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075173_P_0 copy.jpg » 한겨레 사진 자료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케이티를 아직 한 번도 보지 못한 우리 외할매.

아흔의 우리 외할매. 

우리 외할매가, 떠난다. 

둥둥, 바람에 날려, 한 줌 먼지가 되어, 떠난다. 


우리 가족을 통틀어 내가 가장 좋아했던 사람.  

내 힘들었던 유년기, 수 십 통의 '연애편지'로 소식을 전하며 내게 위로가 되어 주었던 사람. 

부지런하고 섬세한 손놀림을 가졌던 사람. 

그 손놀림으로 덧신부터 원피스, 커튼까지 모두 손뜨개로 만들어 주변 사람들과 나누었던 사람. 

너무도 많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던 사람. 

그래서 내 이야기의 원천, 내 생애 최고의 이야기꾼이었던 사람. 


일제 시대에 여학교를 다녀 본래 이름 대신 '고가네 요시꼬'라는 창씨개명한 이름으로 살아야 했던 여자. 위안부 징집을 피해 도망쳐야 했던 여자.  

전쟁통에 첫 남편과 헤어져 끝끝내 남자의 생사도 모르고 살아야 했던 여자. 

피난길에 등에 업힌 갓난 아이가 죽은 줄도 모르고 있다 뒤늦게 발견해 울며 강가에 아이를 묻고 돌아서야 했던 여자. 

휴전 후 혼란기에 만난 두번째 남편도 갑자기 세상을 떠나 혼자 아이 셋을 키워내야 했던 여자. 

여자 혼자 아이 셋 데리고 할 수 있는 일이 없어 고아원, 보육원을 전전하며 내 아이를 전쟁 고아들과 함께 키워야 했던, 그래서 고아들이 내 아이인지 내 아이가 고아인지 그저 다같이 품어 키워야 했던 여자. 


그런 사람이, 간다. 

먼지가 되어, 둥둥. 


너무 멀리 있어 발 동동 구르며 울고만 있을 막내 외손녀를 위해, 

오래전 여읜 두번째 남편 옆에 묻히기보단 바람결에 흩날리길 원했나보다. 

바람 타고 둥둥, 한번도 와 본 적 없는 이 미국 땅까지 날려와 내 볼에, 내 손에 

그 내음, 그 체온, 그 손길 한번 전해주고 가려고. 내 아이 재롱 한번 보고 가려고. 


당신 떠나면 내가 제일 많이 울 거라며, 내 새끼 내 강아지 막내 외손녀가 제일 많이 울 거라며 

입버릇처럼 말하던 우리 외할매. 그걸 알아서, 마지막 가는 길엔 외손녀 꿈에도 들르지 않고 그렇게 훌쩍 가버렸나보다. 가족에게조차도 민폐 끼치는 일 같은 건 없어야 한다고 믿었던 우리 할매, 의식 잃어 '때가 되었다'는 의사들 말에 응급실, 중환자실을 거쳐 일반 병실로 옮겨진 지 30여 분 만에 편안히 눈을 감았다는 우리 할매. 그 마지막 순간에 그녀를 편안하게 만들어 준 기억은 과연 언젯적, 어떤 기억이었을까. 나는 아직 다 못 들은 이야기가 많은데, 그 많은 이야기를 지고서 둥둥, 내게로 건너오는 중일까. 


기어이 오고 만 이 순간이, 

나는 못내 원망스럽다. 

이럴 줄 어렴풋이 알고 있었으면서도, 내 생애 처음 맞는 영원한 이별의 순간을 

어떻게 매듭지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

엉엉, 소리내어 울다가도 아이가 곁에 와 재롱을 부리면 피식, 웃게 되는, 

아이가 있어 밥도 먹어야 하고 기저귀도 갈아야 하고 노래하고 춤추며 놀기도 해야 하는 이 일상 속에서 나는 갈피를 잡을 수가 없다. 


엄마가 된 막내 손녀가 할매를 떠나 보내는 일.. 참 쉬운 일이 아니다. 다음 세대를 낳아 기르고 있으니 앞선 세대를 기꺼이 보내줘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우리 모두 '태어나 살고 죽는' 인간의 삶을 살고 있음을, 그래서 할매가 가고 나도 언젠가 가고 내 아이도 언젠가 가리란 걸 알면서도, 나는 지금 이 순간이 어렵고 힘들다. 여기 멀리 앉아 울다 웃다 하며 글로 할매를 떠나보내는 의식을 치르고 있는 이 순간이, 너무나도 어렵고 힘이 든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서이슬
'활동가-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다. 막연했던 그 꿈에 한발 더 가까워진 것은 운명처럼 태어난 나의 아이 덕분이다. 아이와 함께 태어난 희소질환 클리펠-트리나니 증후군(Klippel-Trenaunay Syndrome)의 약자 KT(케이티)를 필명으로 삼아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라는 제목의 연재글을 썼다. 새로운 연재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은 아이책, 어른책을 번갈아 읽으며 아이와 우리 가족을 둘러싼 세계를 들여다보는 작업이다. 내 아이 뿐 아니라 모든 아이들을 함께 잘 키워내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되는 글과 삶을 꾸려내고 싶다.
이메일 : alyseul@gmail.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alyson0215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246224/994/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육아의 가치와 고됨을 학교에서 배운다면 [14] 케이티 2015-01-22 11191
3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내보내기 위해 잠깐 품는 것 [14] 케이티 2015-01-15 10949
3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두 살 아이의 말 배우기, 반갑고도 속상한 이유 imagefile [13] 케이티 2015-01-07 14433
3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로렌조와 케이티 다르지만 같은 이름 imagefile [6] 케이티 2015-01-01 17744
31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소박한 크리스마스, 아픈 연말 imagefile [8] 케이티 2014-12-24 10944
30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슈퍼맨 엄마 아빠, 산타가 되다 imagefile [8] 케이티 2014-12-18 12056
29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깻잎에서 편지까지, 산타로 온 인연들 imagefile [6] 케이티 2014-12-09 10991
28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블랙 프라이데이, 퍼거슨, 그리고 우리 imagefile [6] 케이티 2014-12-02 10648
27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아픈 아이의 엄마로 살며 '나'를 잃지않기 imagefile [11] 케이티 2014-11-24 9604
26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세상 모든 아기들에게 책 꾸러미를! imagefile [2] 케이티 2014-11-19 10021
2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화장지의 변신, 엄마표 장난감 imagefile [24] 케이티 2014-11-12 23018
2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희소질환/장애와 함께 살아가기 imagefile [18] 케이티 2014-11-01 13377
2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짝짝이 신발을 신는 아이 imagefile [20] 케이티 2014-10-21 15970
2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할매, 할매, 우리 아가 다리 좀 고쳐 주고 가소 imagefile [18] 케이티 2014-10-11 13194
»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먼지가 되어, 떠난다.. 우리 할매가. imagefile [18] 케이티 2014-10-06 9842
20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우리에게 둘째는 없다 imagefile [7] 케이티 2014-09-29 11336
19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남편과 오순도순, 우리끼리 산후조리 imagefile [6] 케이티 2014-09-17 13326
18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독립군 학생 부부, 99만9천원 육아기 imagefile [19] 케이티 2014-09-09 13576
17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교육, 그 본질과 변질 사이에서_희망의 불꽃 이야기 [2] 케이티 2014-08-30 9719
16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집은 '사는 것'이 아니라 '사는 곳' <희망의 불꽃> 이야기 imagefile [4] 케이티 2014-08-22 1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