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율이~3.JPG 

요즘 만나는 사람마다 묻는다. 언제 둘째 가질 거냐고. 요즘 인사 대신 듣는 질문이라서 아예 모범답안까지 마련해두었다.

그런데 남편과 내 대답이 다르다. 내 대답은 생길 때 되면 생기겠죠?’인데, 남편의 대답은 아주 고전적이면서도 절박한 속내가 담겨있다. ‘하늘을 봐야 별을 따죠!’

오랜만에 친구가 놀러 왔다. 또 예상질문 나오신다. 남편이 또 하늘타령을 한다. 그런데 이 집요하고 거침없기로 유명한 이 친구가 거기서 멈출 리 없다.

왜요? 자주 안 해요? 일주일에 얼마나 하는데요?”

원래 이런 류(?)의 이야기는 내가 떠들면 떠들지, 남편은 수줍음을 타서 잘 못한다. 그런데 그날은 아주 작정을 한 듯 했다.

???? 일주일요? 아마 한 달에 한 번 할 걸요!”

안 그래도 눈이 큰 친구의 동공이 무한 확장되었다.

뭐라고????? 에이너무했다. 네가 잘못했네…”

친구가 받아주니, 아주 신이 나서 아예 성토의 장이 되었다.

매일 머리 아프다, 몸이 안 좋다, 핑계를 대요.아무래도 애정이 식은 거 같아요...”

요즘 정말 피곤해서 생각이 없다, 나와는 반대로 농사를 지으면서 몸이 아주 원초적(!)이 된 남편의 요구를  따라가기에는 너무 힘들다. 너무 결과 중심적이다 등등 나도 나름대로 항변해보았지만, 친구의 결론은 이렇다.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해라!”

참고로 이 애매한 것을 정해준 친구는 싱글 여성이시다.ㅋㅋ 싱글여성한테 부부관계 상담을 받고 있는 처지가 된 이 시추에이션은 뭔지!!! 아무튼 남편과 나 사이에 팩트의 엄청난 차이, 둘째에 대해서도 약간의 온도차이가 있지만, 애정녀의 등장으로 나는 둘째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소율이~2.JPG  

일단, 나도 아이가 더 있었으면 하는 생각은 분명히 있다. 방법은 임신일수도 있고 입양이 될 수도 있다. 내가 아이를 특별히 좋아해서, 아이를 키울 능력이나 준비가 돼서는 아니다. 아예 시작을 안 했으면 모를까, 시작한 김에는 형제, 자매는 있는 게 좋겠다. 문제는 머리와 몸이 따로 노는 게 문제다. 분명히 머리를 그렇게 생각하는데, 몸이 따라주질 않는다. 머리로는 둘째 생각이 있는데, 몸이 사실상 출산파업을 하고 있는 상태랄까? 물론 피임을 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나의 적극적 의지는 결여된 상태로 남편의 요구에 아주 최소한의 방어로 일관하면서 태업을 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마냥 태업을 할 수만도 없는 노릇이다. 초산이 늦었던 데다 나도 이제 40을 바라보고 있다.

몸이 동하지 않는 이유가 뭘까?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이 너무 만족스럽고 행복해서 이 균형을 한동안 유지하고 싶다는 생각도 있다. 그리고 일과 육아의 병행에 대한 고민도 빼놓을 수 없다. 이미 아이를 키워놓은 분들은 애들은 낳아놓으면 저절로 큰다, 둘째부터는 수월하다, 터울이 너무 많이 지면 힘들다며 빨리 서둘러 가지라고 한다. 둘씩 낳고 출산기능을 정지시킨 분들은 더 낳지 않은 게 너무 후회된다며, 적어도 셋은 낳으라고 한다. 아이가 남는다나? 아주 공감이 안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흔쾌하게 그러자고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과연 내 몸은 누가 동하게 만들어줄 것인가나도 궁금하다.

