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아이 둘 각각 다른 보육기관에 보낸다면?

양선아 2016. 11. 29
조회수 8345 추천수 0

144053236430_20150827 (2) (1).JPG

5살, 3살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입니다. 큰아이는 집 근처 어린이집에 다니고, 3살 아이는 육아휴직을 해 제가 돌보고 있어요. 곧 복직하는데, 둘째아이도 내년부터 큰아이가 다니는 어린이집에 보낼 예정입니다. 그런데 고민이 하나 생겼습니다. 최근 큰아이를 꼭 보내고 싶었던 유치원에서 빈자리가 생겼다며 연락이 왔습니다. 큰아이를 그 유치원에 보내면, 복직 뒤 두 아이를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나눠서 등·하원시켜야 합니다. 주변에선 아이 둘을 각각 다른 기관에 보내면 너무 힘들 거라고 만류합니다. 저는 큰아이가 활동적이라서 활동이 많은 그 유치원에 보내고 싶어요.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인 기자님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햄릿맘)


[양 기자의 워킹맘을 부탁해]

워킹맘 몸과 마음이 더 편한 방향으로 선택을


144053236439_20150827.JPG

워킹맘은 하루 종일 회사에서 일하고, 집에 들어선 순간 또 다른 일들이 시작됩니다. 집안일과 아이 돌보는 일. 힘든 일을 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내 몸과 마음이 조금이라도 더 편한 시스템 구축’입니다. 시스템을 잘 갖춰놓으면 불필요한 감정노동이나 육체노동을 덜 하지요. 아이를 보육기관에 맡길 때도 부모가 몸과 마음이 편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인 저는 두 아이를 초등학교 보내기 전까지 같은 어린이집에 보냈습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7살 때 어린이집에서 유치원으로 옮기는 경우도 있지만, 저는 두 아이를 각각 다른 기관으로 보냈을 때 예상되는 많은 일이 떠올라 애당초 옮길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등·하원 차량 시간이 다르거나, 행사 날짜가 겹치거나 다르면 양육자는 이리 뛰고 저리 뛰어야 합니다. 보육기관마다 각각 고유의 시스템이 있는데, 두 교육기관의 시스템을 익히고 선생님들도 알아가야 하고요. 다행히도 ‘누리과정’ 제도를 통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은 같은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아이를 키울 때 예측할 수 없는 일이 얼마나 많이 터지던가요? 설사 내가 원한 기관으로 옮기더라도 큰아이가 그곳에서 잘 적응하리란 보장도 없습니다. 영·유아에게 중요한 것은 규칙적이고 안정감 있는 생활인데, 익숙한 환경에서 다른 환경으로 옮기는 것은 아이에게도 부모에게도 큰 모험이죠.

148006219782_20161126.JPG » 아이 둘을 같은 보육기관에 보내면 장점이 많다. 큰아이가 동생이 적응하는 데 도움을 주고 둘째아이는 기관에 빨리 적응할 수 있다. 한겨레 장철규 기자

햄릿맘이 육아휴직 뒤 복귀하시면 육아도우미가 이 험난한 일들을 해야 합니다. 내가 해도 힘든 일인데, 육아도우미가 두 보육기관으로 등·하원을 시키면 더 힘들어할지 모릅니다. 육아도우미가 너무 힘들어 그만두고 싶어 할 수도 있고요.


지금 어린이집에서 아이가 적응을 못하거나 선생님들의 교육 방식이 정말 도저히 못 참겠다 싶을 정도이거나, 교육기관에 전혀 신뢰가 가지 않는 경우가 아니라면, 저는 굳이 두 아이를 다른 기관에 보내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오히려 두 아이를 같은 기관에 보내면 장점이 많습니다. 이미 어린이집의 시스템을 잘 아는 큰아이가 동생이 잘 적응하도록 도와줄 수도 있고, 그 과정에서 큰아이의 자존감이 올라갑니다. 둘째아이는 어린이집 생활에 빨리 적응하고요. 최대한 햄릿맘께서 덜 힘든 방향으로 선택하세요.


양선아 <한겨레> 삶과행복팀 기자 anmadang@hani.co.kr


*여러분, 워킹맘 양 기자와 육아 고민 나누세요. 전자우편(anmadang@hani.co.kr)으로 고민 상담하시면 됩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양선아 한겨레신문 기자
열정적이고 긍정적으로 사는 것이 생활의 신조. 강철같은 몸과 마음으로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인생길을 춤추듯 즐겁게 걷고 싶다. 2001년 한겨레신문에 입사해 사회부·경제부·편집부 기자를 거쳐 라이프 부문 삶과행복팀에서 육아 관련 기사를 썼으며 현재는 한겨레 사회정책팀에서 교육부 출입을 하고 있다. 두 아이를 키우며 좌충우돌하고 있지만, 더 행복해졌고 더 많은 것을 배웠다. 저서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존감은 나의 힘>과 공저 <나는 일하는 엄마다>가 있다.
이메일 : anmadang@hani.co.kr       트위터 : anmadang21       페이스북 : anmadang      
블로그 : http://plug.hani.co.kr/anmadang

최신글




  • 아이가 정리를 못해요아이가 정리를 못해요

    양선아 | 2017. 03. 30

    봄이 되면 봄맞이 대청소를 합니다. 청소할 때마다 저희 집에는 물건이 너무 많다는 생각을 합니다. 맞벌이 부부라 청소하고 정리할 시간이 부족한데, 남편이나 저나 물건을 잘 버리지 못합니다. 아이가 7살이 됐는데도 아직 3살 때 적은 어린이집...

  • 초등 돌봄교실 언제 확대되나요?초등 돌봄교실 언제 확대되나요?

    양선아 | 2017. 02. 15

    딸이 올해 초등학교 3학년이 됩니다. 1·2학년 때는 아이를 학교 돌봄교실에 맡겼습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하게 맡길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런데 당장 3학년부터는 돌봄교실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딸은 이제 제가 퇴근할 때까지 방과후학교에 ...

  • 전업맘이 부러울 때전업맘이 부러울 때

    양선아 | 2017. 01. 18

    8살, 6살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입니다. 대학 졸업 뒤 줄곧 일했고, 출산 뒤 두 아이 키우며 열심히 살았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회사에서 제가 원치 않는 부서로 인사가 났습니다. 화가 많이 났습니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꾹 참고 회사에...

  • 아이 친구 엄마가 교육관 강요해요아이 친구 엄마가 교육관 강요해요

    양선아 | 2016. 12. 27

    초등학교 1학년 아들을 키웁니다. 한글 교육을 많이 하지 않아 아들이 한글을 잘 모르는 상태로 입학했어요. 당연히 선행학습을 많이 한 아이들보다 학습 능력이 약간 뒤처집니다. 그래도 서서히 한글을 익히고, 친구들과 학교생활도 즐겁게 하고 ...

  • 도우미 구했다고 남편이 집안일 안 해요도우미 구했다고 남편이 집안일 안 해요

    양선아 | 2016. 10. 13

    4살, 6살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입니다. 남편과 저는 둘 다 설거지, 빨래, 청소를 싫어합니다. 그동안 집안일 문제로 계속 다퉜습니다. 결국 비용이 들더라도 시간제 도우미를 고용해 집안일과 아이들 어린이집 등원 부담을 덜기로 했습니다. 도...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