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아이는 곧 네 번째 생일을 맞이한다. 4년은 그리 길지도 짧지도 않은 시간이지만 아이는 정확히 그만큼 자랐다.

 

이제는 혼자 잘 걸을 뿐 아니라 방방 뛰어다닌다. 숟가락과 포크는 물론, 손가락 구멍이 달린 젓가락도 꽤 능숙하게 쓰면서, 혼자 밥도 잘 먹는다. 온전히 혼자 옷을 입진 못해도, 어떤 순서로 입어야 하는지는 잘 알고 어느 방향이어야 하는지도 잘 안다. 벗는 건 그보다 훨씬 능숙하다. 비록 차곡차곡 정리하는 건 아니라 해도, 집에 들어서면서 훌러덩훌러덩 옷을 잘만 벗는다. 화장실도 잘 가려서 실수도 거의 않는다.

 

아이는 스스럼없이 제가 보고들은 것을 나름 조리 있게 설명한다.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차분히 풀어놓기도 한다. 자기가 바라는 것도 분명하고, 가끔은 제법 논리를 갖춰 누군가를 설득하려 들기도 한다. 엉뚱하고 말도 안 되는 억지스런 이야기일 때도 있지만, 어떨 땐 듣던 내가 꼼짝없이 설득당해서 원하는 걸 들어줘야만 할 때가 있다.

 

어느덧 아기 티를 벗고 어린이가 되어있는 아이의 행동거지와 말주변은 분명 반가운 일이다. 갓난쟁이를 붙들고, 쥐면 터질라 불면 날릴라 노심초사하던 게 엊그제 같은데, 분명 육아는 한결 쉬워졌다. 그러나 문득문득 아이가 낯설기도 하다. 이 아이가 언제 이렇게 큰 건가 싶어서다.

 

얼마 전 스마트폰을 교체하면서, 그 안에 있던 사진을 모조리 가상 저장공간(웹하드)에 저장시켰다. 내친 김에 어느덧 대부분 다시 돌아보지 않게 돼버린 외장하드의 지난 몇 년 치 사진과 동영상도 올려봤다. 어차피 잘 보지도 않으면서 막연히 가졌던 ‘분실의 공포’가 사라져 안도한 것도 잠시, 하나씩하나씩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게 된 옛 사진들엔 더 어린 시절의 아이 모습이 담겨 있었다.

하나하나 넘겨보며 모든 순간이 생생하게 되살아났다. 아빠 발길 따라오며 아장아장 겨우 걸음마를 떼던 모습, 뭐가 그리 좋았는지 박수를 치며 까르르 웃던 모습, 잔디밭을 가로질러 달려가더니 태극기를 보며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입니다” 노래하던 모습, 유리창 한가득 낙서를 해놨던 모습, 통통한 볼살에 파묻힌 입에서 처음으로 “아빠”란 말이 나오던 모습, 뜻을 알 수 없는 옹알옹알 소리로 책보는 흉내를 내던 모습, 아빠 칫솔을 호시탐탐 노리다 기회만 되면 들고 도망가선 곳곳에 숨겨놓던 모습, 공갈젖꼭지 물고 오물거리던 모습, 아빠 배 위에 엎어져 곤히 잠자던 모습, 함께 하는 숫자놀이에 흥겹던 모습….

 

그걸 보니, 아이가 이 모든 순간을 거쳐 너무도 감사하게도 지금만큼 자라줬다는 게 실감이 났다. 내가 모자라서 그땐 미처 몰랐을 뿐, 결코 돌아오지 않는 순간들이었다. 너무나도 소중하고 값지며, 그토록 예뻐서 생각만 해도 가슴이 뭉클한 순간이 이렇게 많았는데, 왜 지금 와선 아이가 문득 낯설다는 뚱딴지같은 생각을 하나 싶어 내 스스로가 답답해졌다.

