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2.JPG » 한겨레 자료 사진

드디어 9와 4분의 3 승강장이 열렸다. 

물론 수민이가 다닐 학교는 호그와트 마법학교는 아니다. 집에서 고작 5분 거리의 작은 초등학교다. 

그러나 부엉이와 마법 지팡이만 없다뿐이지 입학식의 분주함과 어지러움 그리고 설렘과 초조함 교차하는 것은 호그와트 마법학교나, 이곳 초등학교나 다르지 않은 듯하다. 축하의 인사가 오가고. 담임선생님, 같은 반 친구에 대한 탐색이 오갔다. 한껏 차려입은 꼬마들, 그리고 선생님의 말씀을 놓치지 않기 위해 긴장하는 부모들.

(개인적으로는 정규 교육과정을 포함해 내 생애 선생님의 말을 가장 경청했던 순간이었던 듯 같다. )


사실 최근 나의 신경은 온통 3월 2일 초등학교 입학식에 쏠려 있었다. 잘할 수 있을까, 나의 아들은?


잠들기 전 바라 본 천장 위에는 온갖 나쁜 수민이들이 가득했다. 교실에서 난동을 부리다 혼나는 수민이. 친구와 싸우다 소리를 지르는 수민이. 성질부리다가 친구들에게 따돌림 당하는 수민이. 선생님에게 시시해요라고 불평하다 찍혀버리는 수민이. 수업시간에 슬그머니 일어나 돌아다니는 수민이.


이상하게도 다시 첫아이를 임신한 초기로 돌아간 듯 했다. 그때는 주변에 다 임산부만 보였다. 길 가다 보면 이상하게도 임산부가 많았다. 이렇게 주변에 임산부들이 늘어나면서, 이와 관련된 뉴스와 이야기들도 갑자기 늘어난 듯했다. 


그리고 동시에 ‘걱정도 팔자’ 클럽에도 가입했었다. 산부, 초보엄마들의 커뮤니티에서 주워듣게 되는 수많은 우려와 걱정의 글들에서 나는 몹쓸 시뮬레이션을 여러 번 돌렸다. 


당시의 나를 생각하면 괜히 측은해진다. 인터스텔라의 인듀어런스 타고 가서 ‘다 소용없어’라고 모스부호라도 날려주고 싶을 정도다. (내가 모스부호를 모른다는 건 함정)


그러나 역시 지나간 시절에 교훈을 못 얻는 나다. 아들의 초딩 입문을 앞두고 나는 다시 비슷한 증상들에 시달렸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자 주변에 갑자기 초등학교에 아이를 보내는 엄마들이 늘어났다. 요즘 아이들 수가 많이 줄었다는데, 괜히 내 주변엔 초등학생도 갑자기 늘어난 것만 같다.


언제 어디서건 초등학교 교육이나 요즘 초등학생에 대한 안좋은 이야기가 나올 때는 귀가 한 5배 정도는 커져서 이야기들을 엿듣곤 한다. 


‘걱정도 팔자’ 클럽의 재가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선생님과의 미묘한 관계를 제대로 컨트롤 못해서 아이의 초등학교 생활 전체를 망쳐버린 엄마 이야기. 1학년 때 만난 무서운 선생님 때문에 고학년까지 손톱 뜯어먹는 버릇이 생긴 아이 이야기 등등. 듣고 있자면 나는 또 괜히 불안하고 초초하다.


사실 지난 12월 나는 다시 이사를 했다. 한국에 돌아온 지 6개월만의 갑작스러운 이사였다. 아이들은 다시 유치원을 옮겨야했다. 적응을 잘해주기만을 기도했다. 


그런데 보름전 쯤 두달 다닌 유치원의 원장선생님께서 면담을 요청하셨다. 요지는 수민이가 걱정되신다는 것이었다. 다른 아이들에 비해 배려심, 집중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말씀하셨다. 학교에 가서 돌봄교실에 맡기는 것보다는 1:1 돌보미를 쓰는 것이 어떻겠냐고 말씀하셨다. 가슴이 덜컹 내려앉았다. 공들인 다고 들여서 키웠는데, 직장까지도 그만 두면서 아이의 안정에 신경을 썼는데, 모든 것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온 느낌이었다. 사실 요즘 들어 수민이의 언행이 거칠어진 듯해 신경이 쓰이던 차였다.


나 때문인가? 문득 다시 나를 탓하는 질문이 솟았다. 내가 직장일을 시작한 시기와 묘하게 맞물린 수민이의 행동변화에 나는 다시 아득함을 느꼈다. 슬프고 묵직한 눈으로 아이를 다시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나의 정성과 희생을 몰라주는 것같은 아이에 대한 원망도 삐죽이 나왔다. 그게 자꾸 나를 찔렀다.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지인들에게 물었고, 가족들에게 물었다. 그리고 나에게도 물어보았다. 아이와 이야기도 조금 더 나누어 보았다. 물론 당장 눈앞에 해결책은 없다. 그러나 언제나 그래왔듯이, 나는 다시 나에게 기대본다. 잘될거라는 무한긍정 파워 원적외선을 돌려본다. 매일매일 최선을 다해 걸어가다 보면 출구는 보이리라. 일단 첫번째로 내가 꺼내는 긍정 파워는 '믿음'이다. 아이에 대한 걱정하기 보다는 아이를 믿고, 장점을 더 키우려고 노력하자! 마음 속에 믿음 포스 불어넣기로 했다. (무언가 간절히 원하면 온우주가 그 소원을 들어준다는 지 않은가. 퐈이아!!!!)  


