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룸 글쓰기 3.jpg

 

아들 하나를 낳고 아래로 두 딸을 낳은 것을 나는 정말 살아가면서 거듭 거듭

감사하고 있다.

세살 터울 자매는 싸우고 삐지고 투닥거리는 것도 말할 수 없이 많지만

그래도 무언가를 서로 같이 하고, 가르쳐주고, 배우는 사이로도 더할 나위없이

좋은 관계이기 때문이다.

 

오빠도 있고, 언니도 있는 막내의 운명이란 언제나 저보다 잘 하고 앞서는

사람들을 따라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심술도 나고, 부럽기도 하고,

속상하기도 하지만, 그래서 뭐든지 더 빨리, 잘 하려고 마음과 몸을 내는 일이 된다.

적어도 우리집 막내에겐 그렇다.

 

아주 여렸을때부터 언니가 하는 것은 뭐든 저도 따라 해야 직성이 풀리던 이룸이가

가장 큰 좌절을 맛본 것은 언니의 초등학교 입학이었다.

매일 가방 메고 학교를  가는 언니가 부러워서, 급식을 먹는 언니가 부러워서

받아쓰기 하고 숙제를 하는 언니가 부러워서 이룸이는 몸살을 앓았다.

그래서 저도 가방 메고 집안을 돌아다니고,

급식판처럼 생긴 도시락으로 점심을 먹고,

받아쓰기 내 달라고, 숙제 내 달라고 나를 졸라대곤 했다.

적당히 받아주다가 귀찮아서 내버려두면 어느결에 제가 좋아하는 그림책이라도

가져다 놓고 글씨를 공책에 옮겨적는 시늉을 하고 있었다.

다 쓰고 나면 채점을 해 달라고도 했다.

뭐든 언니처럼,

언니가 하는 대로 하고 싶은 그 마음은

때로 정말 가여울 만큼 간절했다.

 

그래서였는지 이룸이는 성취가 또래보다 훨씬 빨랐다.

1월에 태어난 아이라 발육도 앞서지만 어휘며, 행동이며, 하다못해, 생각까지

또래보다 훨씬 앞섰다. 엄마로서는 정말 기특한 딸인 셈이다.

 

두 딸이 집에서 놀때 제일 많이 하는 것이 학교 놀이다.

주로 큰 딸이 선생님이 되고 막내가 학생이 되는데 가르쳐주고 배우는 자세가

아주 제법이다. 얼마전까지지는 언니가 방과후 프로그램으로 배우는 우쿨렐레에

아주 열중하던 이룸이는 요즘 글씨 연습에 빠져 있다.

 

이룸 글쓰기.jpg

 

글씨는 여섯살 봄 부터 떠듬 떠듬 읽기 시작했던 이룸이는 이제 어떤 글자도

막힘없이 줄 줄 읽는 단계가 되었다.

가르치지 않았는데 제 욕심에 저 스스로 깨우친 한글 실력이다.

글씨는 읽기도 전에 쓰는 흉내부터 냈던 이룸이는 요즘 글씨를 순서대로 제대로

쓰는 법을 익히고 있는데 언니가 아주 좋은 선생님이 되고 있다.

언니가 공책에 반듯하게 순서대로 써준 글씨를 그 순서 고대로 열심히 적는

모습이 얼마나 이쁜지... 게다가 글씨를 깜짝 놀랄 만큼 이쁘게 쓰고 있었다.

 

이룸 글쓰기 2.jpg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의 뇌구조가 다르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열세살이어도

도무지 알아보기 어려운 글씨를 휘갈겨대는 큰 아들을, 참을 인자를 써가며 지켜보는

나로서는 겨우 여섯살에 이렇게 균형잡힌 글씨를 쓸 수 있는 막내가 신기할 따름이다.

 

그렇구나...

억지로 하는 게 아닌 공부.. 마음이 원해서 즐겁게 신나게 하는 일은

딱히 공부라고 부를 필요도 없다.

