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연예인 부부가 아이들의 미국학교 정착을 위해 이주하면서 "아이들을 공부시키러 가는 것이 아닌, 아이들을 그 나이대에 맞게 뛰어 놀게 하고 싶어 간다"라는 인터뷰를 했더라구요. 이런 기사를 접할 때마다 한국 부모들의 미국 교육 현장에 대한 동경이 과해지는 것은 아닌지..우려가 됩니다. 과연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아이를 교육하는 것을 최상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미국 교육 현장이 아이들에게는 천국일까요? 장단점은 어느 곳에서나 다 존재하기 마련이라는 생각이 들고, 어디에서 아이를 키우든 부모의 교육철학과 역할이 더욱 중요한 것은 아닐까 반문해봅니다.

 

토토로네가 미국에 살게 되면서 주변에서 제일 많이 듣는 소리는 "와~ 미국에서 아이들 영어도 배우고 너무 좋겠다!!!"였습니다. 배부른 소리라 그럴지는 모르겠지만, 미국에서 아이들에게 '영어'는 생존의 수단이기 때문에 아이들도 부모들도 많은 시행착오와 스트레스를 겪습니다. 여러가지 문화적 차이와 인종 차별 혹은 정체성과 관련해서 고민이 생기기도 하고, 가정내에서는 모국어를 유지하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구요.

 

미국에 와서 특히 놀랐던 것은 주변의 주재원이든, 정착한 한국 가정들을 보면 방과 후 아이들을  각가지 예체능 교육과 과외 및 학원에 보내는 집이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한국이 아닌 미국이라는 장소만 바뀌였을 뿐 아이들을 사교육 시장으로 내모는 것은 여전한 거지요. 그래서 보면 한국인이 운영하는 학원들이 성행하고 있구요. 물론 미국인들 중에서도 어느 부류들은 사교육을 시키고는 있지만, 대부분이 그렇지 않은 분위기인 것 같았습니다.

 

아이가 고등학생인 한국 가정의 한 경우는 아이러니하게도 긴 여름 방학동안 한국에 다녀오는 가정도 있었습니다. 한국의 SAT학원에 보내서 점수를 올리려는 목적으로요. 그리고 초등학교 3학년인 아이들 둔 엄마의 말에 의하면, 초등학교 3학년부터 주에서 시행하는 테스트가 있다고 합니다. 그 테스트의 점수에 따라 학교의 등수가 매겨지기 때문에 교사든 부모든 아이들의 점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신경을 쓴다고 하네요. 매일 제공되어지는 숙제, 참여도, 퀴즈, 시험들이 모두 점수화되어 체크되어지기 때문에 어느 것 하나라도 소홀히 할 수가 없어 힘들다는 거에요. 따라서 그 테스트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 그 한국 엄마는 아이를 따로 개인 과외를 시킨다고 하구요.

 

또 흔히 듣는 예로 아빠의 주재원 기간이 끝나면 미국에 엄마와 아이들은 남고, 기러기 아빠가 되는 가정이 실제로 많았습니다. 반대로 제가 아는 일본인 가정은 3년이라는 아빠의 주재원 기간이 끝나자 바로 아이들과 엄마는 귀국을 했는데요, 아빠의 임기가 6개월 연장되어버려 반대로 아빠가 미국에 혼자 남아 지내는 경우를 봤습니다. 그 일본인 가정은 미국에 산다는 것이 로망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이처럼 이제까지의 제 경험에 의하면 한국의 교육정책에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이기 때문에 아이들은 공부만 하고, 미국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마음편히 놀면서 지내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특히 아이가 내 품에서만 있던 영유아기를 지나 학교체제로 들어가면서 부모가 아이에게 어떤 교육 환경을 만들어줄 것인지에 대한 역할의 중요성이 커지게 됩니다. 저 또한 때때로 내 아이를 최고로 키우고 싶은 욕심이 생기기도 하고, 그래서 한국인 커뮤니티에서 들리는 학습위주의 유혹들에 귀가 솔깃해질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가치를 아이들에게 심어주고, 무엇이 아이들을 행복하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성찰은 우리 부모들부터, 그리고 교육 관계자들, 사회가 끊임없이 해나가야한다고 봅니다. 미국에서 아이를 키우면서 저도 계속 고민해 나가겠지만, 여기 베이비트리가 그러한 고민을 나눌 수 있을 것 같아 마음 한켠이 든든합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14 [자유글] 참깨를 세우며 imagefile [2] 농부우경 2014-08-05 4188
2113 [책읽는부모] 희망의 불꽃 뒤늦은 독후감 꿈꾸는식물 2014-08-02 4034
2112 [책읽는부모] 희망의 불꽃-불꽃은 저절로 피어오르지 않는다 날개 2014-08-01 4473
2111 [책읽는부모] 엄마 말대로 하면 돼-잔소리가 아닌 큰소리 날개 2014-08-01 4592
2110 [책읽는부모] [희망의 불꽃] 아이들의 행복을 바라며 professeur 2014-08-01 4170
2109 [책읽는부모] 정우야,, 엄마 말대로 하면 돼.. 그렇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데 엄마도 같이 할게.. coal0001 2014-07-31 4342
2108 [자유글] 그냥 두서 없이 주절주절 숲을거닐다 2014-07-31 3808
2107 [자유글] 엄마가 된다는 것(엄마가 미안해 당선 선물 '언젠가 너도, 너를 보면'을 읽고 blueizzy 2014-07-31 4176
2106 [요리] 바비큐보다 더 특별한 아빠표 캠핑요리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4-07-31 7006
2105 [나들이] 우리 제주에서 살아볼까, 딱 한달만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4-07-31 5493
2104 [가족] 너희만 놀다오니 좋더나? 괴로운 ‘SNS 시집살이’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4-07-31 5990
2103 [요리] 사카린 진짜 먹어도 되나요?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4-07-31 5837
2102 [자유글] 동작을 재보선 결과를 보며 난엄마다 2014-07-31 4058
2101 [자유글] 식생활 교육을 받으며 imagefile 푸르메 2014-07-30 4726
2100 [건강] 면역력 떨어지는 한여름, 피부 세균감염 주의보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4-07-30 4609
2099 [책읽는부모] 공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묻다. [1] blueizzy 2014-07-30 5540
2098 [자유글] 아래 '미국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관련 칼럼 한 편 공유합니다. 케이티 2014-07-30 3930
2097 [책읽는부모] 엄마 말대로 하면 돼... 읽었습니다~ orazoo 2014-07-30 4097
» [자유글] [토토로네 미국집] 미국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2] pororo0308 2014-07-29 4257
2095 [책읽는부모] 희망의 불꽃을 읽고... orazoo 2014-07-29 3548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