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자의 아침>이란 김소연 시인의 시집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깊은 밤이라는 말은 있는데

왜 깊은 아침이란 말은 없는 걸까.


또, 아놀드 로벨의 동화 <눈물 차>에는 아침에 대한 이런 표현이 있다.


모두들 잠을 자는 바람에 아무도 보지 않는 아침들


잠이 많은 내가 '아침'이란 단어에 이렇게 민감해진 건, 아이를 키우면서부터다.

새벽 6시부터 눈을 번쩍 뜨고 일어나  "엄마, 나가자."를 외치던 큰아이 때문이기도 했고

임신 때마다 입덧이 너무 심했는데, 그나마 새벽부터 오전까지가 속이 좀 편할 때라

밤에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 하루를 시작하는 일이 30대 이후에는 얼떨결에 습관이 되어버렸다.


큰아이가 학교에 입학한 뒤부터는 더더욱 아침이 하루를 시작하는 중요한 시간이 되었는데

일본 초등학교는 등교시간이 8시부터 8시 20분까지 정해져 있는 탓이다.

올해는 작은 아이까지 입학을 해,

두 아이가 학교갈 준비를 마치고 집을 나서는 시간은 7시 40분.

엄마인 나는 최소한 6시 30분부터는 일어나 준비를 해야하고, 일이나 학교 모임 등의

스케줄이 있는 날은 훨씬 더 일찍 일어나 여러가지를 챙겨야 한다.


그래선지 일본 엄마들의 하루는 참 빨리 시작된다.

주택으로 이사온 뒤로는 이웃집들의 빨래가 너무 잘 보이는데

아침 7시 쯤에 내가 빨래를 널려고 2층 베란다에 나가보면

앞집, 옆집할 것 없이 벌써 수많은 빨래가 널려있는 걸 발견하게 된다.

큰 세탁기 2번은 돌렸음직한 양인데 그럼 저 엄마들은 도대체 몇 시에 아침을 시작한 걸까!


아놀드 로벨의 표현대로, 잠자느라 보지 못한 아침이 주는 기운과 풍경은

날마다 겪으면서도  볼 때마다 참 신비롭고 감사한 마음이 저절로 들게 한다.

서둘러 아이들 뒤치닥거리를 하고 빨리빨리만 외치며 흘려보내기가 너무 아쉬워

조금이라도 일찍 일어나 단 15분이라도, 나만의 아침을 누릴 수 있었으면.. 싶다.

정해진 일만 해내기에도 빠듯한 우리 일상은 어쩜,

'저녁이 있는 삶'보다 더 어려운 게 '아침이 있는 삶'이 아닐까.


이 좋은 아침에, 어느 누구보다 아침의 기운을 많이 받아야하는 아이들이

눈도 안 떠지는 얼굴을 하고 아침밥을 먹는둥마는둥 집을 나서며

하루를 시작하게 하고 싶지 않아, 늘 궁리를 하게 되는데

큰아이의 초등 입학 이후 지금까지 쭉 해오고 있는

우리 가족의 <아침이 있는 삶>을 위한 몇 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학교를 마치고 집에 오면, 숙제와 다음날 준비물은 바로 챙겨둔 뒤 간식을 먹는다.

2. 잠들기 전에 아침 시간을 보내는 거실과 식탁 위을 미리 정리해 둔다.

3. 저학년은 9시30분, 고학년은 10시 이전에는 잠자리에 든다.

4. 아침밥 먹는 시간은 7시 - 7시 30분, 일어나는 시간은 스스로 정해도 좋으니

   되도록 7시까지는 준비를 마치고 식탁에 다같이 모여 먹는다.

   각자 오늘 하루 할일을 이야기나누고 서로의 하루를 응원해 주는데

   기분좋게 일어나 스스로 준비를 제시간에 마친 사람에게는

   아침식사 후, 달콤한 후식을 먹을 수 있는 특권을 준다.

   (초콜릿 몇 조각이나 딸기 등의 달콤한 과일)

  

DSCN4666.JPG

새봄, 새학기의 아침.
아이들도 엄마인 나도 계절의 변화와 환경의 변화를 동시에 겪으며
우왕좌왕, 좌충우돌하는 요즘의 아침은 낭만적이지도 그리 아름답지도 않다.
밤을 지나 아침에 다시 만나는 아이들이 늘 사랑스럽기만 한 것도 아니고
걱정과 불안과 피로와 짜증으로 시작하는 아침은 가끔 지겹거나 끔찍할 만큼 두려운 시간이다.

하지만, 이런 때일수록 나는 아침을 더 내가 원하는 시간으로 만들고 싶다.
몸이 편찮으신 친정아버지 걱정에 잠을 못이룬 어느날 새벽,
제철인 완두콩을 까서 냄비에 밥을 지으며 서서히 밝아오는 아침을 맞이해 보았다.
마음이 복잡할 수록 손과 몸을 쓰고, 그렇게 만들어진 한 끼의 밥을
식구들과 나눠먹으며 다시 기운을 내 본다.


DSCN4662.JPG


매일 아침 7시 40분.

함께 집을 나서는 1학년과 6학년.

이 두 아이가 자라 어른이 되면 모든 사람들이

지금보다 더 넉넉하고 행복한 아침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이 될까...?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61081/9e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345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학교 밥에 운 초짜 초등생 imagefile [21] 양선아 2015-05-13 18808
1344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밀당의 고수, 꼬리 없는 여우 imagefile [13] 안정숙 2015-05-12 15096
134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고마워, 꼬마 니콜라 imagefile [6] 케이티 2015-05-11 14074
134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도 어른도 가끔은 이벤트가 필요해^^ imagefile [3] 윤영희 2015-05-09 14700
134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네 손이 내 손 만큼 커질거라니! imagefile [2] 최형주 2015-05-08 10048
134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모두가 함께 하는 작은 학교 운동회 imagefile [5] 신순화 2015-05-07 26490
133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목마 탄 숙녀에 손목이 삐었다 imagefile [2] 홍창욱 2015-05-07 13356
13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어린이날엔 어린이를 돕자! imagefile [3] 신순화 2015-05-05 13927
1337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5월, 엄마 아빠의 오지랖을 꿈꾸다 imagefile [6] 케이티 2015-05-02 13713
133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남편이 말했다. "머리를 길러야겠어." imagefile [4] 최형주 2015-04-30 10579
133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재난과 어린이 imagefile [2] 윤영희 2015-04-29 10426
133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달빛 이불 imagefile [4] 최형주 2015-04-28 11146
1333 [김명주의 하마육아] 언어천재의 탄생 [6] 김명주 2015-04-28 36756
133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두 살의 무규칙 철인 3종 놀이 imagefile [6] 케이티 2015-04-26 9704
133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집 우체통에 딱새가 살아요!! imagefile [4] 신순화 2015-04-22 15697
»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침이 있는 삶 imagefile [4] 윤영희 2015-04-21 13929
1329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끝없는 아픔, 끝까지 함께 imagefile [8] 윤은숙 2015-04-20 13045
1328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길가에 꽃을 심는 사람 imagefile [6] 안정숙 2015-04-20 11820
132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피아노, 아이들이 겪는 첫 번째 좌절?! imagefile [11] 윤영희 2015-04-18 20862
132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자유 참외 imagefile [3] 최형주 2015-04-18 13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