학교에 들어가면 의무가 생기고 책임이 더 커지겠지만 아직 이룸이는 어떤 공부도

즐거운 놀이일 뿐이다.

재미있어서 하고,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다. 하기 싫으면 안 하는 놀이다.

그래서 하는 동안 정말 즐겁고 행복하다.

책을 읽는 일도, 글씨를 쓰는 일도, 숫자를 셈하는 것도, 영어도

이룸이에겐 아직 해야만 하는 공부가 아니다. 그냥 다 놀이다.

그래서 뭐든 재미있다.  아... 참 부럽다.

 

언니가 다니는 학교의 병설유치원을 다니는 막내는 언니 담임선생님도 잘 알고

교장선생님은 원장선생님이라며 달려가 안길 정도로 좋아한다.

언니 친구들도 모두 알고, 온 학교가 익숙하고 편한 곳이다.

언니가 있어 미리 경험하고 알게 된 곳에서 제 배움을 시작할 일도 참 고맙다.

 

내게도 두 명의 언니가 있다. 두 명의 여동생도 있다.

많은 자매들이 있어서 커오는 동안 큰 힘이 되었고,

살아가는 동안 더 큰 의지가 되고 있다.

이 다음에 내 두 딸들도 살아가는 내내 서로 돕고, 의지하고, 힘이 되는 그런

자매들이 될 것이다. 내가 그랬던 것 처럼 말이다.

 

언니가 있어서 나도, 이룸이도

정말

좋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18983/5a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50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늦가을 사과밭 여행 imagefile [2] 윤영희 2015-11-24 10996
150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삭발 미수, 그리고 또 다른 음모 imagefile [2] 신순화 2015-11-20 21981
1503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아침 산책이 제주도로 이사 가는 이유야 imagefile [7] 최형주 2015-11-20 12864
1502 [앙큼군과 곰팅맘의 책달리기] 책에서 걸어나온 할아버지 imagefile [4] 권귀순 2015-11-18 18351
1501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가난한 사랑 노래 imagefile [6] 케이티 2015-11-18 14666
1500 [하어영 기자의 철딱서니 없는 육아빠] 너에겐 똥, 나에겐 진주 imagefile [4] 하어영 2015-11-16 21528
149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텃밭 농사, 육아책 100권보다 낫다 imagefile [2] 윤영희 2015-11-16 14919
149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중년 아줌마, 근사한 바람끼 imagefile [5] 신순화 2015-11-13 30590
149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47편] 역사교과서, 제발 부탁이야! imagefile [2] 지호엄마 2015-11-13 44417
1496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그렇게 싫다던 태권도, 다 때가 있었다 imagefile [4] 양선아 2015-11-12 16598
1495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서울 살이 끝 집 imagefile [4] 최형주 2015-11-12 9943
1494 [앙큼군과 곰팅맘의 책달리기] 이 책은 절대 ‘읽어주지’ 말라 imagefile [4] 권귀순 2015-11-12 17763
149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첫사랑의 기억을 담아, 아들과 종점 여행 imagefile [4] 케이티 2015-11-11 11117
1492 [엄마 귀는 팔랑팔랑, 이거 살까 말까] 꼬마 야구 여신, 사진도 짱 image [3] 팔랑팔랑 2015-11-10 15261
149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그림이 마구마구 나온다 imagefile [2] 최형주 2015-11-09 11118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언니가 있어 참 좋다!! imagefile [2] 신순화 2015-11-06 13903
148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타투, 아내사랑을 새기다 imagefile [4] 홍창욱 2015-11-06 19524
148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동네 아이들과 함께 한 할로윈 파티 imagefile [3] 윤영희 2015-11-02 14170
1487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그렇게 엄마가 되었다 imagefile [3] 송채경화 2015-11-02 45099
148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꽁꽁 추운 날, 놀이터에서 빵을 imagefile [1] 최형주 2015-11-02 9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