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a15a9b540aae6d375f4634d344768.



이 지면을 빌어 남편의 금연을 공개한 지 한달이 되어간다.

처음엔 정말 담배를 끊을까, 혹시 출장가서 피는거 아니야, 의심하기도 했지만

담배라는 게 그렇다. 한번만 피워도 속일 수 없다. 입에서 냄새를 없애도 머리칼에, 옷에

체취에 스미는 건 막을 수 없다. 그런 면에서 남편은 잘 해내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예상했던대로 ‘금단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군것질이 늘고, 짜증도 늘고, 신경질도 나타나고, 예민해지고, 화도 잘 내고, 식탐이 생기고

등등 다양한 금단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특히 군것질이 늘면 체중도 같이 늘 수 있다고

경고해 주는 지인들도 있어서 나름 각오는 하고 있었다.

집에도 차에도 껌통들이 있고 수시로 껌을 씹고 과일을 먹어대는 거야 당연하게 여기고 있지만

남편의 몸은 그간 쌓아둔 니코틴을 한꺼번에 배출하기로 결심한 것처럼 잔기침이 터져나오고 있다.

이곳 저곳 알아보니 그것도 일종의 치유현상이란다.



담배가 주는 독으로 짓눌려 있던 몸이 이제 살만해지니까 그동안 쌓여있던 독성들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기침을 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일 리 있다.

수십년 쌓여있던 담배 독이 하루 아침에 빠질까. 몇 달이 가도 당연하겠다.



이런 금단현상이야 다 이해도 할 수 있고, 받아줄 수 있는데 문제는 이게 아니다.

주말만 되면 남편은 그야말로 병든 닭이 되 버린다.

늦잠에서 일어나 아침 먹고 다시 눕고, 깨워서 점심 먹으면 또 방 구석에 가서 누워 버리고,

꾹 참고 다시 깨워 저녁을 먹이면 일찌감치 이불 속으로 들어가 버린다.

어디가 아픈 거냐, 그렇게 피곤하냐 물어도 대답이 없다. 멍하니 나를 쳐다만 본다.

애들한테 갔다가 다시 와보면 여지 없이 구석에서 꾸벅 꾸벅 졸고 있다. 차라리 침대에라도 가서

제대로 누우라고 등을 밀고 만다.

아무런 재미도 의욕도 없는 사람 같다. 담배를 필때는 주말에 집에 있어도 수시로 현관 밖으로 나가

한 대씩 피우고 돌아오던 사람이다. 담배 냄새 난다고 핀잔을 해도 빙글거리며 곁으로 와서

말도 걸고, 애들도 봐주던 사람인데 그렇게 이뻐하는 아이들이 매달려도 귀찮은 듯 마지 못해

몸을 일으키고, 잠시 후에 가보면 애를 곁에 앉혀 놓고 또 자고 있다. 복장이 터진다.

엄마  떨어진 아이처럼, 굶주림에 지친 사람처럼, 남편은 무기력하게 잠 속으로만 도망간다.

꿈 속에서 아쉽게 한 대 피우고 있는건지, 꿈이라도 꾸어야 견딜 수 있는건지 알 수가 없다.



수십년 동안 하루에도 수없이 피워 오던 담배를 끊는 일이 수월하게 되리라고 기대했던 것은 아니다.

담배를 끊자마자 원기충천해서 운동도 시작하고, 집안일도 적극적으로 돕고, 활기 넘치게

생활하는 것을 기대했던 것은 더더욱 아니다. 당연히 힘들겠거니, 쉽지 않겠거니 짐작하고

예상하고 있었다. 갑자기 몸이 아프기도 하려니... 이런 예상도 있었다.

그런데 이렇게 무기력하게 반응이 없이 잠만 자려고 하고, 움직이려고 하지 않으니 곁에 있는

사람도 정말 힘들다.

다 큰 아이 하나만 있다면 그래도 참을 수 있다.

한 살, 네 살 딸아이들이 번갈아가며 열 감기에 콧물, 기침 감기를 앓는 통에 잠도 제대로 못자고

지내고 있는 나는 그나마 남편이 종일 있는 주말만 고대하며 지내는데 정작 주말이 되면

금단현상 겪고 있는 남편까지 봐줘야 하니 이러다가 내가 쓰러질 지경이다.



짜증내지 말아야지, 얼마나 힘들면 저럴까, 조금만 참으면 지나가겠지... 해도

당장 내 몸이 너무 고달프니까 인내심도 바닥이 난다. 마음으로 참을 인자를 수없이 써가며

꾸욱 참고 도를 닦고 있다. 이렇게 도를 닦다간 머지않아 공중부양 하겠다.



담배를 끊고 좀비가 된 남편...

정상적인 인간으로 되돌아오려면 얼마나 걸릴라나.

그래도 응원해야지. 금연은 성공해야 한다.

공중부양을 하게 되더라도 조금 더 참아주자!

막내가 조금 더 크면 내가 몽땅 데리고 나가 산에도 오르고, 운동도 시키리라.

좀비 남편이여...

바다 같은 마음으로 봐 줄테니 기운내시라!!!!!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8318/8bf/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16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다짜고짜 아슬아슬 성교육, 아들 답이 걸작 imagefile [29] 신순화 2012-03-04 241209
2163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남편이 본 아내의 임신 - (5)성(性)의 도구화 image [1] 김외현 2012-05-14 173957
216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자, 생각해 볼까? imagefile 신순화 2019-04-12 156043
2161 [사진찍는 엄마의 길 위의 생각] 엄마 따라 3년째 싱싱한 자연감성 쑥쑥 imagefile 빈진향 2014-07-15 151241
216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40대 유부녀가 제대로 바람나면? imagefile [11] 신순화 2012-04-10 147719
215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와 무슨 이야기를 나눌까? imagefile [2] 신순화 2019-03-25 145821
215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방탄 소년 VS 방탕 소년 imagefile [3] 신순화 2019-03-22 144132
215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9편] 엄마도 봄! imagefile [9] 지호엄마 2019-03-12 134622
215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도끼질 하는 남편 imagefile [12] 신순화 2011-10-21 133053
2155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내가 사는 제주도 집에 가족들이 왔다 imagefile 최형주 2019-05-27 127649
215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나...... 좋아하는 사람 생겼어요!' imagefile [11] 신순화 2012-04-03 120258
2153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33편] 왜 이제야 나타난거야? 베이비트리 앱 imagefile [1] 지호엄마 2014-02-20 109829
2152 [김연희의 태평육아] 노브라 외출, 사회도 나도 준비가 안됐다 imagefile 김연희 2011-08-19 108212
2151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28편] 추석 연휴, 엄마와의 힐링 여행 imagefile [20] 지호엄마 2013-09-25 103015
2150 [김미영 기자의 공주들이 사는 법] 4.19kg의 거대아(?) 출산후기 1 imagefile [7] 김미영 2012-03-27 102515
214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딸딸이가 뭐예요?" 엄마와 아들의 `성문답' imagefile [9] 신순화 2013-04-09 99380
2148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미안하다 딸아, 겁부터 가르쳐야하는 엄마가 imagefile 양선아 2010-07-23 98603
2147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만 네 살, 우리는 여전히 [11] 케이티 2016-12-13 95251
2146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19편] 엄마의 선택, 아~ 발도르프여! imagefile [10] 지호엄마 2012-12-27 92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