사실 아이에게 지금 당장 달라지라고 다그치고 잔소리를 해봐야 수민이와 나 모두에게 상처만 는다는 것을 나는 매일 느낀다. 마침 내 눈에는 잔소리를 들을 때 청소년의 뇌가 멈춘다는 내용의 기사도 들어온다.(그렇지만, 느껴도 행동으로 옮기기엔 쉽지 않다. 가슴 속에 차오르는 '욱' 을 가라앉히기란 얼마나 힘들던가!!!!) 그 와중에 주변의 지인과 친정 엄마를 비롯한 많은 이들 역시 지금의 수민이는 예전보다 많이 나아졌다고 용기를 주었다. 나는 일단 이 작은 변화에 기대본다. 사실 입학식에서 수민이는 제법 오래 앉아있었다. 물론 시간이 없는 와중에도 운동장에서 더 놀겠다며 땡깡을 부리다 입학식 후반부에 가족 모두는 눈물이 몰아치는 폭풍의 언덕을 넘나들고 말았지만 말이다.


아들은  요새 정말 듣기만 해도 구린내가 나는 이상한 엽기 노래를 입에 달고 산다. ‘아침마다 생각나는 후라이 X튀김. X사 밥에 비벼먹는 하이라이스’ 나의 아들이 초딩 월드에 입문하려고 한다는 전주곡이리라. (그런데 도대체 이런 노래의 원작자는 누구일까. 멜로디도 제법 멀쩡하다.)  신나서 엽기 노래를 흥얼거리는 아들을 바라보며 나는 속으로 말한다. 나는 너를 믿을 거야. 그게 네 엄마인 나의 지금 선택이야. 걱정보다는 그걸 하려고 노력할 거야. 물론 아직도 흔들리는 나의 눈에 건배를.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은숙
31살에 처음 엄마 세계 입문. 지금까지도 끝이없는 힘이 딸리는 육아의 신비에 당황하며 살고있다. 인성교육을 목표로 삼고 있으나 마음속 지킬엄마와 하이드엄마 사이에서 매일매일 방황한다.현재는 스스로를 육아무림에서 수련을 쌓고 있는 수련생으로 설정, 특유의 근거없는 자신감으로 언젠가는 고수에 등극할 날이 있으리라 낙관하고 있다. 2011년에서 2014년 여름까지 중국에서 아이를 키웠으며, 현재는 한국 서울에서 '자칭' 날쌘돌이 9살 아들, 제1 반항기에 접어든 6살 딸과 기상천외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이메일 : rimbaud96@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laotzu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39968/9a9/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305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45편] 엄마 가슴이 남자같아 imagefile [1] 지호엄마 2015-03-19 13692
130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의 시, 아빠의 마음 imagefile [1] 홍창욱 2015-03-17 13289
1303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초등1학년 아들의 첫꿈…발칙하게도 보통사람 imagefile [7] 윤은숙 2015-03-16 19006
130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엄마의 행복이 모두의 행복: <카트>에 <빵과 장미>를 싣고 [9] 케이티 2015-03-13 9769
1301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44편] 엄마도 어렵구나 imagefile [5] 지호엄마 2015-03-12 10808
1300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날 뜯어 먹고 사는 놈들 imagefile [10] 최형주 2015-03-12 10667
1299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두 번째 맞는 화순댁의 산골마을 봄 이야기 imagefile [7] 안정숙 2015-03-11 14421
129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이제 나 좀 놔줘~ imagefile [5] 신순화 2015-03-11 16358
129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어두운 등잔 밑…엄마들의 재발견 imagefile [6] 윤영희 2015-03-09 17304
129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코를 뚫었다. 출산을 일주일 앞두고. imagefile [9] 최형주 2015-03-06 11698
129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겨울왕국' 육아 필수품: 커피, 맥주 그리고 비타민 D [6] 케이티 2015-03-05 11209
129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이렇게 설렐 줄이야.. 막내의 유치원 입학! imagefile [5] 신순화 2015-03-04 13999
»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초딩복음 1장 1절-믿는 학부모에게 복이 있나니 imagefile [2] 윤은숙 2015-03-03 15892
129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교본, 아들이 말하는 아버지이야기 imagefile [1] 홍창욱 2015-03-02 10465
1291 [김명주의 하마육아] 보험, 일단 가입은 하였소만... imagefile [4] 김명주 2015-03-02 10724
1290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요즘 바다의 최고 간식, 다시마! imagefile [7] 최형주 2015-03-01 11626
1289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다르지만 같은 지구촌 자장가 image [10] 케이티 2015-02-28 15807
128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 초등 입학에 임하는 엄마의 자세 imagefile [5] 윤영희 2015-02-27 12794
128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마흔살 아빠, 둘째의 걸음마에서 인생을 배우다 imagefile [1] 홍창욱 2015-02-23 11648
128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 며느리들의 제사상 imagefile [6] 신순화 2015-02-23 20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