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아내 없이 아이들과 12일을 함께 보낼 일이 있었는데

첫째는 놀아달라고 매달리고 둘째는 말이 통하지 않는데다가 떼를 쓰고 울어 참 힘들었다.

휴일이면 밖에 놀러 가는게 일이었는데 지난주 바다 나들이 가서 아이 둘 다 감기가 걸리다 보니

꼼짝없이 셋이 집에 갇히게 된 것이다.


첫째를 나름 업어가며 키운 나인데도 아이 둘을 몇 시간 보고 있으려니 너무 힘들었다.

평소에 함께 책도 읽고 놀기도 하고 잠까지 재우는 아빠가 왜 몇 시간 집중해서 돌보는 것이 어렵나 했더니..

한 가지 일에 집중을 방해하는 어떤 것이 있다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고

그것이 손안에서 무엇이든 해결할 수 있다는 스마트폰이었다.


순간 내 머릿속에 떠오른 단어 하나가 있었으니 그것은 중독이라는 두 글자.

과연 치유가 될 것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아이와 함께 놀아주고 잠을 재우는게 뭐람,

정신은 딴 곳에 있는데.

어찌 보면 저녁이 있는 삶이라고 떠들던 삶이 라는 것이 빛 좋은 게살구였던 것이다.

 

소중한 순간을 위해 잠시 꺼두셔도 좋습니다.’

오래전 어느 통신 광고에선가 이런 문구를 본 적이 있는데 요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게 된다.

 

폰의 화면은 커졌지만 폰에 몰두하는 시간이 많아 눈이 아프기 시작했다.

마흔이 넘으면 가장 먼저 떨어지는 것이 시력이라고 하는데

어두운 불빛에서 환한 화면을 보고 있을 때면 눈이 극도로 피로해진다.


예전에도 집에서 폰을 자주 볼 때가 있었는데 몇 년전에는 트위터 때문에 그랬고

요즘은 페이스북, 밴드, 카톡 등 다양한 사회적 연결망으로 인해 수시로 확인하게 된다.

잠들기 전에도 확인하고, 자다가 화장실 가는 중에 확인하며,

아침에 일어나서도 제일 먼저 폰부터 확인하는 습관이 들었다.

내 눈이 나빠지는 것은 그러려니 하는데

요즘은 둘째가 나처럼 휴대폰을 가지고 노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되어 반성하게 된다

 

폰을 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아무래도 물리적으로 멀리하는 방법이 좋겠다 싶어 충전을 거실에서 하게 되었다.

자다가 일어나서 확인하는 일이 없고 아이를 재우느라 이불을 뒤집어 쓰고 볼 일이 없으며

무엇보다도 밤중 진동이나 알림음에 잠을 설칠 일이 없다.


두 번째는 폰 화면에서 사회적 연결망 앱을 가장 멀리 숨겨두었다.

여러 앱을 하나의 바구니에 담아서 일부러 귀찮게 확인하는 방법을 쓰다 보니 아무래도 이용빈도가 조금 줄었다.

얼마 전 퇴근 후 업무 카톡이 직장인들을 힘들게 한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고

내 동료 또한 비슷한 얘길해서 카톡의 현 상태를 저녁 6시 이후에는 문자주세요라고 표시하고

퇴근 후 확인을 안 하고 있다.


생각해보면 아침 알람에서부터 출근길 팟캐스트 듣기, 메일 확인, 카톡 메시지 전달 및 확인, 전화통화, 계산, 하루 업무리스트 작성 및 체크, 시간 확인, 기타반주용 악보 확인, 아이들과 음악 듣기, 영어 공부, 조깅.. 까지 하루종일 업무든 사적인 행동이든 휴대폰에서 빠져나올 수가 없을 지경이다.


하나로 모든 것이 가능한 기기이기에 더욱 매달리게 되다보니 이를 멀리하는게 참 어려운 일일 듯하다.

하지만 너무 가까이 하면 몸을 망치고 사람을 의존하게 하여 자유의지를 침해하며

무엇보다도 아날로그, 얼굴을 맞대고 살을 부대끼는 관계에 소홀하게 한다.


중독되지 않고 적절히 이용하려면 개인의 강한 의지와 함께 가족 모두가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아내와도 가끔 이 주제로 이야기를 하게 되는데 부모의 관심이 아이들의 중독방지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IMG_4825.PN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53009/b94/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60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들과 함께 하는 선거 imagefile [2] 신순화 2016-04-15 9710
160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그 여자의 취미생활 movie [9] 케이티 2016-04-11 11247
160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우리집 100년 레시피 imagefile [5] 윤영희 2016-04-10 11100
1602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육아아빠 기쁨-의무 사이 imagefile [10] 강남구 2016-04-10 19776
160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사랑이야 imagefile [2] 최형주 2016-04-08 8812
160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봄이다 얘들아, 봄 맛을 보자! imagefile [8] 신순화 2016-04-08 11551
159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이 터졌다, 관계의 몸살 imagefile [4] 윤영희 2016-04-08 13595
1598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또 하나의 연애편지 imagefile [13] 안정숙 2016-04-07 15801
159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1편] 4.13 꽃구경이나 가야지~ imagefile [2] 지호엄마 2016-04-07 8586
159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부엌공동육아모임, 이렇게 만들어 보세요 imagefile [2] 윤영희 2016-04-07 10877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폰을 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imagefile [3] 홍창욱 2016-04-07 11023
1594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엄마에게 자유를 허하라! imagefile [3] 송채경화 2016-04-06 29149
1593 [앙큼군과 곰팅맘의 책달리기] 모태 산꾼, 칭찬 먹으러 가요 imagefile [2] 권귀순 2016-04-05 25890
159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또 하나의 소셜마더링, 아동전문병원 image [8] 케이티 2016-04-03 9830
159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복 받아라! imagefile [6] 최형주 2016-04-01 8600
159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바쁘다 바빠, 학부모회장!! imagefile [8] 신순화 2016-03-31 13520
1589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두려움의 극복, 두려운 시간과의 만남 imagefile [4] 강남구 2016-03-31 13952
1588 [김명주의 하마육아] 이별의 맛은 언제나 초콜릿 imagefile [1] 김명주 2016-03-28 13196
158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0편] 인공지능! 놀라운 발전이긴한데... imagefile [4] 지호엄마 2016-03-28 10569
1586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옥상 텃밭, 또 하나의 '자식 농사' imagefile [6] 양선아 2016-03-28 19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