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ter1.jpg

 

알림장에 붙어 있는 아이의 사진

 

 

‘형식’의 측면에서 보면, 사는 동안 가장 많이 쓴 것은 편지였다.

태동기는 여중, 여고시절. 그 땐 누구나 썼다. 마치 무언가를 쓰지 않고는 도저히 못 배기게 하는 호르몬이라도 흘렀던 것처럼.

나는 좀 더 유난한 편이었던 모양이다. 첫 문장이 “나에게”로 시작하는, 생각만해도 오글거리는 편지 같은 일기를 썼고, 서태지 오빠에게만 쓰는 자물쇠 달린 편지노트도 있었다. 글짓기 대회에서도 곧잘 편지를 썼다. 예를 들면 북한에 사는 친구에게 같은 것.

하여튼 수업 시간에 머리를 푹 숙이고 있으면 둘 중 하나였다. 졸고 있거나, 편지를 쓰거나.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고 싶다는 건, 그립다는 말이었다. 그리워할 만큼 좋아한다는 뜻이었다.

그렇게 눈 감아도 떠오르는 건 반듯하게 생기고, 공부도, 운동도 잘 하는 이웃학교 오빠이거나, 학원의 같은 반 남자아이, 잘만 하면 어떻게 해볼 수 있을 것 같은 총각 선생님, 혹은 고운 남자 같은 외모의 선배 언니였을 텐데.

앙큼한 동시에 현실적이기도 했던 우리는 제일 가까운 친구에게 편지를 쓰는 길을 택하곤 했다.

 

가끔 누가 더 진짜냐 하는 ‘진성’ 논란이 휘말리는 경우를 제외하면 단짝들은 친절하고 배려가 깊고 안전했다.

세심한 그녀들은 여러 색깔의 볼펜을 분위기 따라 적절히 골라 썼다. 시를 베꼈고 노래가사도 즐겨 활용했다. 지루하지 않게 편지지 한 귀퉁이에 그림을 그려 장식을 하거나, 하트나 꽃 모양으로 편지지를 접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해갔다.

책상 서랍이나 필통에서 마구 튀어나오던 소녀의 마음들!

“(너지?)” 하는 표정으로 짐작이 가는 친구를 바라보면 “(응, 나야!)” 하는 만족스런 표정을 짓던 나의 단짝들은 어디서 무얼하고 있으려나.

 

한동안 멈췄던 편지쓰기는 한 남자로부터 다시 활활 타올랐다.

서로의 손을 처음 잡았던 날 밤부터 나는 당연하게 편지를 썼다.

너란 사람을 첫 눈에 알아보았을 때 얼마나 놀랐는지 아니, 우리가 결국 이런 사이가 된 것이 얼마나 경이롭다니. 나에게 사랑이란 감정을 알려준 너는 내 인생에 어떤 의미로 남을까...

 

매일 눈을 뜨면 만나 두끼 이상 같이 밥을 먹고 잠들기 직전 헤어졌지만 그래도 할 말이 남아 있었다.

아니, 편지가 아니고서는 전할 수 없는 말들이 있었다.

보고 있어도 보고 싶고, 내 손에 남아 있는 네 온기가 그리워 잠이 오지 않는다는 것.

너에 관한 모든 것, 너의 과거와 미래까지도 독차지하고 싶어 견딜 수 없다는 유치찬란한 고백.

그 덕분에 그 남자와 지금 아이를 낳고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작년 여름, 다시 한 번 편지쓰기에 몰두할 기회가 찾아왔다.

 

“준영아, 오늘 하루 즐겁게 잘 지내고 만나자!”

어린이집 현관. 시나리오에 의하면 뜨거운 포옹 뒤 웃는 얼굴로 빠이빠이 하고 돌아서는 건데, 현실은 눈물, 콧물, 땀이 뒤범벅인 아수라장이었다.

 

엄마가 자기만 남겨두고 사라지는 이상한 일이 벌어지는 낯선 장소를 아이가 싫어하는 건 당연했다. 

그래도 “엄마가 회사에 가서 일하는 동안 준영인 어린이집에서 선생님과 친구들과 놀다가 다시 만나는 거야.” 하는 말을 이해한다는 듯 일단 차에서 내리기는 한다. 그리고 계단을 걸어올라가는 동안 입을 삐죽거리고 자꾸 뒷걸음질치며 슬슬 시동을 건다.

양팔로 내 목을, 양 다리로 허리께를 꽉 조이고 바들바들 떨며 위기의 대성통곡 단계 진입.

