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003_114323.jpg20141003_114425.jpg


돌이켜보면 내가 그렇게도 기다렸던 나날들이었다. 아이가 자라서 나와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되는 나날들. 이가 막 나기 시작해 손수건 위로 침을 질질 흘리는 아이 앞에서, 나는 미래 아이와의 대화를 수없이 꿈꿨다. 얼른 말하자 우리 아가. 엄마가 참 재밌는 사람이에요. 엄마랑 이야기를 나누면 정말 신날 거예요. 허허허. 지금 떠올려도 등짝의 몇몇 부위가 움찔거리는 몹쓸 1인극을 서슴지 않았었다. 


6여년이 지난 지금. 나의 아이들은 이제 나의 말도 꽤 잘 알아듣고, 스스로도 말을 무척 (가끔은 얄밉게 무척) 잘한다. 그러나 풋사과 엄마 시절에 꿈꾸었던 ‘사랑의 대화’는 중학교 시절 짝사랑했던 성당오빠의 얼굴만큼이나 희미해졌다. 고백하건데 지금의 나에게 가장 실존적 고민은 이것이지 않나 싶다. 참을 것인가 터질 것인가.


매일 아이 둘을 챙겨서 유치원에 보내는 아침 풍경은 어마어마하다. 밥을 먹고, 옷을 갈아입고, 세수를 하고 (가끔은 안하고), 신발을 신는 작은 일상이 일사천리로 진행되는 날은 없다. 그냥 없다. 어떤 날은 우유를 가득 부은 시리얼 그릇이 엎어지고, 어떤 날은 한여름에 아이가 털 잠바를 꺼내입는다. (혹은 배트맨과 인어공주 의상) 그게 아니면 햇빛 눈이 부신 날에 장화를 신는다. 혹은 유치원 통학차가 도착하기 5분전 급박한 시간에 새로 책을 꺼내 읽거나, 새로운 놀이를 시작한다. 이런저런 일도 안 일어나는 날엔 둘이 싸운다. 저녁이라고 해서 상황이 나아질 리가 없다. 아무것도 안 일어나는 날이 없다. 이것도 그냥 없다. 밥을 먹고, 씻고, 잠자리에 드는 일련의 과정은 아침보다 좀더 길고 지난하게 진행된다. 갑자기 급한 일이 생겼다며 밥상머리를 뜬 뒤 공룡인형을 잡으러 가거나, 장난감 경찰차와 함께 돌아온다. 집안 곳곳의 위험한 물건을 귀신같이 찾아내  기겁하게도 한다. 욕실서 놀게 방목해 둔 날엔 새로 산 샴푸 두통이 그야말로 거품으로 사라지기도 했다. 겨우 몸을 씻겨 내놓은 뒤에 방으로 돌아왔을 때, 잠옷 윗도리를 다리에 끼고 춤추는 아들을 보는 심경이란.


이처럼 기상천외한 일상과 엄마의 말을 듣지 않고 곧잘 먹어버리는 아이들 속에서, 나는 매일 줄타기를 한다. 소리를 지르는 것은 체벌과 같은 상처를 남긴다는 말도 들은 바 있어 조심스럽게 줄을 탄다. 제법 아이들을 점잖게 타이르는 날도 있다. 자잘한 짜증만 내고 가볍게 넘어가는 날도 있다. 그러나 어떤 날은 피곤에 찌들어 고장 난 녹음기처럼 밥 먹자, 옷 입자, 잠 자자를 반복적으로 내뱉다가 한계에 달한다. 심호흡을 하고 마지막 경고를 날려도, 아이의 귓등만이 내 말을 받아칠 때는 마음이 거친 바람 앞의 깃발처럼 펄럭인다. 특히 부부싸움을 하고 난 다음이나, 개인적인 스트레스나 심한 날엔 어김없다. 사자후가 터진다.


개인적으로 최대 고비는 올해 초였던 것 같다. 혼자 아이 둘을 키운 3년여에 걸친 중국생활에도 지쳐가고 있는 즈음이었다. 7살에 접어든 큰 아이가 이제는 슬슬 엄마 말을 알아들어 주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어째 아이는 6살 때보다도 못한 행동이 늘어가는 듯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어찌 보면 아주 작은 일에 아이를 향해 폭발을 해버렸다. 줄타기고 뭐고 할 겨를도 없이 줄에서 추락했다. 그동안 제법 인내심 있는 엄마로 자부하고 있던 나였다. (어쩌면 그런 척 하면서 내 안에 화를 쌓아두고 있었던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그 날은 어째서인지 감정이 너무 격해져 아이에게 말을 쏟아 내면서도 스스로 입을 틀어막고 싶었다. 그러나 아이에게 상처를 준 말들은 이미 쏟아진 물처럼 흥건히 바닥에 널브러졌다. 갑자기 너무나 초라해졌다. 나는 그날 눈물이 그렁그렁한 아들을 붙잡고 울었다. 우선은 사과를 했다. 이 정도로 화낼 일을 아니었는데 너무 심하게 화를 냈다고. 그리고 또 말했다. 엄마도 사람이라고. 약하고, 실수도 하고, 힘들면 작은 일에 화도 내고 그런다고. 그 날 아이는 내 말을 알아들었는지 모르겠지만, 울먹이면서도 나를 꼭 안아주었다.


