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해전 봄. 둘째 아이가 많이 아팠다. 중국에 살던 때였다. 

 

중국에서 제대로 된 진단이 나오지를 않아 애를 끓이다, 결국 한국까지 비행기를 타고 왔었다.  

며칠째 40도 전후의 고열의 시달리던 아이는 내 팔 안에서 시든 꽃처럼 늘어져있었다. 공항에서 바로 응급실로 달려갔고, 각종 검사가 끝나기를 기다리는 동안 나는 꼼짝 않고 잠든 아이의 얼굴만을 바라보았다. 


병명은 가와사키.  


얼마후 나에게 온 의사 선생님의 얼굴은 심각했다. 


"어머니, 아기가 많이 아파요." 


중국에서 조치가 너무 늦게 취해졌고, 탈수가 너무 심하게 진행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와사키 병은 혈액에 염증이 생기기 병이라, 아이의 어느 기관에 손상이 갔을 지는 모른다는 이야기를 했다. 


휘청, 몸이 휘었다. 병원에서는 언제나 최악의 상황까지 이야기 해준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호흡이 가빠졌다. 검사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손이, 발이, 입이 멋대로 움직였다. 


"선생님 우리 아기 괜찮겠죠? 선생님 우리 아기 괜찮겠죠?" 


17047757076_b66e50ee04_o.jpg


의식할 틈도 없이 얼굴은 온통 눈물로 덮였다. 나는 의사 선생님들의 가운 끝을 부여잡았다. 정신나간이 사람이 꼭 그 때의 나같으리라. 


우리 아기는 괜찮아. 우리 아기는 괜찮아. 혼자서 중얼거리며, 나는 쉼없이 응급실을 서성였다.  


그런데, 상황은 악화되는 듯했다. 탈수된 것치고는 아이가 너무 오래 정신을 제대로 차리지 못한다는 것이다. 등에 바늘을 꽂아 척수 검사를 해보아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길고긴 밤이 시작되었다. 


아이가 심각한 병일 수도 있다는 검은 불안은 나를 삼켰다. 


목안에 커다랗게 녹슨 대못이 박힌 것 같았다. 침은 목을 타고 넘어가지 못했고, 그나마 삼킨 침에서도 시큼하고 쓴 맛이 났다. 잠은 잘 수 없었고, 밥도 넘어가질 않았다. 


이것이로구나.

살아도 사는 게 아니라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구나. 


나뿐만이 아니었다. 손녀의 소식을 듣고 지방에서 올라오는 친정어머니는 버스에서 내내 신에게 이런 기도를 드렸다고 한다. 어린 손녀를 데려갈 거면 차라리 이 늙은이를 데려가라고. 


어디 외할머니 뿐이었겠는가. 아이의 입원은 수많은 친척 어른들의 마음을 거세게 조였다. 위험한 고비를 넘겼다는 이야기를 듣는 순간까지 우리는 누구도 섵불리 아무런 말을 꺼내지 못했다. 


그렇게 그해 봄, 아이와 나는 오랜 시간을 병실에서 보냈다. 마침내 아이의 병이 나아 병실을 나섰을 때는 매섭던 바람에는 어느새 따스함이 뭍어 있었다. 따스해진 바람을 맞으며, 묘한 안도감에 내 눈에서는 울컥 눈물이 솟았다.  


그해 봄. 나는 자식가진 부모의 영원한 굴레를 다시한번 깨달았다. 자식의 끝은 곧 나의 끝이다. 


어느 영화의 대사처럼 "자식잃은 부모에게 남은 인생같은 건 없다" 


지난해 4월 나는 세월호의 뉴스를 중국에서 접했다. 스러져간 아이들이 안스러운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지만, 나는 남겨진 부모 마음의 부서진 조각들이 밟혀 많이 울었던 것 같다. 


다시 1년을 맞은 지금. 상황은 말이 안되는 소용돌이 속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두 아이의 엄마인 나는 기묘한 공포까지 느낀다. 이 상황이 어떻게 1년 내내 계속 되어 오고 있는가. 


이 나라는 내가 알던 나라가 더이상 아닌 것만 같다. 멀어져도 너무 흉하게 멀리 가버렸다. 


