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고령임산부의 건강한 아이 위한 주의점

김영주 2011. 10. 24
조회수 15716 추천수 0

얼마전 KBS TV에 생로병사라는 프로그램에 고령임신에 대해서 1시간여정도 방영을 한 적이 있다. 외래를 통해 진찰하는 임신부의 연령이 최근 2-3년 들어 35세이후 심지어는 40세이상의 산모의 수가 급격히 증가한다고 생각했는데 한국보건사회 연구원의 실태조사에서도 고령임산부의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특히 40-44세 이상의 고령임부의 비율은 84년에 비해 96년에 4배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11024_01.JPG이란 35세 이상의 여성이 임신을 한 경우로 이러한 고령임신부가 여러 가지 면에서 합병증을 가지며 아기에게나 임신부 자신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감시와 진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령임신부에게는 제일 먼저 기형아의 출산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이는 엄마에게서 생긴 난자와 아빠에게서 생긴 정자가 분열하는 과정 중에 염색체의 비분리현상에 의해 태아의 21번째 염색체가 세 개가 생기는 다운증후군이나 18번 염색체가 세 개 생기는 에드워드증후군 같은 염색체 이상의 기형아를 낳을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초기 유산율도 높아지는데 이는 대부분 수정란의 이상 때문이며 임신 8주경에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색체 기형의 진단을 위해서는 임신 초기의 융모막검사나 임신 중기의 양수검사등이 필요하며 신경관 결손 등의 기형아 예방을 위해서는 임신 전부터 임신 초기 3개월에 걸쳐 엽산을 꾸준하게 복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고령임신부는 임신 중기 이후 몸이 붓고 혈압이 올라가며 소변에 단백뇨가 검출되는 임신성 고혈압이 잘 생기며 이에 대한 합병증으로 임신부의 경련, 태반조기박리, 출혈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주의를 요한다. 임신성 고혈압 뿐 만 아니라 임신성 당뇨도 잘 생길 수 있으므로 임신 중기 24주경에는 반드시 임신성 당뇨 선별검사를 시행하도록 한다.


또한 고령임신부에서는 조산이나 조기양막파수등의 가능성도 증가할 수 있으므로 임신 중반기 이후에 규칙적인 하복부의 통증이 오거나 맑은 물 같은 분비물이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임신부의 나이가 35세가 넘어가면 비만등의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자연분만 보다는 제왕절개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급증한다. 하지만 고령임신부라고 해서 반드시 제왕절개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철저한 산전관리를 받으면 고령임신부도 질식분만을 잘 할 수 있다.


가끔 여성의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궁에 근종이나 난소에 혹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러한 자궁근종은 조기 진통을 일으키기도 하고 난소에 있는 혹은 가끔 염전(혹이 꼬이는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렇게 최근에는 고령임신이 초산이 아니고 늦둥이를 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고령임부에 준하여 철저한 진찰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고령임신부는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높고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질 수도 있다. 즉 부부가 여러 가지 면에서 안정된 상태에서 아기를 기르기 때문에 아기에게 많은 것을 해 줄 수 있으며 중년의 우울증을 경험하지 않고 넘어갈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지니기 때문에 반드시 나쁘다고만은 볼 수 없다. 고령임신부라 할지라도 규칙적인 영양공급과 세심한 산전 진찰로 건강한 아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령임신부여! 건강한 아기를 얻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김영주
이대 목동병원 산부인과 교수로 2001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아기의 인권을 존중하는 르봐이예 분만을 처음으로 시작한 르봐이예 전도사이다. 그후 프랑스 의사 르봐이예의 <아기 맛사지>를 번역하였으며, 임신과 관련된 영양에 관한 책으로 <임신·출산·영양 가이드>(조윤커뮤니케이션)를 번역하기도 했다. 현재 이대 목동병원 모자센터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임산부에게 매우 친절하고 친정 어머니 같이 다정한 의사 선생님으로 정평이 나 있다. 학문적으로도 매우 우수해 대한산부인과학회를 비롯한 모체태아의학회, 주산기학회에서 다수의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메일 : kkyj@ewha.ac.kr      

최신글




  • 임신중에 닭고기 먹으면 아이 피부도 닭살?임신중에 닭고기 먹으면 아이 피부도 닭살?

    김영주 | 2012. 02. 16

    다음은 일반 임신부들이 금기라고 생각되는 일에 대하여 임신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 그에 대한 오해를 풀어보기로 한다.    ■ 임신 초기1. 과일 주스는 당분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섭취를 피한다.   [의견] 과일쥬스는 ...

  • 건강한 아기를 갖기 위해 필요한 산전검사와 준비해야 할 것들건강한 아기를 갖기 위해 필요한 산전검사와 준비해야 할 것들

    김영주 | 2011. 12. 27

    오늘은 건강한 아기를 갖기 위해 필요한 산전검사, 준비해야 할 것들을 알아보는데 임산부들이 주로 외래에서 질문했던 내용들을 대상으로 알아보기로 하지요. 질문1> 반드시 해야 하는 산전검사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검사를 ...

  • 임신중에 비타민은 어떤 효과가 있을까?

    김영주 | 2011. 12. 12

      요즈음 종종 결혼을 하기전에 산전검사와 임신전의 주의사항을 체크 받기 위하여 병원을 내원하는 여성분들이 늘고 있다. 이때 비타민의 효용성에 대하여 질문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다. 이에 이번 컬럼에서는 비타민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알아보...

  • 아기가 부부에게 갖는 의미와 임신시의 주의점

    김영주 | 2011. 11. 28

      얼마 전 첫아기를 임신 29주에 조산아로 낳은 후 낳은 지 1주일만에 아기를 잃고 이번에 두 번째 아기를 건강하게 낳은 부부가 산부인과 외래로 고맙다는 인사를 하러 본인을 찾아 왔다. 첫 번째 아기를 잃은 후 그 상심은 말로 표현할 수...

  • 임산부에게 Omega-3는 어떤 효과가 있을까?임산부에게 Omega-3는 어떤 효과가 있을까?

    김영주 | 2011. 11. 14

    Omega-3-지방산은 사람의 영양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필수 지방산이다. 생선은 Omega-3-지방산의 중요한 원천이 되며 1980년대에 이루어진 네덜란드, 스웨덴, 그리고 미국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생선의 섭취와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사망률의 위험과는 반...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