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 수유하면 드러눕고 토하는 누나 
엄마와 광화문 주말 나들이로 마음 풀리려나

148034166214_20161129.JPG » “동생 밥 주지 마.” 포효하며 드러누운 큰아이. 큰아이와 나는 ‘무언가’가 되기 위한 번데기의 시간을 보내는 걸까. 박수진 기자
“밖에 나가려고 하니 자꾸 눈물이 나.”

큰아이 눈에 눈물이 맺혔다. 막 낙엽이 떨어지던 때였다.

드디어 시작됐다. 첫째가 어린이집에 가지 않겠다고 떼쓰기 시작했다. 큰아이도 힘들 것이다. 취재 일정이 아침 일찍 잡히는 때를 제외하면 조금 늦은 출근을 할 수 있는 덕에 큰아이는 나와 함께 9시~9시30분쯤 어린이집에 등원해왔다.

그러나 동생이 생긴 뒤부터는 아빠가 출근하는 시간인 8시, 우리 집 기준으로 새벽 댓바람에 집을 나서야 한다. 느긋하게 아침 먹는 여유도, 요즘 최고의 낙으로 떠오른 바다 탐험 만화 ‘××넛’ 한 편 시청도 불가능해졌다. 그림책 <동생이 곧 태어날 거야> 주인공의 질문 ‘엄마, 동생한테 그냥 오지 말라고 하면 안 돼요?’를 이제 온몸으로 이해하는 것 같았다.

두어 번 울고불고 떼쓰더니 전략이 바뀌었는지, 마음이 바뀌었는지 4살이 아니라 14살의 눈빛으로 무장하고 나를 쳐다보며 애절하게 반복했다. “엄마, 밖에 나가려고 하니 자꾸 눈물이 나는 것 같아.”

나는 그 눈빛에 홀랑 넘어가 ‘에라, 모르겠다’의 심정이 됐다. “그래, 그럼 하루 쉬자.” 첫째는 동생이 태어나길 학수고대해왔다. 온 동네에 ‘×월×일에 동생이 태어난다’고 광고해서 놀이터에서 만나는 친구 엄마들, 어린이집 선생님들 모두 둘째의 출산 예정일을 (본의 아니게) 기다렸다. 동생이 태어나 병원과 산후조리원을 거쳐 집으로 돌아온 뒤에는 “동생이 보고 싶어서” 놀이터도 건너뛰고 집으로 왔다. “누나가 얼마나 보고 싶었는 줄 알아?” 같은 닭살 멘트도 날렸다. ‘허니문’은 2주도 채 가지 않았고 첫째는 자기도 동생처럼 어린이집이 아닌 집에 있고 싶은 눈치였다.

어른 하나에 44일 영아와 43개월 유아의 한나절은 44일 영아가 잘 자준 덕에 생각보다 무사했다. 다만, 첫째의 이상행동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는 마치 감시자처럼 나와 아기를 통제했다. 급기야 둘째 밥 먹는 시간까지도. 때가 돼서 수유하려고 하자 “밥 주지 마”를 연발하며 벌렁 드러누워 울어대기 시작했다. “내가 주라고 하면 줘.” 절규했다. 44일 아기도 이에 질세라 ‘밥 먹겠다’고 울어댔다.

새로운 증상도 나타났다. 요구사항을 말하던 첫째가 기침을 콜록콜록하더니 ‘우웩’ 하며 약간의 음식물을 게워냈다. 그리고 말했다. “엄마, 나도 토했어.” 잘 토하는 동생이 부러웠던 것인가. 토할 때마다 닦아주고 등을 토닥여주는 모습이 부러웠을지도. 그렇다고 구토까지 ‘의지’로 해낼 줄이야.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이집 저집 첫째들의 다양한 증상이 생각났다. 어느 집 첫째는 수유 시간마다 옷에 오줌을 싸서 엄마를 혼비백산케 하고, 어느 집 첫째는 원인 모를 통증 호소에 응급실을 밥 먹듯 가고….

아이가 보는 곤충책에는 성충이 되기까지 캄캄한 땅속에서 애벌레와 번데기의 모습으로 1년여를 보내는 곤충들의 한살이가 등장한다. 육아하느라 이 기막힌 시절에 촛불 한번 못 들고 집에 꽉 매여 있는 나도, 새 가족을 받아들이는 일에 즐거움만 있는 게 아니라는 걸 알아가며 몸과 마음을 갈아엎고 있는 큰아이도, 모두 번데기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주말엔 둘째를 맡기고 첫째와 광화문에 나갈 생각이다. 번데기끼리 ‘즐거운 동맹’을 맺는 시간이 되었으면.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는 아이 둘을 키우는 박수진 기자의 육아 칼럼입니다. 

(*이 글은 한겨레21 제1139호(2016.12.5)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박수진
서른여덟에 두 아이의 엄마가 된 뒤 육아휴직 중이다. 선택의 기로에서 갈팡질팡하다가, 결정적 순간에 감정적으로 휙 저지르고 보는 스타일. 일도, 육아도 그렇게 해서 온 식구가 고생하는 건 아닌지 또 고민하는 ‘갈짓자 인생’. 두 아이의 엄마로서, 좋은 기자로서 나를 잃지 않고 행복하고 조화롭게 사는 방법이 있다면 그건 뭘까, 그 길을 찾는 것이 지금의 숙제다.
이메일 : jin21@hani.co.k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677891/5ab/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4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만 네 살, 우리는 여전히 [11] 케이티 2016-12-13 100913
1744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0편] 전업맘이 되어보니 어때? imagefile [1] 지호엄마 2016-12-13 9465
174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우리집만의 12월 imagefile [2] 윤영희 2016-12-11 11754
1742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하늘이의 하늘 imagefile [1] 최형주 2016-12-10 10462
174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기대어 산다 imagefile [6] 신순화 2016-12-09 12593
»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첫째가 아기가 됐다 imagefile [2] 박수진 2016-12-05 9458
173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여섯 여자 imagefile [1] 최형주 2016-12-02 13635
17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멕고나걸 교수의 주름에서 배우는 것들 imagefile [8] 신순화 2016-12-01 23219
173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돈 밖에 없는 빈곤 imagefile [3] 윤영희 2016-11-30 11003
1736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9편] 광화문 촛불집회를 다녀오니~ imagefile [6] 지호엄마 2016-11-29 43557
173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KBS 인간극장과 내 마음 속 촛불 imagefile [4] 강남구 2016-11-25 15971
173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아이 있는 집, 정리수납 도전기 1 imagefile [6] 양선아 2016-11-24 19011
173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지금 여기, 우리가 해야 할 일 imagefile [3] 케이티 2016-11-20 10944
1732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아빠도 주양육자가 될 수 있다 imagefile [2] 이승준 2016-11-18 11159
173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왜 늘 고통은 국민 몫인가 imagefile [4] 윤영희 2016-11-18 14029
173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시민들이 만든 어린이식당 이야기 imagefile [9] 윤영희 2016-11-14 14355
172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세번째 유치원 면담을 가다 imagefile [1] 홍창욱 2016-11-13 12042
172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가장 먼저 사랑을 해 imagefile [1] 최형주 2016-11-10 10476
172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금은 광장으로 나가야 할 때 imagefile [5] 신순화 2016-11-10 19407
1726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박근혜와 오래된 가방 imagefile [8] 강남구 2016-11-10 24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