물론 나의 감정의 줄타기는 끝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날 이후에는 나는 나름대로 줄을 조금 널찍하게 만들려 한다. 아이를 믿는 것이었다. 아이가 갑자기 품행방정한 어린이가 되리라는 것을 믿는 게 아니다. 아이가 ‘엄마도 사람’이라는 것을 알아준다는 믿음이다. 내 경우엔 실제로 아이에게 좀 더 솔직한 모습으로 다가가자, 아이와의 대화가 조금은 방향이 달라졌다. 예전에는 ‘절대선’ 엄마가 아이에게 훈계하는 식이었다면 이제는 ‘평범한’ 엄마가 왜 화를 낼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는지 아이가 이해하는 식이다. (물론 조금 이해를 한다는 것이지, 아이가 갑자기 할 일을 스스로 척척해내는 우주 멋쟁이로 거듭났다는 것은 절대 네이버 아니다)


예전에는 ‘화내는 엄마’가 되는 게 무척 무서웠다. 절제를 못하고 화를 내면 자괴감에 스스로 괴로워하기도 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내가 ‘화도 낼 수 있는 엄마’ '조금은 못나도 되는 엄마' 라는 것을 인정하자, 마음이 꽤 홀가분해졌다. 지금도 화는 내지만, 적어도 감정의 쓰나미에 실려 아이들과 함께 표류하는 일은 그 이후에는 없었다. 엄마라고 해서 사모곡에 나오는 어머니처럼 학처럼 선녀처럼 살다갈 수는 없는 노릇아니던가. 그래서 나는 그냥 학이고 선녀고 다 포기하고 내 길을 가기로 한다.  '사람' 엄마의 길을 가려고 한다. (사실, 그 길 밖에 못간다 ㅠㅠ)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윤은숙
31살에 처음 엄마 세계 입문. 지금까지도 끝이없는 힘이 딸리는 육아의 신비에 당황하며 살고있다. 인성교육을 목표로 삼고 있으나 마음속 지킬엄마와 하이드엄마 사이에서 매일매일 방황한다.현재는 스스로를 육아무림에서 수련을 쌓고 있는 수련생으로 설정, 특유의 근거없는 자신감으로 언젠가는 고수에 등극할 날이 있으리라 낙관하고 있다. 2011년에서 2014년 여름까지 중국에서 아이를 키웠으며, 현재는 한국 서울에서 '자칭' 날쌘돌이 9살 아들, 제1 반항기에 접어든 6살 딸과 기상천외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이메일 : rimbaud96@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laotzu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263268/e19/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20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화장지의 변신, 엄마표 장난감 imagefile [24] 케이티 2014-11-12 23016
120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주중 어린이집 행사, 맞벌이 부모에겐 곤란해 imagefile 양선아 2014-11-11 13192
120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잘 안 먹는 아이, 입맛 잡는 5가지 imagefile [6] 윤영희 2014-11-10 23522
1202 [김명주의 하마육아] 설탕 권하는 엄마 imagefile [8] 김명주 2014-11-09 13799
120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도 아프면서 큰다 imagefile [6] 신순화 2014-11-06 12077
1200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42편] 워킹맘 7년차, 임파선염이 오다 imagefile [6] 지호엄마 2014-11-06 52251
119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학원 안보낸 것을 후회하냐고요? imagefile [8] 윤영희 2014-11-06 15504
119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멋을 알아가고 있다 imagefile [2] 최형주 2014-11-05 10027
1197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희소질환/장애와 함께 살아가기 imagefile [18] 케이티 2014-11-01 13377
»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참을 것인가 터질 것인가 imagefile 윤은숙 2014-11-01 21053
1195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제주도에서 imagefile [2] 최형주 2014-10-31 10025
119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초1 엄마들 모여 밥도 비비고 수다도 비비고 imagefile 신순화 2014-10-30 15461
1193 [김명주의 하마육아] 유년, 기억하고 있습니까? imagefile [16] 김명주 2014-10-27 18425
119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꿀처럼 달콤했던 나만의 2박3일 여행 imagefile [8] 윤영희 2014-10-23 14662
119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몽정 이어 여드름, 12살 아들 호들갑 imagefile [2] 신순화 2014-10-23 32351
1190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춤과 바다 imagefile [4] 최형주 2014-10-23 9817
1189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짝짝이 신발을 신는 아이 imagefile [20] 케이티 2014-10-21 15969
118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전담 육아 12년만에 혼자 떠나는 여행 imagefile [6] 윤영희 2014-10-20 14688
1187 [김명주의 하마육아] 유혹에 눈먼 대가, 18달의 우유 노예 imagefile [24] 김명주 2014-10-19 15415
118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석 달간의 동거가 끝이 났다 imagefile 홍창욱 2014-10-18 10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