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의 24시간 ‘독박육아’에 아내는 흩날리는 벚꽃잎이…


남편이 3일째 외박을 했다. 최근 들어 일이 부쩍 늘었다. 열심히 일하는 남편을 방해하기 싫어 바가지를 긁지는 않았지만 낮 시간의 독박육아를 넘어서 밤까지 혼자 보내자니 우울해지는 건 어쩔 수 없었다. 하루 종일 말 못하는 아기와 단둘이 보내다 저녁이 되면 남편을 붙들고 수다를 떨어야 조금이나마 스트레스가 풀리곤 했다. 그럴 수 없는 하루하루는 얼마나 말라비틀어진 삶인지.


대체 왜 나 혼자만 아이를 돌봐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불만이 스멀스멀 올라올 때쯤 아이디어가 하나 떠올랐다. 2주에 한 번, 하루 24시간을 오롯이 나만을 위해 쓰는 것이다. KBS 예능 프로그램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도 48시간 동안 엄마 없이 아빠 혼자서 아이들을 돌보지 않던가. 그것을 내 삶에 차용해보는 거다.


남편에게 2주에 한 번 하루 종일 아이를 돌보는 대신 평소에는 내 눈치 보지 말고 마음껏 일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더니 흔쾌히 받아들였다. 오예. 갑자기 신이 났다. 이 자유로운 하루를 위해서라면 외로운 2주는 얼마든지 견딜 수 있을 것 같았다.


아이를 낳은 뒤 혼자 두세 시간 정도 외출한 적은 있지만 하루를 통째로 나를 위해 써보기는 처음이었다. 직접 겪어보기 전엔 이 둘이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라는 사실을 몰랐다. 아이를 잠시 맡기고 나갔다가 서둘러 돌아와 다시 돌보는 것과 하루 종일 육아를 전혀 신경 쓰지 않는 것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


아침에 눈을 뜰 때부터 오롯이 나만을 위해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 가져다주는 해방감은 상상 이상이었다. 나는 이날 하루만은 아이에 대해 아무 걱정도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다행히 남편은 아기 씻기기, 먹이기, 재우기, 놀아주기 모두에 익숙하기 때문에 별로 걱정할 것이 없었다.


그래서 내가 하루 종일 뭘 했느냐고? 가장 먼저 한 것은 자전거 타기였다. 이 사소한 일이 나에게는 가장 하고 싶던 것이었다. 집에서 자전거를 타고 5분만 달리면 바로 한강공원이었지만 1년 넘게 자전거를 타보지 못했다.


아침 일찍 집을 나와 자전거 페달을 밟으니 상쾌한 바람이 얼굴을 때렸다. 아, 내 몸이 이렇게 가벼웠던가. 9kg이 넘는 아기를 안거나 업거나 유모차에 태워 밀고 다니다가 내 한 몸 훌쩍 자전거에 올라타고 달리자니 바람에 하늘하늘 흩날리는 벚꽃잎이라도 된 것 같은 착각이 들었다. 그러고 난 뒤에는 여유롭게 식사를 하고, 나만을 위한 쇼핑을 하고, 카페에서 책을 읽고, 보고 싶었던 사람들을 만나 오랫동안 수다를 떨었다.


그렇게 꽉 채운 하루를 보내고 집으로 돌아와보니 아이는 곤히 자고 있었다. 남편의 표정도 의외로 밝았다. 친구들을 불러서 같이 놀았단다. 아이가 낯선 사람들을 경계하며 아빠한테만 오겠다고 하는 걸 보고 이제는 확실히 아빠를 알아보는구나 싶어서 기뻤다고 했다. 온종일 아이를 데리고 있어보니 요리를 한다는 것은 사치이고 겨우 밑반찬으로 밥을 먹을 수 있었다며 그동안의 내 노고를 치하했다. 아하, 바로 이런 걸 가리켜 일석이조, 일거양득이라고 하는 거군.


