든지, 어쨌든 없애라는 거였다. 강아지를 키우는 게 태아나 신생아에게 얼마나 위험한지 귀가 따갑게 들었다. 하지만 나는 차마 그런 결정을 내릴 수가 없었다. 한 생명을 위해서, 또 한 생명을 버린다? 내가 엄청난 철학이나 의식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 모순된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힘들었다. 그리고 나중에 우리 아이에게 너를 위해서 10년간 같이 살아온 반려견을 버렸다고 당당히 말할 수 있을까? 자신 없었다. 그건 남편도 마찬가지였다. 어쨌든, 우리는 한번 상처받은 봉순이를 또 상처 받게 할 수 없어서 주위의 편견과 핍박 속에서 봉순이와 함께 하기로 했다. 만삭이 될 무렵, 온가족 이민으로 버려지게 된 강아지 한 마리를 더 맡게 되었다. 주인집 할아버지의 반대로 친정에 맡긴 적이 있는데, 사람이 참 간사한 게 없으니까 참 편하고 좋았다. 그때 내 얄팍한 이기심을 마주하면서, 사람들이 온갖 핑계를 덮어씌우면서 반려동물을 버리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나중에 의사인 권지형씨가 쓴 <임신하면 왜 개, 고양이를 버릴까?>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이 이론적 근거가 되어 마음 한 켠에 남아있던 불안감이 해소되고, 위안을 얻을 수 있었다. 임신했다고 반려견을 버리는 일은 유독 우리나라만의 특이한 사회현상이라고 한다. 개와 고양이에 대한 잘못된 정보, 편견과 오해, 반려견에 대한 책임감, 함께 살아가는 존재에 대한 인식 부족 때문에 발생하는 일이다. 조금 더 일찍 읽었더라면 마음 고생이 덜 했을 이 책에는 반려동물과 함께 하는 임신, 반려동물과 임신에 대한 오해, 그리고 반려동물과 함께 하는 즐거운 육아, 반려동물 관련 안전사고 예방과 대처법에 대한 의학적 조언들이 담겨있다. 반려동물과 육아는 몇 가지 조심만 하면 얼마든지 함께 할 수 있는 것이고, 심지어 장점도 많다. , 어떤 사람들에게 장점이 아닐 수 있지만, 내 기준으로는 장점, 몇 가지만 들어보겠다.

첫 번째, 한참 동안 우리 애 개인기는 강아지 성대모사였다. 강아지 소리를 멍멍이라고 하지 않고, 정말로 비슷하게 강아지 소리를 내곤 했다. (굳이 발음기호를 쓰면 워워에 가까운데, 이 발음기호로는 설명이 안되는 소리로 목청을 울리고 입안에서 큰 공명을 통해서 나오는 소리다) 이건 필시 학습의 산물이 아니라 관찰과 흉내의 산물이었고, 나는 우리 아이의 차별화된 개인기가 정말로 자랑스러웠다.

두 번째, 우리 애는 동물을 무서워하지 않는다. , 고양이, 비둘기, 참새, 나비, 잠자리, 개구리, 개미, 지렁이 등 우리 주변에서 만나는 모든 동물을 좋아한다. , 예외적으로 모기는 질색한다. 한 번은 친구들과 양떼목장에 간 적이 있었다. 양에게 먹이를 주는 체험장에서 단연 두각을 드러냈던 인물이 우리 딸이다, 먹이를 줄 때 양이 손바닥을 핥기도 해서 큰 아이들도 먹이 주는 걸 꺼려했는데 우리 애는 아무 거리낌 없이 양들에게 다가가서 먹이를 주면서 양치기 소녀 같은 면모를 마음껏 과시했다.

