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개월을 넘어선 케이티는 요즘 어금니와 전쟁 중. 

다른 건 몰라도 맨밥에 김, 두부, 계란 쯤은 잘 먹던 아이가 이젠 그마저도 잘 안 먹는다. 

잘 먹던 바나나, 딸기도 주춤하고 새로 올라오는 어금니가 성가신지 침을 후두둑 흘리며 성질을 부리다 겨우 우유, 플레인 요거트, 바삭하게 구운 또띠야나 조금 먹고 만다.


미국에서 한식을 먹으며 영유아기 아기 키우기란 쉽지 않다. 우리가 사는 동네에 한인 마트가 있긴 하지만, 식재료 대부분이 냉동/인스턴트 식품이고 종류가 매우 한정적이라 아이에게 먹이기에 적당한 것을 찾기가 어렵다. 게다가 관리는 얼마나 안 되고 가격은 또 얼마나 비싼지.. 한국 토종 입맛 소유자인 나와 남편이지만 한 달에 한 번 한인 마트에서 장 볼 때마다 주먹을 부르르, 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맨날 먹는 반찬은 콩자반, 멸치볶음, 어묵볶음, 뭐 이런 것들이고, 나물 좋아하는 내가 먹을 수 있는 나물이라곤 집 앞 아시안 마트에서도 파는 콩나물과 미국 마트에 나오는 시금치, 가지 뿐. 아이가 먹을 수 있는 건 이 중에서도 가짓수가 더 줄어들다 보니 케이티는 맨날 두부, 계란, 잡채, 국수, 파스타 등 예닐곱 개 밖에 안 되는 음식을 번갈아 먹게 된다. 


안되겠다 싶어 새로운 메뉴를 몇 개 추가해 보기로 했다. 

한국에 있었으면 아마 절대 직접 만들 생각을 하지 않았을, 배추 물김치와 손만두!

사실 나는 정말로 김치 담그는 건 생각도 못 해 보고 살았다. 어릴 적 우리집 김치는 외할머니가 몇 달에 한 번 내려 오실 때 할머니가 담가 주시던 김치 아니면 동네 시장에서 사먹는 김치였다. (우리 엄마는 김치 담그는 걸 안 하는 수준이 아니라 아예 '싫어하는' 수준이어서 엄마가 김치 담그는 걸 본 기억이 별로 없다.) 그런데 얼마 전 신순화 님의 '김치 독립' 글을 보고서 좀 더 생각해 보게 됐다. 집 앞 아시안 마트에 중국 배추가 들어오니까 한 번 시도해볼까? 양념 김치는 아직 좀 그렇고, 케이티도 먹을 수 있게 시원한 국물 있는 물김치로. 그래서 만든 것이 이것. 매우 볼품없지만, 맛은 처음치곤 그럭저럭 괜찮다. 


DSCF7575.JPG 


그리고 이것은..난생 처음 빚어본 만두!


DSCF7568.JPG


아시안 마트에서 산 부추와 미국 마트에서 산 돼지고기 다짐육이 주재료다. 아이 재워 놓고 남편과 마주 앉아 도란도란 얘기 나누며 빚었다. 이것도 역시 보기엔 매우 볼품없고 만두피가 좀 두껍지만, 맛은 괜찮다. 아하하. 


문제는, 둘 다 케이티 먹이려고 만든 건데 정작 케이티는 안 먹는다는 것..........

