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8.JPG

 마흔 한살에 낳은 막내가 초등학교에 입학했다.

여덟살, 열살, 열 다섯살 세 아이 모두 학생이 된 것이다.

15년 육아 인생에 퍽이나 의미있는 날 이라고 할 만 하다.

 

첫째도 아니고 셋째, 그것도 여자아이다보니 입학식에 가는 마음이 몹시 느긋했다.

오빠와 언니를 겪었다는 여유와 병설유치원을 2년간 다니며 늘 기대 이상으로

잘 해 준 막내를 알기에 마음이 편했다. 생각해보면 참 감사한 일이다.

 

014.JPG

 

남자아이 열 다섯에 여자 아이 열 한명, 모두 스물여섯명의 1학년 아이들이 모인 공간은

난리법석이다. 자기 이름이 적혀있는 책상을 찾아 앉는 것 부터 다양한 풍경이 펼쳐진다.

안 앉겠다고 고집 부리는 아이, 엄마보고 옆에 꼭 있으라고 당부하는 아이, 앉자마자

친구들과 장난을 치는 아이, 뒤쪽에 서 있는 부모만 보고 있는 아이 등

처음 모인 1학년 교실은 아이들의 흥분과 불안, 부모들의 기대와 염려가 터질듯이

부풀어 있는 풍선처럼 꽉 차 있다.

 

둘째와 셋째를 입학시키는 엄마들은 여유롭게 지켜보고 있지만 입학하는 아이가

첫 아이가 분명한 엄마들은 표정에서부터 티가 난다.

특히 첫 아들을 입학시키는 엄마들의 안절부절한 표정은 오래전의 내 모습과 닮아서

마음이 짠 했다.

아이들이 속속 도착하는 대로 자리에 앉고 교사가 아이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뒤쪽에 앉은 한 남자아이가 갑자기 소리를 지르며 울음을 터뜨렸다.

그 아이 엄마는 당황과 부끄러움을 감추지 못하는 표정으로 우는 아이를 안고 일어섰다.

근처에 서 있던 몇 몇 엄마들은 뜨악한 표정으로 얼굴이 굳어졌다.

그 장면을 지켜보던 경력 많은 엄마들 셋은 입을 맞춘 듯이 이렇게 외쳤다.

"정상!!"

 

"그럼, 그럼.. 이래야 1학년 교실이지. 누구 하나 울어주는 건 당연하고,  정신없고

어수선한거야 당연 정상이지"

우린 그런 얘기를 하면서 웃었다.

 

첫 아이 입학시킬 때에는 내 아이가 아닌 다른 아이의 돌발행동에도 깜짝 깜짝 놀랐다.

애를 어떻게 키워서 저렇게 행동하나.. 놀랍기도 하고, 저 아이 때문에 1년이 힘들지

않을까... 의혹에 찬 시선을 던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젠 안다. 아무런 문제가 없어도 낮선 상황과 장면에서는 누구든 저런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자연스럽게 봐 주면 아무렇지 않다는 것도..

 

다목적실에서 진행된 입학식에서 교장 선생님은

"우리 학교는 무엇보다 자연이 참 좋습니다. 여름에는 개구리도 만날 수 있고,  가끔은 뱀도

마주칠 수 있는 곳이지만 결코 위험하지 않습니다. 겨울에 학교 뒤의 사택에 놀러오면

교장선생님이 고구마도 구워줄께요."하며 웃으셨다.

그 맛있는 고구마를 병설유치원 다니는 동안 막내는 이미 대접받은 경험이 있다.

언제나 열려있는 교장실, 친구처럼 편안하게 교장 선생님을 찾아가는 아이들,

친절하고 열정적인 선생님들.. 그리고 동생들을 잘 챙겨주는 선배 언니, 오빠들..

두 반씩 밖에 없는 작은 학교지만 그래더 서로 가족같이 가깝게 챙겨주는 학교 생활이다.

참 좋다.

 

021.JPG

 

막내의 담임 선생님은 올 해 이 학교에 처음 오신 분이었지만 10년 이상의 교직 경력이 있는

베테랑이셨다.

직접 동요를 작곡 하시고 아이들과 함께 동요를 만들어 가는 일을 좋아하시는 멋진 분이다.

동요와 동시를 많이 접하고 부르고 읽는 활동을 소중히 여기시는 분을 만났다.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지혜를 키워 나가는 교육을 하겠다는 말씀도 감사했다.

 

막내의 새 학교생활이 시작되었다.

설레고, 기대에 찬 내 1학년 학부모의 날들도 시작되었다.

학교와 선생님을 믿고, 중요하게 여기는 교육에 대한 철학들을 존중하며 막내가 열심히

새 생활에 적응하려고 애쓰는 만큼 좋은 학부모가 되는 일에 몸과 마음을 모아 보자고

다짐한다.

 

막내야, 입학 축하해.

재밌고 신나는 날들이 펼쳐질꺼야..

같이 가보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09527/825/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605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봄에는 꽃구경, 주말 책놀이는 덤 imagefile [5] 양선아 2014-04-07 13092
604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제가 왜이럴까요? 자식 상대성이론에 대하여 imagefile [4] 윤은숙 2017-04-06 13074
60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내 아이를 싫어하는 아이, 아빠 마음은 긴 강을 건넌다 imagefile [6] 홍창욱 2014-12-18 13060
602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오늘이 내 아이들과 함께 하는 마지막 날이라면 imagefile [12] 안정숙 2014-11-13 13052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셋째가 입학했다!! imagefile [5] 신순화 2017-03-02 13046
600 [윤은숙의 산전수전 육아수련] 끝없는 아픔, 끝까지 함께 imagefile [8] 윤은숙 2015-04-20 13037
599 [김명주의 하마육아] 인생 리셋, 아들과 함께 하는 새 인생 4년차 imagefile [2] 김명주 2015-12-08 13036
59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들 이해하기, 산 너머 산 imagefile [4] 윤영희 2014-10-15 13024
59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이들 플리마켓 셀러로 참여하다 imagefile [2] 홍창욱 2017-11-28 13019
596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백만불 짜리 다리 케이티, 수영장 가다 [4] 케이티 2014-06-13 13018
595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아들의 사춘기에 임하는 엄마의 십계명 imagefile [2] 정은주 2017-07-17 13015
59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꽃 길만 걷게 하진 않을게 imagefile [2] 정은주 2018-12-05 12985
593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할배요~ imagefile [1] 김외현 2014-02-11 12982
592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세월호 참사 이후 엄마보다 아이 생각 imagefile [1] 전병희 2014-08-04 12980
59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들 정치교육은 투표장에서부터.. imagefile [13] 신순화 2014-06-05 12979
59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첫아이 중학교 보내기 imagefile [6] 윤영희 2016-03-07 12964
589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주중 어린이집 행사, 맞벌이 부모에겐 곤란해 imagefile 양선아 2014-11-11 12958
58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픈 부모를 돌보는 일 imagefile [6] 신순화 2017-01-25 12935
58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 가족이 한 해의 마지막을 보내는 방법 imagefile [2] 신순화 2019-01-04 12928
586 [김명주의 하마육아] 머리 커도 괜찮아, 아빠 아들이야 imagefile [7] 김명주 2016-07-18 12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