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보배추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 |
[한겨레 esc 매거진]
흙냄새·쓴맛 강한뱀차즈기
곰보배추 별명으로
최근 유명세 타겨우내 자란
생명력으로 봄에 제철
감기·기관지염·천식 등에
효과 좋아도대체 이것은 무엇인고? 산삼인가? 나물인가? 일명 곰보배추로 불리는 뱀차즈기는 길게 쭉 뻗은 뿌리에 할아버지 잔털 수염처럼 가는 털들이 났고, 그 위로 헝클어진 머리 모양의 잎이 있다. 별칭 때문에 배추로 오해하기 쉽지만 뱀차즈기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 몸에 보약이 되는 토종풀이다. ‘곰보배추’는 뿌리가 배추뿌리와 비슷하게 생겼고, 잎도 올록볼록 배추와 닮아서 붙은 이름이다.자연요리전문가 장향진(자연요리 전문식당 ‘다미재’ 운영)씨는 지난해 10년 지기 친구인 한 심마니로부터 전화가 왔다. “곰보배추 보냈으니 한번 맛보세요.” 장씨는 잎부터 뜯어 먹었다. “기절하게” 썼다. 기분 나쁜 쓴맛은 아니었다. 씁쓸하면서도 저절로 침이 고이게 하는 매력 덩어리로 다가왔다. 향에도 반했다. 언 땅을 딛고 오르는 강한 흙냄새였다. 생명력이 꿈틀거렸다. 설탕을 조금 뿌리는 등 쓴맛을 없애는 방법도 찾고, 5분 정도 찌고 말려 차로도 끓여 먹었다. 경상도에서는 ‘문둥이배추’라고도 부른다고 그가 일러준다. 뱀차즈기는 별명도 많다. ‘동생초’(冬生草·겨울철에도 자란다), ‘설견초’(雪見草·눈만 보고 자란다)라고도 부른다. 차가운 겨울에 추위와도 한판 승부를 할 만큼 잘 자란다. 모진 찬 바람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은 뱀차즈기는 약효가 좋다. 기침이나 천식에 탁월하다. 이제 겨울을 이겨낸 뱀차즈기가 세상에 나올 때다.
곰보배추 |
⊙ 레시피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