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Christian Fregnan.jpg

(photo by Christian Fregnan)


여성이라는 존재의 특별함을 본격적으로 인식한 것은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에 나갔을 때였다. 내 첫 직장은 은행이었는데, 우리 기수에는 남녀 비율이 1 4 정도로 여자가 월등히 많았다. 그러나 신입 행원 연수를 갔을 때 우리를 가르친 교수님(실은 선배 행원들인)’들은 모두 남자였고, 우리를 인솔한 교관이나 각 팀의 리더, 연수의 책임자들도 모두 남자였다. 연수 도중 유난히 총명한 눈빛을 발하던 여자 동기 하나가 이렇게 물었다. “그런데 왜 저희를 가르치는 분들이 모두 남자인가요?” 그 말을 들은 교수는 당황스러운 듯 머리를 긁적이다가 여기 계시는 여성 행원들이 훌륭하게 성장하여 나중에 이 자리에 교수로 서시라고 답했다. 이후로 나는 여러 직장을 전전했고, 어느 곳에서나 낮은 직급이거나 단순노동으로 분류되는 자리는 여자가, 대표성을 띠거나 고위직으로 보이는 자리는 남자가 차지하는 장면을 당연한 일인 양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런 경향은 비단 회사나 일반 사회조직에만 있는 게 아니었다. 직장에 다니던 어느 해 여름, 당시 유행하기 시작한 템플 스테이에 34일로 참여했던 적이 있다. 강원도 깊은 산골에 있는 단아한 절에 들어섰을 때, 파르라니 깎은 머리의 젊은 남자 스님이 우리를 맞았다. 수행을 주관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파해주실 담당 스님이었다. ‘속세의 때가 묻지 않았다는 말은 이런 사람을 보고 하는 것이로구나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맑은 눈과 선한 미소를 지닌 스님이셨는데, 설법 도중 자주 이렇게 말씀하셨다. “돈하고 여자를 조심해야 해. 항상 그 두 가지가 문제야.” 후렴구처럼 반복되는 그 말씀을 들을 때마다 마음속으로 되뇌었다. ‘저는 여자인데요? 어떻게 여자가 여자를 조심해요?’ 설법 중간에는 여자의 유혹을 이겨내야 한다는 말도 심심치 않게 등장했고, 참가자 대다수가 여자인데도(총 인원 열다섯 명 중 열 명이 여자였다) 주어를 남자로 설정한 천편일률적인 설법은 34일 내내 한결같이 이어졌다. 스테이를 마친 뒤 고속버스를 타고 돌아오면서, 나는 그 눈빛이 맑은 스님의 마음을 헤아려보았다. 어떻게 그게 가능하지? 눈앞에 수많은 여자들이 앉아 있는데 그들을 향해 여자를 조심하라는 말을 그렇게 여러 번 하면서 단 한 번도 이상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 게어떻게 가능하지? 내가 그 스님이었다면 가능했을까? 눈앞에 수많은 남자들이 앉아 있는데 그들을 향해 설법을 하면서 돈과 남자를 조심해야 한다고 말할 수 있었을까?


이 물음에 답이 될 만한 안이 한 가지 있으니, 여자는 너무 투명해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너무나 투명해서, 그게 너무나 자명하고 익숙해서, 누구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었다는 것. 이를 깨닫게 되자 그동안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였던 뉴스 속 언어나 생활 규범, 서사 속 인물들이 얼마나 남성 위주로 짜여 있는지를 인식하게 되었다. 내 안에도 당연한 듯 사람남자로 가정하는 경향이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도.


그런 인식은 평화롭던 내 일상을 산산조각 내버렸다. 그때까지 제도권 교육에서 배웠던 지식들이 근저에서 흔들리기 시작했고, 커다랗게 한 무리를 이루었던 주위 사람들이 갑자기 두 갈래로 나뉘며 범접할 수 없는 위화감을 형성했다. 한쪽 성에 속하는 사람들을 불편하게 인식하며 고통과 혼란 사이를 거칠게 통과해가면서, 나는 여성을 화두로 하는 책을 찾아 읽기 시작했다. ‘또 하나의 문화에서 나온 <새로 쓰는 성 이야기>, <새로 쓰는 사랑 이야기>,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등을 읽으며 그동안 당연시 했던 세상의 모습이 하나하나 깨져나가는 광경을 목격했다.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관습들이 깨지면서 그 저변에 놓인 인류의 카르텔과 정면으로 맞닥뜨렸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정아은
헤드헌터, 번역가, 소설가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며 살아왔지만 저의 제1 정체성은 언제나 ‘엄마'였습니다. 엄마 경력 12년에 접어들던 어느날, 좋은 엄마가 되겠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너무 아등바등 살아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지요. 그때부터 이 글을 쓰기 시작했고, 연재 글을 바탕으로 에세이 <엄마의 독서>를 펴냈습니다. 2013년 < 모던 하트 >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했고, 이후 장편소설 < 잠실동 사람들 >, < 맨얼굴의 사랑 >을 펴냈습니다.
이메일 : emma750322@hanmail.net      
블로그 : http://blog.naver.com/emma1027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56217/a8b/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05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시시포스가 되어 날마다 산을 오르다: 엄마의 탄생 imagefile [1] 정아은 2017-12-28 10932
200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사춘기 초입, 따뜻한 동행 imagefile [4] 정은주 2017-12-27 11868
2003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그립고도 미안한 사랑…제천 희생자를 추모하며 imagefile [1] 강남구 2017-12-27 11849
200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삼천번 절은 못 했지만... imagefile [2] 신순화 2017-12-26 11842
2001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정신 차리고 너부터 고쳐! - 엘리자베트 바댕테르 《남과 여》 imagefile [1] 정아은 2017-12-21 12034
200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돌을 좋아하는 딸들에게 image [1] 신순화 2017-12-20 9831
1999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아들 딸 구별 말고 서이슬 2017-12-20 8517
1998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한밤 전화, 슬픔의 무게 imagefile 강남구 2017-12-19 8987
199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2편] 엄마의 혼밥 imagefile [2] 지호엄마 2017-12-19 10533
1996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좋은 죽음, 풀뿌리 운동 imagefile 정은주 2017-12-15 6913
1995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너는 ‘그나마 나은 편’이라고?: 결혼이라는 통과의례 imagefile [4] 정아은 2017-12-14 10754
199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생리컵에 대한 아이들과의 토크 image [9] 신순화 2017-12-12 13315
1993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1편] 상처 imagefile [1] 지호엄마 2017-12-12 28484
199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내의 첫 운전교습 imagefile [2] 홍창욱 2017-12-12 8910
1991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 박완서 《엄마의 말뚝》 imagefile 정아은 2017-12-11 8487
1990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왜 창남은 없는가 - 니키 로버츠 《역사 속의 매춘부들》 imagefile [3] 정아은 2017-12-07 18151
1989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팬케이크와 비지찌개 imagefile [2] 서이슬 2017-12-07 7537
1988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나도 입양되지 않았다면..." image [1] 정은주 2017-12-06 8631
198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누라보다 딸이 더 좋지? imagefile 신순화 2017-12-05 11580
»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투명 인간의 발견: 사회라는 그 낯선 세계 imagefile [3] 정아은 2017-12-04 10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