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맨날 눈팅만 하다가 또 상담드릴게 있어서 로그인했습니다...

제 큰애는 올해 7세가 되었어요..

 

작년 가을 요르단으로 여행을 다녀 왔어요.

고대 유적지를 둘러보는데..

여긴 옛날 사람들이 살던 곳이냐..그 사람들은 모두 죽었느냐..엄마랑 나도 죽느냐..어떻게 하면 안죽을수 있느냐..

이런 질문을 자주 했어요..

그래서 저는..

사람들은 다 죽는다..지금 걱정해도 소용없다..원래 그런거다..신나고 즐겁게 지내면 안죽을수 있다..

이런 대답을 해준거 같아요..

이런 질문할때는 거의 울것 같은 얼굴이었고요..

 

그후 두달쯤 뒤에 할아버지가 돌아가셨어요..

갑자기 돌아가셔서..가족 모두 비통해했지요.

제 아이들도 장례식장에서 3일 보냈고요, 장지에도 갔고요..

장례식장에서는 그냥 심심해서 짜증부리는 철없는 애들이었고..

하지만 아이들의 철없는 행동이 어른들한테는 작은 위로가 되었었죠...

 

장지에서 돌아와서 할머니 집에 있을때..큰애는 .. 땅속에서 어떻게 하늘나라로 가느냐고 물어서..

어른들의 기분을 환기시켜 줬어요..

그냥 갈수 있다고만 대답해줬어요..

 

그리고 집으로 돌아온후,,

어느날..

엄마, 엄마 아빠가 돌아갈때 누가 와줬으면 좋겠어..라고 말하네요..

그래서 제가

엄마 아빠가 갑자기 돌아가면 ㅇㅇ랑 ㅁㅁ는 아무도 돌봐주지 않을까봐 무서워? ..라고 물었어요..

그랬더니

엉엉 울며 그렇다고 해요..

걱정하지 마,, 엄마만큼 ㅇㅇ를 사랑해주는 사람 오라고 할께..라고 말해주고 꼭 안아줬어요...

이때 저도 좀 울었어요..아이 안아주면서..

 

그 뒤로도..여러번 이런 비슷한 대화가 있었고요..

그때마다 슬픈 얼굴이었지만..그래도 울진 않았어요..

요즘은 지나가는 말로 간단하게 하고 끝나는거 같아요..

 

저는 그때마다 걱정하지 말라고만 하고 있어요...

이럴때 어떻게 대답해주면 좋을까요?

죽음에 관한 동화책은 몇권 읽어줬어요..

그런데...사실 제가 그런책을 읽어주다가 눈물콧물 하는 바람에...오히려 역효과가 난거 같아요..

저는 종교도 없고..가끔 반야심경 정도 읽는 사람인데요...

아직 어리디 어린 아들한테 죽음에 대해 어떻게 설명해줘야 할지..잘 모르겠어요..

사실 저 스스로 죽음을 생각해도 두렵기만 하고요..

 

아이는 남자아이지만..좀 여린 면이 있고요..

즈이 동생이 태어나면서부터 줄어든 사랑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요..(즈이 동생은 3세)

엄마는 ㅁㅁ만 이뻐하고!나랑은 놀아주지도 않고!라는 말을 자주 하거든요..

 

몇가지 덧붙이자면, 저는 직장맘이고, 아이 아빠의 육아 분담율은 높은편입니다.

2년전 제 친조카아이가 백혈병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세상을 떠났어요.

저는 늦둥이라서 부모님 연세가 많으세요..그래서 최근 10여년전부터는 언제 돌아가실지 모른다는 걱정이 마음속에 있어요..(다행히 두분다 현재 건강하십니다.)

 

그리고 지금 이순간도 제아이가, 제 남편이, 제가...갑자기 돌아가게 될까봐 두렵습니다.

이게 제 솔직한 심리상태입니다.

제가 이런 상태이니..아이가 저런 질문을 해올때 평정한 모습을 보여주기 힘든거 같습니다.

 

두서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하도 글이 주절이주절이 여서...질문은 저 위에 밑줄 그어두었어요.)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베이비트리

2015.03.09 09:39:00

아이의 갑작스러운 행동에 어머니가 많이 당황스럽고, 걱정이 되실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이 일은 어머니의 성향이나 아이의 기질, 환경으로 인한 것이라기보다 아이의 나이 때문에 생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아이는 지금 어리기 때문에 죽음이 어떤 것인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생명, 죽음, 이별과 같은 단어를 이해하려면 열살은 넘어야 합니다.

아이에게 죽음은 단순히 부모가 없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엄마가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은 엄마가 갑자기 없어질 수 있다는 것과 같게 받아들입니다. 지금이 아닌 나중에라는 것도 아이는 잘 이해할 수 없습니다. 시간에 대한 관점이 현재에 국한되어 있어 '나중에' 혹은 '커서라는' 단어도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어머니가 개인적으로 어떤 견해를 갖고 있던 간에 아이가 죽음에 대해 질문하면 엄마는 항상 네 곁에 있다, 네 곁에서 없어지는 경우는 없다, 그래도 안심하지 못하면 엄마는 안죽는다는 말을 하셔도 됩니다. 어른 입장에서 보기보다 아이 입장을 고려하면 해결이 수월해질 겁니다.


(*본 상담은 조선미 선생님께서 도와주셨습니다. )

댓글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7 [박진균] 유치원생활 부적응(?) 답변완료 riverstone85 2015-05-18 10378
176 [박진균] 유치원에서 일을 말하지 않는 아이... 답변완료 thssj7 2015-04-25 9728
175 [박진균] 놀이할때 가르쳐야하는것인지... 답변완료 mine1231 2015-04-20 8235
174 [박진균] 엄마에게 혼난다고 생각하는 아이 답변완료 johj79 2015-04-06 8071
173 [박진균] 7세아이 어린이집에서 하는 행동 답변완료 duribon1004 2015-04-03 8747
172 [박진균]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8세 남아입니다. 답변완료 julyday 2015-03-31 9817
171 [박진균] 8살 여아 외모 집착 외 문제 답변완료 jangms01 2015-03-28 8042
170 [장규태] 수면 및 배변 관련 문의드려요 답변완료 ki586 2015-03-19 7956
169 [박진균] 5살여자아이 남자친구가좋다는데ᆢ-.- 답변완료 dlqtnf75 2015-03-09 8105
168 [지난상담_조선미] 아이 숙제때문에 고민이 있어요. 답변완료 bcskinder 2015-02-25 8075
167 [일반상담] 비염에 항생제를 먹여야 하나요? 답변완료 ohdori 2015-02-24 10860
» [지난상담_조선미] 죽는게 무서운 아이... 답변완료 ilovemountn 2015-02-22 8589
165 [지난상담_조선미] 33개월 아이, 기질인가요? 문제 행동인가요? 답변완료 KoolMomma 2015-02-17 13255
164 [장규태] 27개월 여아 변 간격 답변완료 sybelle 2015-02-16 7843
163 [일반상담] 2개월 5일 아기 수면 상담입니다 답변완료 toyhyhj7 2015-02-13 8642
162 [일반상담] 선택 답변완료 space904 2015-02-09 7820
161 [지난상담_조선미] 7세 남아성향 답변완료 ajullse 2015-02-03 10844
160 [일반상담] 자기전에 과할정도로 머리카락을 뜯어요 답변완료 popipo77 2015-01-30 13756
159 [지난상담_조선미] 잠자리 분리 방법 답변완료 redvitamin 2015-01-29 10055
158 [지난상담_조선미] 가만히 앉아있지 못하는 아이 답변완료 icdolval 2015-01-15 14982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