나는 삭발을 하고 선 엄마들의 마음을 감히 헤아리지 못하겠다. 다만, 나역시 엄마이기에, 그 아픔이 끝나지 않으리라는 것은 알고 있다. 


때문에 끝까지 함께 하겠다는 위로 밖에 건네지 못한다. 물론 나의 자장은 크지 않다. 유족지원을 위한 물품을 보내고, 서명을 하고, 글을 쓰고 ...... .  그러나 이 땅의 자식가진 부모가 하나 하나씩 이런 위로를 건낸다면. 그 손잡음이 시간의 풍화 속에서 떨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무슨 좁디 좁은 길이라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물론 지금 여기를 덮은 깊은 어둠이 두렵기도 하다) 


어제 저녁 잠든 아이들의 허벅지를 쓰다듬었다. 손 안 가득 느껴지는 물컹하고 생생한 아이들의 생명에 나는 괜히 고마워 눈물이 났다. 


너무나 미안한 호사다. 그리고 다시 또한번 너무 미안한 봄이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은숙
31살에 처음 엄마 세계 입문. 지금까지도 끝이없는 힘이 딸리는 육아의 신비에 당황하며 살고있다. 인성교육을 목표로 삼고 있으나 마음속 지킬엄마와 하이드엄마 사이에서 매일매일 방황한다.현재는 스스로를 육아무림에서 수련을 쌓고 있는 수련생으로 설정, 특유의 근거없는 자신감으로 언젠가는 고수에 등극할 날이 있으리라 낙관하고 있다. 2011년에서 2014년 여름까지 중국에서 아이를 키웠으며, 현재는 한국 서울에서 '자칭' 날쌘돌이 9살 아들, 제1 반항기에 접어든 6살 딸과 기상천외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이메일 : rimbaud96@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laotzu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60631/71d/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605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아들의 사춘기에 임하는 엄마의 십계명 imagefile [2] 정은주 2017-07-17 13225
60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주중 어린이집 행사, 맞벌이 부모에겐 곤란해 imagefile 양선아 2014-11-11 13222
60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할매, 할매, 우리 아가 다리 좀 고쳐 주고 가소 imagefile [18] 케이티 2014-10-11 13201
602 [김명주의 하마육아] 이별의 맛은 언제나 초콜릿 imagefile [1] 김명주 2016-03-28 13198
601 [김명주의 하마육아] 사랑은 하지만 제발 그래도 imagefile [4] 김명주 2016-01-19 13192
600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제가 왜이럴까요? 자식 상대성이론에 대하여 imagefile [4] 윤은숙 2017-04-06 13182
599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봄에는 꽃구경, 주말 책놀이는 덤 imagefile [5] 양선아 2014-04-07 13177
59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내 아이를 싫어하는 아이, 아빠 마음은 긴 강을 건넌다 imagefile [6] 홍창욱 2014-12-18 13172
59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 가족이 한 해의 마지막을 보내는 방법 imagefile [2] 신순화 2019-01-04 13170
59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셋째가 입학했다!! imagefile [5] 신순화 2017-03-02 13160
»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끝없는 아픔, 끝까지 함께 imagefile [8] 윤은숙 2015-04-20 13140
59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픈 부모를 돌보는 일 imagefile [6] 신순화 2017-01-25 13127
59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들 이해하기, 산 너머 산 imagefile [4] 윤영희 2014-10-15 13114
592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오늘이 내 아이들과 함께 하는 마지막 날이라면 imagefile [12] 안정숙 2014-11-13 13112
591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백만불 짜리 다리 케이티, 수영장 가다 [4] 케이티 2014-06-13 13109
590 [김명주의 하마육아] 인생 리셋, 아들과 함께 하는 새 인생 4년차 imagefile [2] 김명주 2015-12-08 13107
589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할배요~ imagefile [1] 김외현 2014-02-11 13094
588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아빠는 어릴 적에 imagefile [4] 강남구 2018-06-27 13090
58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첫아이 중학교 보내기 imagefile [6] 윤영희 2016-03-07 13087
58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들 정치교육은 투표장에서부터.. imagefile [13] 신순화 2014-06-05 13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