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yeon01.jpg


얼마전 둘째의 소풍날을 까먹었다. 


유치원에서 가정통신문도 오고, 문자도 왔다. 그래도 소용없었다. 

머리에 오징어 먹물을 한바가지 뒤집어 쓴 것처럼 까맣게 잊었다. 


그날은 여느 날과 다르지 않았다. 나는 바지, 윗도리, 양말, 책가방이 날라다니는 아침 전쟁터에만 온통 신경이 쏠려있었다. 무사등교라는 최종목표를 향해 화차처럼 돌진했다. 


그리고 비교적 무사히 아침 등교가 끝났다. 출근시간 무려 10분전에 도착해 상콤한 아침을 시작했다. 무언가를 잊어버린 것 같은 찜찜함도 없던, 하필 그렇게 속없이 명랑한 날이었다. 


그런데, 아침 10시 유치원에서 전화가 왔다. 전화를 끊고 나서는, 내 한숨이 땅을 뚫었다. 그만 내 머릿통 위로 거대한 꿀밤이라도 날리고 싶었다.  


전화를 하신 둘째의 담임 선생님은 머뭇거리며 나에게 물으셨다. 


"어머니, 수연이가 오늘 소풍이에요. 혹시 잊으셨나요?"


지난 저녁, 외부미팅을 할 때 왔었던 문자가 그제서야 눈 앞에 떠올랐다. 난처했다. 둘째의 당시 상태를 듣고 나자, 난처함은 더 말도 못해졌다.  


"아침에 친구들이 김밥이랑 과자를 자랑하는 걸 보고, 수연이가 많이 당황했어요. 그리고 엄마가 안챙겨준 걸 알고 서운했나봐요. 너무 의기소침해져 있어요."


소풍날, 아침부터 색색의 김밥과 과자로 유치원에 젖과 꿀이 흘렀던 그 날. 

나의 아기, 둘째는 젤리 한 봉 없이 광야에 서있었던 것이다.  


광야에 서서 허허로웠을 아이의 마음을 떠올리자, 밤송이 같은 죄책감들이 뱃속을 굴러다녔다. 


다행히 둘째의 선생님은 임기응변의 달인이셨다. 엄마가 회사에서 과자랑 김밥을 보냈다는, 뭔가 마법적인 해결책을 내셨다. 그리고 아이는 유치원에서 준비해준 먹거리로 소풍을 다녀왔다. 


다섯살 인생, '눈치 백단' 불여우 스킬을 이미 터득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던 딸이다. 멋진 임기응변에도 찜찜함을 완전히 버리지는 못한 것 같다고 선생님이 살짝 일러주셨다. 


의심을 해소해야한다. 퇴근하자마자, 나는 딸에게 활짝 웃었다.  "엄마가 보낸 것 잘 먹었어?" 연극의 종지부를 찍었다. 그러자 아이는 얼굴을 환하게 펴며 "맛있었어" 하고 안겼다. 


아, 나는 너무 황송했다. 


내 손에 닿는 말랑하고 통통한 엉덩이가, 내 볼에 닿는 부드럽고 달콤한 입술이. 엄마 사랑해라는 아이의 그 말이. 그리고 아이의 그 순진한 믿음이.   

  

둘째는 그야말로 순풍에 돛단 배와 같이 자라준 아기였다. 네살 때 잠깐의 반항기가 있었지만, 길지 않았다. 잘먹고, 잘자고, 잘싸는 황금 삼박자는 물론, 꼼꼼함과 사교성까지 갖췄다. 


질풍노도, 파괴지왕, 호기심 대마왕 등 화려한 별명을 달고 다녔던 오빠와는 확연히 달랐다. 신은 나를 버리지 않았다는 것을 굳게 믿게해준 아이였다. 그래서 나는 기꺼워하며 '안심'했다. 