 

"그럴수록 단호하게 뒤돌아서야 합니다. 우는 모습을 보이는 건 절대 안 돼요."

 

어디서 읽었던가, 들었던가.

그 순간 나의 임무는 오직 우는 아이 얼굴에 대고 환하게 웃으며 돌아서는 것. 피부처럼 달라붙은 아이의 팔다리를 억지로 떼어내 선생님께 안겨주고 뛰쳐나온다. 미션 성공!

그런데 아프다. 쓰라리고 저려온다. 

사무실로 걸어가는 동안 목구멍까지 왈칵 차오르는 뜨거운 눈물을 꾸역꾸역 밀어넣으며 묻곤 했다.

엄마로 살아가는 건 왜 이렇게 힘든 걸까, 꼭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 건가...

 

그 시절 나를 버티게 해준 것은 뜻밖에도 어린이집 알림장이었다.

 

내가 없는 동안 어떤 표정을 짓고, 무엇을 보고 느꼈는지. 무슨 말을 하고 행동을 하는지. 잘 먹고 잘 자는지. 엄마가 보고 싶다고 울지는 않았는지.

아이 눈을 들여다보며 오늘 하루 어땠냐고 물어보면 될 일인데. 나는 웬일인지 아이에게 직접 확인하는 것보다 사진 한 장과 함께 아이의 하루가 간단히 기록된 알림장을 보는 게 더 안심이 되었다.

그 위로가 그리워 정작 아이와는 인사도 하는 둥 마는 둥, 허겁지겁 가방 지퍼를 열어젖히고 알림장부터 찾은 적도 있다. 

 

두번의 임신과 출산 후 3년 만에 다시 시작된 사회생활. 

참 절실하게 기다린 일이었지만 나는 이전의 내가 아니었다. 매일 아침, 현관에서 펑펑 울고 싶은 건 바로 나였다. 다 자란 아이를 보며 다시 내 자궁속에 집어 넣고 온전히 한몸이던 시절로 돌아가는 싶다는 상상을 할만큼 아이와 나는 여전히 하나라고 여긴 것도.

나만이 이 아이를 안전하게, 행복하게 해줄 수 있다는 어리석은 믿음으로 세상과 불신의 담을 쌓았던 것도.

 

알림장은(선생님은) 아이는 잘 하고 있으니 염려 말라고, 아이도, 어른도 누구나 언젠가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라고 다독여주었다.

세상은 우리를 아프게 할 것들 투성이지만 우린 기꺼이 그 안으로 깊숙이 들어가 부딪히고 넘어지고 다시 일어서면서 우리만의 길을 찾아가야 한다고.

 

 

“오늘은 엄마랑 헤어질 때 울고는 교실에 들어와서 바로 뚝 그쳤답니다!”

“눈이 마주칠 때면 활짝 웃어주는 우리 준영이. 어디서 애교덩어리가 저에게 온 건지^^”

“우리 준영이 배추 모종 심고 왔어요. 많이 해본 솜씨던데요? 말을 너무 예쁘게 해요~ “나중에 다시 만나러 올게~ 잘 자라라”라고 이야기 하며 모종심기에 열심에요.”

“집에서도 역할 놀이에 빠졌군요. 저는 어린이집에서 맨날 미용실 손님이랍니다 ㅋㅋ”

 

 

계절이 두 번 바뀌었다. 지금까지의 육아가 가르쳐준 것처럼 아이는 어른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단단했고, 저만의 길을 잘 헤쳐가고 있다. 그래도 나의 알림장 사랑은 여전하다.

하루하루가 다른 아이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 자체가 기쁘고, 공동 양육자로서 선생님과 동지애를 교감하는 것이 좋다. 특히, 나보다 더 오랜 시간을 내 아이와 함께하는 선생님과, 그 아이의 사랑스러움에 대해 나누는 편지라니!

단짝들에게 쓸 때보다도 더 순수하게, 한 남자에게 쏟아내던 것보다 더 지고지순하게 사랑의 말들을 담고 싶다. 가끔 메모지를 덧붙여 길게 쓰기도 하는데 부디 선생님도 즐기시기를 바랄뿐이다.

 

사실 선생님 칸은 늘 새로운 이야깃거리들로 넘치지만 내 칸은 복사 붙여쓰기라도 한 것처럼 비슷해서 민망할 때가 있다.

그래도 진심인 걸, 제일 전하고 싶은 말은 그것뿐인 걸 어쩌랴 하며 오늘도 정성껏 써내려간다.