세 번째, 우리 애는 봉순이를 동생으로 생각한다. 그러니까 한 마디로 자기보다 서열이 아래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래서 봉순이에게 말할 때는 톤부터가 다르다. 내가 자기한테 하는 그 말투를 그대로 따라 한다. 나쁜 말로 하면 하대하고, 조금 좋은 말로 훈계하는 게 느껴진다. ‘앉아에서부터, 짖으면, ‘시끄러워. 조용히 해야지라고 타이르기까지, 베란다 창문을 사이에 두고 둘간의 교감이 활발하다. 그리고 봉순이 밥도 간식도 챙겨줄 줄 안다.

우리는 헤어지지 않고 잘 살고 있다. 단, 아이가 있다보니 산책을 자주 못 시켜줘서 미안하다. 이제 열 살이 넘은 노견, 봉순이가 우리 아이와 마음껏 뛰어놀 수 있게 마당이 있는 집으로 이사가는 게 꿈이다. 빨리, 그 날이 왔으면 좋겠다.  

강아지.jpg » 참고로 사진 속 강아지는 봉순이가 아니라 남의 집 강아지^^ 강아지2.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김연희
30대 중반, 뒤늦게 남편을 만났다. 덜컥 생긴 아기 덕분에 근사한 연애와 결혼식은 건너뛰고, 아이 아빠와 전격 육아공동체를 결성해 살고 있다. '부자 아빠=좋은 아빠', '육아=돈'이 되어버린 세상에 쥐뿔도 없으면서 아이를 만났고, 어쩔 수 없이 '돈 없이 아기 키우는 신세'가 되었다. 처음엔 돈이 없어 선택한 가난한 육아였지만, 신기하게도 그 경험을 통해 가족, 친구, 이웃과의 관계를 풍요롭게 만들어가고 있다. 더불어 몸의 본능적인 감각에 어렴풋이 눈을 뜨 고 있으며, 지구에 민폐를 덜 끼치는 생활, 마을공동체에 재미를 들여가고 있는 중이다.
이메일 : tomato_@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slowlife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7373/27c/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42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3박 4일 고향행, 다섯 식구 대 이동!! imagefile [2] 신순화 2012-01-23 17511
424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야호~ 간신히...만2세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받아요~ imagefile [8] 지호엄마 2012-01-19 27484
423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돈, 시간, 살아가는데 필요한 힘 imagefile [20] 전병희 2012-01-19 15811
» [김연희의 태평육아] 한 생명을 위해 한 생명을 버려라? imagefile [13] 김연희 2012-01-18 25302
421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미스테리 imagefile [1] 윤아저씨 2012-01-18 14792
42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 아이 키우며 제일 힘든거? imagefile [4] 홍창욱 2012-01-16 18312
41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 아이 덕에 10년 째 딴 이불!! imagefile [3] 신순화 2012-01-16 25218
418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육아정책연구소의 5세누리과정 브런치파티를 다녀와서-1편 imagefile [10] 전병희 2012-01-16 15474
417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스마트폰 '요리 혁명' imagefile [10] 김태규 2012-01-16 50136
416 [김연희의 태평육아] 머리싸움 이제 그만 imagefile [2] 김연희 2012-01-13 15387
41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엄마는 외계인? imagefile [4] 홍창욱 2012-01-09 19526
41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 살 아들, 머리를 묶다!! imagefile [9] 신순화 2012-01-09 40015
413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중독 imagefile [8] 윤아저씨 2012-01-08 14363
412 [김연희의 태평육아] 이유식 없는 이유 imagefile [4] 김연희 2012-01-06 14952
411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우리 아이 방 꾸미기-집안 구석구석을 활용하라! imagefile 전병희 2012-01-05 20599
410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브루미즈 체험전 다녀와보니 imagefile [2] 양선아 2012-01-03 45447
40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신년특집선물] 구멍양말 콩쥐 imagefile [4] 홍창욱 2012-01-03 17626
40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내 첫 책, '두려움 없이 엄마되기' imagefile [15] 신순화 2012-01-03 71725
407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준비안된 엄마에게 온 생명력 강한 아기 imagefile [2] 임지선 2011-12-29 18160
406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폭력에 대처하는 어미의 자세 imagefile [14] 전병희 2011-12-29 20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