145933279146_20160331.JPG » 아기와 함께 하는 식사는 전쟁이다. 남편이 아기를 업은 채 힘겹게 밥을 먹고 있다. 송채경화 기자<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열심히 보면서도 그동안 왜 한 번도 우리 집에 적용해볼 생각을 못했을까. 죄책감 때문이 아닐까. 엄마는 아이와 절대 떨어져선 안 되는 존재라는 사회적 인식과 남편에 대한 미안함이 함께 작용한 탓일 거다.

그러나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삶의 질이 달라진다. 엄마를 향한 비판적 시선은 신경 쓰지 않으면 그만이다. 그리고 남편의 경우 생각보다 덜 미안해해도 된다. 예상보다 남편의 만족도가 높았다. 아이와 온종일 부대끼면서 느끼는 행복감이 꽤 컸던 모양이다. 온 가족이 함께 보내는 날에도 아이는 대체로 엄마가 돌보게 되지 않던가. 남편에게도 아이를 오랜 시간 자세히 들여다볼 기회가 필요하다. 나머지 날에는 아내의 잔소리를 덜 들어도 되니 그에게도 남는 장사다. 엄마들이여, 우리도 ‘슈퍼맨’을 적극 활용합시다!


(*이 글은 한겨레21 제1105호(2016.3.30)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송채경화
결혼 안 한다고 큰 소리치다가 서른넷에 결혼했다. 아이를 안 낳겠다고 떠들다가 결혼한지 1년 만에 아이가 생겼다. ‘평생 자유롭게 살겠다’던 20대의 꿈은 잠시 접어두고 하루하루 모성애를 탐구하며 보내는 서른 여섯 초보 엄마. 2008년 <한겨레>에 입사해 사회부, 정치부를 거쳐 <한겨레21> 정치팀에서 일하다 현재 육아휴직중이다.
이메일 : khsong@hani.co.k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52947/413/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60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들과 함께 하는 선거 imagefile [2] 신순화 2016-04-15 9725
160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그 여자의 취미생활 movie [9] 케이티 2016-04-11 11253
160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우리집 100년 레시피 imagefile [5] 윤영희 2016-04-10 11105
1602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육아아빠 기쁨-의무 사이 imagefile [10] 강남구 2016-04-10 19819
160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사랑이야 imagefile [2] 최형주 2016-04-08 8819
160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봄이다 얘들아, 봄 맛을 보자! imagefile [8] 신순화 2016-04-08 11568
159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이 터졌다, 관계의 몸살 imagefile [4] 윤영희 2016-04-08 13600
1598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또 하나의 연애편지 imagefile [13] 안정숙 2016-04-07 15814
159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1편] 4.13 꽃구경이나 가야지~ imagefile [2] 지호엄마 2016-04-07 8592
159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부엌공동육아모임, 이렇게 만들어 보세요 imagefile [2] 윤영희 2016-04-07 10886
159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폰을 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imagefile [3] 홍창욱 2016-04-07 11029
»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엄마에게 자유를 허하라! imagefile [3] 송채경화 2016-04-06 29271
1593 [앙큼군과 곰팅맘의 책달리기] 모태 산꾼, 칭찬 먹으러 가요 imagefile [2] 권귀순 2016-04-05 25955
159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또 하나의 소셜마더링, 아동전문병원 image [8] 케이티 2016-04-03 9836
159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복 받아라! imagefile [6] 최형주 2016-04-01 8601
159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바쁘다 바빠, 학부모회장!! imagefile [8] 신순화 2016-03-31 13528
1589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두려움의 극복, 두려운 시간과의 만남 imagefile [4] 강남구 2016-03-31 13954
1588 [김명주의 하마육아] 이별의 맛은 언제나 초콜릿 imagefile [1] 김명주 2016-03-28 13201
158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0편] 인공지능! 놀라운 발전이긴한데... imagefile [4] 지호엄마 2016-03-28 10572
1586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옥상 텃밭, 또 하나의 '자식 농사' imagefile [6] 양선아 2016-03-28 19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