배추 물김치는 손도 안 대려고 하고, 만두는 그냥은 물론이고 만두소만 빼서 좋아하는 파스타에 같이 섞어 밋볼스파게티(!) 처럼 해 줘도 안 먹는다. 알다가도 모르겠다. 우유, 요거트, 아이스크림 같이 찬 걸 좋아하면서 물김치 국물은 안 먹고, 할배같이 말린 대추 씹어먹는 건 좋아하면서 그보다 더 무르고 단 배추는 한 입 깨물었다 뱉는다. 내킬 때는 닭고기 살 발라 주는 걸 잘도 받아 먹으면서, 안 내킬 땐 그저 입을 다물고 도리질. 그래도 잘 놀고 잘 싸고 잘 자는 걸 보면 영양 부족은 아니니 됐다. 이가 다 나고 여름이 지나가면 식욕도 왕성해 질 때가 오겠지. 엄마는 엄마 아빠 먹을 간식이나 더 만들어야겠다. 빵집도 없고 있어도 먹을 만한 빵 하나 없는 미국에서 일일이 다 만들어 먹자니 고단하지만, 그래도 먹고 싶은 건 먹으며 살아야지!


단팥빵.jpg

DSCF7155.JPG

DSCF7588.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서이슬
'활동가-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다. 막연했던 그 꿈에 한발 더 가까워진 것은 운명처럼 태어난 나의 아이 덕분이다. 아이와 함께 태어난 희소질환 클리펠-트리나니 증후군(Klippel-Trenaunay Syndrome)의 약자 KT(케이티)를 필명으로 삼아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라는 제목의 연재글을 썼다. 새로운 연재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은 아이책, 어른책을 번갈아 읽으며 아이와 우리 가족을 둘러싼 세계를 들여다보는 작업이다. 내 아이 뿐 아니라 모든 아이들을 함께 잘 키워내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되는 글과 삶을 꾸려내고 싶다.
이메일 : alyseul@gmail.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alyson0215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77883/5e8/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105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아이가 주는 사랑의 힘…내리사랑은 틀렸다 imagefile [1] 김은형 2014-07-03 11873
110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어느날 갑자기 상남자 냄새 풀풀 imagefile [4] 신순화 2014-07-02 18642
1103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친정엄마-시어머니, 환갑 동반 여행 imagefile [2] 안정숙 2014-06-30 14294
110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엄마들의 착한 소비, 세상을 바꾼다 imagefile [4] 윤영희 2014-06-30 19199
»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어쩔 수 없이(!) 엄마표 2: 미국에서 먹고 살기 imagefile [7] 케이티 2014-06-30 11266
110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경상도 사위의 전라도 처가 방문기2 imagefile 홍창욱 2014-06-27 13381
1099 [최형주의 젖 이야기] 아직 imagefile [17] 최형주 2014-06-26 20718
109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모두 잠든 깊은 밤, 나홀로 은밀하게 imagefile [6] 신순화 2014-06-25 17044
109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한국인 며느리 일본 시어머니 음식 탐방기 imagefile [7] 윤영희 2014-06-24 21743
1096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어쩔 수 없이(!) 엄마표 1: 날개옷 짓는 엄마 imagefile [6] 케이티 2014-06-22 11306
1095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가끔은 잊고 싶은 엄마, 아내라는 이름 imagefile [16] 양선아 2014-06-19 28056
109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친구가 놀러오면 독립심이 쑥쑥! imagefile [2] 신순화 2014-06-19 10894
109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경상도 사위의 전라도 처가 방문기1 imagefile [6] 홍창욱 2014-06-19 20487
109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해마다 하는 아이의 생일날 의식 imagefile [6] 윤영희 2014-06-16 10990
1091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여자의 남편, 남자의 아내 imagefile [2] 김외현 2014-06-15 17440
1090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백만불 짜리 다리 케이티, 수영장 가다 [4] 케이티 2014-06-13 13104
1089 [최형주의 젖 이야기] 밤 젖 끊기의 시도 imagefile 최형주 2014-06-12 10435
108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김치독립'이 진정한 어른!! imagefile [4] 신순화 2014-06-12 11830
1087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미처 몰랐던 보석, 동네공원과 한강 imagefile [10] 양선아 2014-06-11 13360
108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품앗이 육아, 엄마는 숨통이 트인다 imagefile [5] 윤영희 2014-06-10 13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