 

“선생님도, 아이들도 모두 좋은 하루 보내셨으면. 늘 고맙습니다~♥”

 

 

부록. 알림장 맨 앞장에 붙여 둔, 등원 첫 날 선생님께 보낸 엄마의 편지.

 

선생님 안녕하세요.

정준영 엄마, 안정숙 입니다.

 

준영이는 10월이면 만 세돌이 되는 저희의 첫 아이에요.

돌을 막 지난 여동생(정태희)이 있고요.

노래 부르고, 춤 추고, 공 차고, 돌을 줍고, 뛰어다니며 노는 걸 좋아하고, 자동차, 로보카 폴리, 프린세스 소피아, 토토로를 사랑한답니다.

 

준영인 돌 무렵부터 화순의 산골마을에서 살았어요.

그래서 또래 친구보다 할머니 할아버지들, 논, 밭, 개, 닭, 새들과 더 친숙합니다^^

 

새로운 환경에서 선생님과 친구들과 함께할 준영이의 새로운 날들에 무척 설렙니다. 모든 부모의 마음이 그렇겠지만, 부모의 품을 떠나 처음 만나는 어른, 선생님과의 인연이 참 각별하고 소중하게 느껴지네요.

 

아무래도 첫 어린이집 생활이다 보니 부모도, 아이도 여러 가지 면에서 서툴 거에요.

저희 부부도, 준영이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꾸벅~^^

 

 

letter2.jpg  

아이들이 낮잠 자는 시간에 짬을 내어 알림장을 쓰는 준영이 담임 선생님의 모습.

며칠 전 아이들 상담하러 간 덕분에 엿보며 생각했다.

한밤중이나 새벽에 알림장을 쓰는 엄마들과 닮았을 거라고(분위기도, 마음도).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안정숙
2012년 첫째 아이 임신, 출산과 함께 경력단절녀-프리랜서-계약직 워킹맘-전업주부라는 다양한 정체성을 경험 중이다. 남편과 1인 출판사를 꾸리고 서울을 떠나 화순에 거주했던 2년 간 한겨레 베이비트리에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를 연재했다.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를 통해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2017년 겨울, 세 아이 엄마가 된다. 저서로는 <호주와 나 때때로 남편>이 있다.
이메일 : elisabethahn@naver.com      
블로그 : http://blog.naver.com/elisabethahn
홈페이지 : http://plug.hani.co.kr/heroajs81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53146/717/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60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들과 함께 하는 선거 imagefile [2] 신순화 2016-04-15 9705
160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그 여자의 취미생활 movie [9] 케이티 2016-04-11 11242
160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우리집 100년 레시피 imagefile [5] 윤영희 2016-04-10 11097
1602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육아아빠 기쁨-의무 사이 imagefile [10] 강남구 2016-04-10 19771
160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사랑이야 imagefile [2] 최형주 2016-04-08 8806
160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봄이다 얘들아, 봄 맛을 보자! imagefile [8] 신순화 2016-04-08 11548
159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이 터졌다, 관계의 몸살 imagefile [4] 윤영희 2016-04-08 13588
»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또 하나의 연애편지 imagefile [13] 안정숙 2016-04-07 15795
159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1편] 4.13 꽃구경이나 가야지~ imagefile [2] 지호엄마 2016-04-07 8582
159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부엌공동육아모임, 이렇게 만들어 보세요 imagefile [2] 윤영희 2016-04-07 10870
159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폰을 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imagefile [3] 홍창욱 2016-04-07 11023
1594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엄마에게 자유를 허하라! imagefile [3] 송채경화 2016-04-06 29145
1593 [앙큼군과 곰팅맘의 책달리기] 모태 산꾼, 칭찬 먹으러 가요 imagefile [2] 권귀순 2016-04-05 25887
159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또 하나의 소셜마더링, 아동전문병원 image [8] 케이티 2016-04-03 9826
159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복 받아라! imagefile [6] 최형주 2016-04-01 8595
159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바쁘다 바빠, 학부모회장!! imagefile [8] 신순화 2016-03-31 13512
1589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두려움의 극복, 두려운 시간과의 만남 imagefile [4] 강남구 2016-03-31 13949
1588 [김명주의 하마육아] 이별의 맛은 언제나 초콜릿 imagefile [1] 김명주 2016-03-28 13192
158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0편] 인공지능! 놀라운 발전이긴한데... imagefile [4] 지호엄마 2016-03-28 10567
1586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옥상 텃밭, 또 하나의 '자식 농사' imagefile [6] 양선아 2016-03-28 19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