현재 우리나라 출산율은 1.12로 조만간 1이하로 떨어질 거란 전망도 있다. 그런데 현재의 인구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 여성 1명이 가임 기간 동안 낳아야 하는 합계출산율은 2.1이라고 한다. 내가 1 2, 그 사이에 있다. 고냐 스톱이냐, 고민이다. 이걸 연구하고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출범한 2.1연구소에 나 스스로가 연구대상이 될 용의가 있다. 내가 1에서 2로 넘어 가는 날, 둘 중 하나다. 우리 사회가 대단히 좋아지거나, 첫째처럼 사고(!)이거나. 그 귀추가 주목된다.

소율이~4.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김연희
30대 중반, 뒤늦게 남편을 만났다. 덜컥 생긴 아기 덕분에 근사한 연애와 결혼식은 건너뛰고, 아이 아빠와 전격 육아공동체를 결성해 살고 있다. '부자 아빠=좋은 아빠', '육아=돈'이 되어버린 세상에 쥐뿔도 없으면서 아이를 만났고, 어쩔 수 없이 '돈 없이 아기 키우는 신세'가 되었다. 처음엔 돈이 없어 선택한 가난한 육아였지만, 신기하게도 그 경험을 통해 가족, 친구, 이웃과의 관계를 풍요롭게 만들어가고 있다. 더불어 몸의 본능적인 감각에 어렴풋이 눈을 뜨 고 있으며, 지구에 민폐를 덜 끼치는 생활, 마을공동체에 재미를 들여가고 있는 중이다.
이메일 : tomato_@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slowlife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4953/de8/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36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쭈쭈 없는 아빠의 설움 imagefile 홍창욱 2011-11-07 55401
364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폴라로이드카메라 imagefile [1] 윤아저씨 2011-11-03 14881
363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엄마는 베이스, 아들은 드럼 imagefile [6] 전병희 2011-11-03 16257
362 [김연희의 태평육아] 왜 하의실종 종결자가 되었나? imagefile [3] 김연희 2011-11-02 59420
36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 여덟명 시댁 식구, 1박 2일 손님 치르기 imagefile 신순화 2011-11-01 19170
36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육아의 적들...답이 어디에? imagefile [4] 홍창욱 2011-11-01 19386
» [김연희의 태평육아] 1과 2 사이, 고냐 스톱이냐? imagefile [4] 김연희 2011-10-28 18228
358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나만좋아해 imagefile [2] 윤아저씨 2011-10-27 14214
357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베이스맘이 전하는 보육기관 알아보기 팁 imagefile [10] 전병희 2011-10-27 16506
35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홉살 아들, 돈벌이에 나서다! imagefile 신순화 2011-10-25 17242
35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엄마표 돌잔치? 이제 대세는 아빠표 돌잔치다 imagefile [2] 홍창욱 2011-10-25 54728
35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도끼질 하는 남편 imagefile [12] 신순화 2011-10-21 133346
353 [김연희의 태평육아] 어머...나는 변태인가? imagefile [3] 김연희 2011-10-20 75727
352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나는 이래서 엄마표 전담 육아 한다 imagefile [6] 전병희 2011-10-20 16971
351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그냥그런거지 imagefile [2] 윤아저씨 2011-10-19 14355
350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젖떼고 첫 맥주, 나보고 정신 나갔다고? imagefile [7] 양선아 2011-10-19 59634
34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뽀뇨가 커서 아빠를 원망하진 않을까? imagefile 홍창욱 2011-10-18 29204
348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 안녕하세요. 베이스맘의 베이스육아를 소개합니다. imagefile [6] 전병희 2011-10-13 22522
347 [김연희의 태평육아] 대충 키우는 ‘태평육아’, 대충 잘 큰다 imagefile [9] 김연희 2011-10-13 70079
34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전업육아 다이어리를 열며 imagefile [8] 홍창욱 2011-10-12 75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