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등1학년이 된 둘째가 산수 문제를 풀다가

갑자기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엄마, 덧셈은 기쁘고 뺄셈은 슬픈 거 같아요."


어... 응? 그게 무슨 말이야?


"더하기는 점점 많아지고 빼기는 자꾸 없어지니까."


학교에 들어가서야 제대로 된 산수를 처음으로 배운 둘째 아이는

덧셈과 뺄셈의 결과를 기쁨과 슬픔이란 감정으로 연결해서 느낀 모양이다.

어쩌면, 자기가 좋아하는 과자 몇 개 + 몇 개 .. 몇 개 - 몇 개 ..

이런 식으로 연상해서 계산을 하던 습관 때문에 그런 생각을 했는지도 모르겠다.


무심코 흘리는 아이의 이런 한마디에 어른인 내가 멈칫 하게 되는 순간이 있다.

덧셈과 뺄셈이 기쁨과 슬픔 같다는 아이의 이 한마디도

이번 여름 내내, 나의 내면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었다.

더해서 많아지는 것은 정말 기쁜 것이고,

빼기로 없어지는 것은 정말 슬픈 것이기만 할까..


아이들은 어떤 대상이나 경험에 대해

직감적으로 느낀 것을 눈치보거나 망설이지 않고 표현하는 능력이 있다.

가끔은 그 표현들이 너무 신선하고 본질적인 것에 닿아 있어

깜짝깜짝 놀랄 때가 많은데,

초등 저학년 시기는 그런 시절의 완성기이자 절정기가 아닐까.


학교에 입학하면서 환경과 인간관계의 범위가 좀 더 넓어진 둘째가

지난 1학기 동안, 무심코 지나치듯 한 말들 중에서 두고두고 생각나는 것들이 참 많다.

숙제를 하다가 갑자기,


"엄마, 연필이랑 지우개 중에 누가 더 힘이 셀까?"

... ...

연필과 지우개는 학교생활을 시작한 아이들에게 가장 친근한 물건들인데,

큰아이인 딸을 키우면서는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말이어서,

둘째의 그런 질문이 엄마인 나에게는 약간 당황스러우면서도 무척 신선했다.

(아들을 먼저 키운 엄마들은 반대로 딸들의 언어에 뒤늦게 눈뜨는듯^^)

학용품에 대해서도  힘과 비교의 관점으로 먼저 인식하는 둘째의 질문은,

학용품에도 '화성 아들 금성 딸' 이론이 성립되나..? 하는 생각이 들게 했다.


또, 어느날은 옥수수를 삶아먹으려고 아이들과 껍질을 벗기고 있는데

둘째는 또 이런다.


"옥수수는 도대체 몇 겹이나 입은거야? 여름인데 왜 이래?"

... ...

진짜 그러네.. 대충 세어도 옥수수 껍질은 대여섯겹은 보통으로 싸여있으니.

너무 맛있으니까, 곤충이나 새들로부터 자기몸을 보호하려고 그런걸까..?

옥수수 몇 개에서 나온 수북히 쌓인 껍질을 보고는

'자기가 다 이렇게 많이 입은거냐'고 또 묻는다.

아니.. 글쎄.. 옥수수 본인(?)이 그랬다고 해야하나..

자연이 그랬다고 해야하나..?!

암튼, 올여름은 옥수수 먹을 때마다 이런 식의 대화가 이어졌다.


블루베리와 연관된 에피소드가 또 하나 있다.

텃밭에서 얻어온 블루베리를 식구들끼리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때,

아빠랑 누나가 블루베리가 눈에 좋다는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얼마전부터 안경을 쓰기 시작한 딸에게 너가 젤 많이 먹어야 한다며 엄마아빠가 말하자,

잠자코 듣고 있던 둘째는,


"블루베리는 눈이랑 닮아서 눈에 좋은 거구나~"


응?? 

아.. 그러고 보니, 블루베리가 까만 눈동자랑 닮았네!

그다지 특별한 발견이랄수도 없는데,

블루베리랑 눈동자를 연관시켜 생각해본 건 아들 덕에 이번이 처음이었다.

두 아이가 똑같은 1학년을 보내도 생각하고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게

엄마인 나에게는 여전히 신기하고 새롭다.


덧셈과 뺄셈,

연필과 지우개,

옥수수와 옷,

블루베리와 눈동자.


이 뒤를 잇는 둘째의 새로운 어록은 또 무엇이 될까.^^




DSCN5173.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01434/113/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42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만 세 살, 드디어 때가 왔다 imagefile [4] 케이티 2015-08-24 12816
142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요리꽝 엄마, 요리광 딸 imagefile [8] 양선아 2015-08-24 14637
»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딸의 어록, 아들의 어록 imagefile [9] 윤영희 2015-08-23 13490
142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며느리도 자란다 imagefile [6] 신순화 2015-08-18 11259
1421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친정엄마, 영원히 미안한 내 엄마 imagefile [5] 윤은숙 2015-08-14 23868
1420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힘내자, 내 손목! imagefile [13] 최형주 2015-08-13 14711
141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세살의 야구 imagefile [2] 신순화 2015-08-13 10868
141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어떤 아빠로 남을 것인가 imagefile [5] 홍창욱 2015-08-13 11947
1417 [너의 창이 되어줄게] 여름마다 자라는 아이 imagefile [14] rashaim74 2015-08-12 15779
1416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imagefile [20] 안정숙 2015-08-12 13554
141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페파피그(Peppa Pig) 육아법: 엄마도 아빠도 같이 놀자 imagefile [17] 케이티 2015-08-11 20915
141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꽃과 함께 크는 아이 imagefile [10] 윤영희 2015-08-09 16052
1413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소년, 야구인생 최대 위기 imagefile [3] 김태규 2015-08-07 26025
141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며느리의 휴가 imagefile [7] 신순화 2015-08-05 17647
141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집밥' 엄마용 심야 식당 어디 없소? imagefile [4] 윤영희 2015-08-05 21364
1410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고생해도 괜찮아, 그것도 여행이야 imagefile [6] 양선아 2015-08-05 13308
1409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소셜 마더링’에서 소셜의 의미 [5] 케이티 2015-07-31 12290
140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 아이가 방학 했다!! imagefile [5] 신순화 2015-07-28 10404
1407 [김명주의 하마육아] 비타민가득 철분가득 영양제의 대습격 imagefile [3] 김명주 2015-07-27 14226
1406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낳은 정, 기른 정 imagefile [3] 안정숙 2015-07-26 15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