 20121221_5.jpg » <한겨레> 자료사진

 

아이의 성장은 멎지 않는다. 해마다 아이가 자라서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달마다 성장이 다르고, 날마다, 시간마다, 분, 초마다 다르다. 그러니 흘러가는 시간이 이젠 너무도 아까워진다. 이 사랑스러운 모습을 영원히 볼 수 있긴 한 걸까. 내가 언제까지 울 엄마한테 이렇게 사랑스러웠나를 생각하다, 자신감이 없어진 난 그냥 고개를 떨구고 말았다.

 

아까움과 안타까움을 되새기던 어느 주말, 집안 청소를 하던 아내가 탄식한다.

“어머, 이 옷 좀 봐! 우리 애들이 이만했었는데!” 아, 아내여! 당신도!

 

 

 

** 이 글은 월간 육아잡지 <맘&앙팡>(디자인하우스) 2014년 6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이 글을 마지막으로 2010년 6월부터 3년 동안의 연재를 마쳤습니다. 처음에 지면을 허락해주신 장세희 편집장님(현 <밀크> 편집장)과 늘 애정으로 글을 다뤄주신 오정림 기자님을 포함한 <맘&앙팡> 식구들, 그리고 무엇보다 성원해주신 독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김외현 기자
아이 둘의 아빠인 <한겨레21> 기자. 21세기 인류에게 육아는 남녀 공통의 과제라고 믿는다. 육아휴직 등으로 나름 노력해봤지만 역시 혼자 가능한 일은 아니며,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걸 어렴풋하나마 알게 됐다.
이메일 : oscar@hani.co.kr      
블로그 : http://plug.hani.co.kr/osca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233392/276/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16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걷자, 걷자. 한 눈 팔며 걷자! imagefile 신순화 2014-09-25 14430
1164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아빠가 된 서태지 imagefile [4] 안정숙 2014-09-24 10363
116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무늬만 북유럽 육아, 아닌가요? imagefile [5] 윤영희 2014-09-24 22831
1162 [김명주의 하마육아] 뽁뽁이 날개 단 아기, 뒤통수 다칠 걱정 끝 imagefile [12] 김명주 2014-09-22 17969
116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바자회를 열자. 삶을 나누자. imagefile [3] 윤영희 2014-09-21 15832
116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두근두근 열 두살 아들의 몽정기 imagefile [9] 신순화 2014-09-19 41131
1159 [박종찬 기자의 캠핑 그까이꺼] 캠핑 머슴, 웃음 파도 imagefile [2] 박종찬 2014-09-18 19568
115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또 다시 가을 속으로 imagefile [6] 윤영희 2014-09-17 13666
1157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남편과 오순도순, 우리끼리 산후조리 imagefile [6] 케이티 2014-09-17 13329
1156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직장맘, 잠자리 대화가 딱! imagefile [2] 양선아 2014-09-15 14380
1155 [김명주의 하마육아] 관음의 유모차, 엄마의 패션? imagefile [18] 김명주 2014-09-15 25179
115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들 언어교육, 좀 더 즐겁고 행복하면 안되나 imagefile [2] 윤영희 2014-09-15 15971
1153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대략 두달 만이군요^^ imagefile [8] 안정숙 2014-09-13 10512
115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열손가락 깨물기, 어떤 손가락이 더 아플까 imagefile 홍창욱 2014-09-12 10284
115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방마다 집집마다 참말 다른 명절 풍경 imagefile 신순화 2014-09-11 15618
1150 [김명주의 하마육아] 예방접종, 선택도 필수 imagefile [8] 김명주 2014-09-11 15586
»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다시 돌아오지 않는 시절 imagefile 김외현 2014-09-10 12350
1148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독립군 학생 부부, 99만9천원 육아기 imagefile [19] 케이티 2014-09-09 13577
1147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아이랑 놀아주기? 아이랑 놀기! imagefile [1] 김은형 2014-09-04 15214
1146 [김명주의 하마육아] 분유여도 괜찮아 [11] 김명주 2014-09-04 11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