그러나, 이번 '빈손 소풍'을 통해 나는 깨달았다. 나의 안심은 어느새 무심으로 변해있었다는 것을. 이번 소풍뿐만 아니라, 크고 작은 여러 일들에 있어 나는 확실히 둘째에게 소홀해져 있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올해 들어 첫째의 입학은 나의 관심을 온통 먹어버렸다.   


만약 첫째의 소풍이어도 나는 까먹을 수 있었을까? 스스로에게 던진 물음에, 나는 쉽게 답하기가 힘들었다. 


"어머니, 뭐든 잘 알아서 하는 아이에게 신경이 덜 써지는 건 어쩔 수 없죠. 그래도 관심은 기울여주세요. 아이들은 다 알아요. 그리고 그 서러움이 나중에 한꺼번에 터질 수 있어요."


유치원 선생님 말씀이 그 날 이후로도 문득문득 떠올랐다. 그랬다. 안심과 무심의 거리는 생각보다 멀지 않다. 자칫 잘못하면 안심에서 무심으로 넘어가버린다. '관심'이라는 울타리가 언제나 필요한 법이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은숙
31살에 처음 엄마 세계 입문. 지금까지도 끝이없는 힘이 딸리는 육아의 신비에 당황하며 살고있다. 인성교육을 목표로 삼고 있으나 마음속 지킬엄마와 하이드엄마 사이에서 매일매일 방황한다.현재는 스스로를 육아무림에서 수련을 쌓고 있는 수련생으로 설정, 특유의 근거없는 자신감으로 언젠가는 고수에 등극할 날이 있으리라 낙관하고 있다. 2011년에서 2014년 여름까지 중국에서 아이를 키웠으며, 현재는 한국 서울에서 '자칭' 날쌘돌이 9살 아들, 제1 반항기에 접어든 6살 딸과 기상천외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이메일 : rimbaud96@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laotzu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74318/f0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36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7주 남편 없는 하늘 아래 imagefile [2] 케이티 2015-06-01 10568
136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나를 위한 두 시간. 진작 이럴 걸! imagefile [2] 최형주 2015-05-31 9532
136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딸들 덕에 나는야 공주 엄마 imagefile [2] 신순화 2015-05-31 27346
1362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아이의 무서운 학습 능력 imagefile [2] 김태규 2015-05-31 9094
136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집에서 만들어 먹는 일본 가정식 imagefile [3] 윤영희 2015-05-29 12576
1360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관중도 없는 각본 없는 드라마 imagefile [6] 김태규 2015-05-29 40745
»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안심과 무심, 그 멀지않은 거리 imagefile [12] 윤은숙 2015-05-28 14345
1358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아들녀석과 야구 시리즈 1달, 안 봐줘도 졌다 imagefile [4] 김태규 2015-05-27 27131
1357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짬짬육아 시즌2를 시작하며 [3] 김태규 2015-05-26 24727
135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현민'꽃 피어난지 100일 imagefile [6] 최형주 2015-05-26 9006
135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두 엄마 이야기: 누가, 무엇이 아이의 행복을 결정하는가 image [6] 케이티 2015-05-26 11791
135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세살 아들, 밉다 미워!! imagefile [2] 신순화 2015-05-22 11800
1353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딸아, 너의 가시가 되어줄게 imagefile [4] 양선아 2015-05-21 32904
1352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하늘이의 웃음을 기다려 imagefile [2] 최형주 2015-05-20 8611
135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1학년을 부탁해!! imagefile [6] 윤영희 2015-05-19 18299
1350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신발이 닳도록, 카르페 디엠 imagefile [12] 케이티 2015-05-18 12159
134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집이 아이를 키운다 imagefile [13] 윤영희 2015-05-16 17460
134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이렇게 즐겁고 행복한 영어공부라니... imagefile [9] 신순화 2015-05-15 51355
134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퍼즐맞추기 잔혹사 imagefile [1] 홍창욱 2015-05-15 9905
1346 [김명주의 하마육아] 이 뜨거운 순간, 곰남편은... imagefile [5] 김명주 2015-05-14 33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