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청소한 게 언제였더라 ...

아무리 기억을 더듬어 봐도 그 마지막이 언제였는지 생각나지 않는다.

냉장고를 열 때마다 눈에 거슬리는 자잘한 얼룩들,

야채실에 뒹구는 양파껍질이랑 흙 부스러기들,

가장 만만하게 믿었던  냉동실마저 그동안 방치당했던 흔적들이

더 이상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자주 발견되고 있다.


굳이 안을 열어보지 않아도 냉장고 문 표면은
두 아이가 과격하게 열고 닫으며 묻혀놓은 손자욱과 얼룩으로

보기가 민망할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이런 식품저장고 속에 질좋은 유기농 식재료를 사다 넣어둔들,

제대로 된 신선도를 유지할 수나 있을까?

그렇잖아도 냉장고만 바라보면 스트레스가 쌓이는 요즘인데

각종 포털 사이트 메인화면에는 


- 장마철, 냉장고 속을 믿지 말자.

- 아이들 장염과 식중독 예방은 냉장고 관리부터.
- 냉동실 관리를 잘못하면 식중독 균의 온상이 된다.

 

는 식의 글들이 자주 눈에 띈다.

너무 잘 아는 이야기에, 해마다 이맘때면 어김없이 나오는 뉴스들이라

그렇지 뭐.. 하고 지나칠려고 하는데, 사람 마음이라는 게 대충 알고 있던 사실에

'확인'이란 과정을 한번 거치고 나면 그냥 무시하기가 힘들어진다.

냉장고 청소라는 고지를 향해 무거운 내 엉덩이를 움직이게 만든

가장 강력했던 말은 바로 이런 것이었다.

"냉장고 관리, 특히 냉동실 청소를 소흘히 하면 일반 식중독균 등이

변기나 개수대보다 더 많이 자라는 수도 있다."

뭐 처음 듣는 말은 아니었다.

손에 자주 닿고 늘상 쓰는 물건들이

오히려 화장실 변기보다 세균이 더 많을 수 있다는 건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

그런데, 입으로 들어가는 식재료들을 그런 공간에 장기간 넣어두고 있다는 것,

더구나 아이들 건강과 직결되는 공간이 바로 우리 가정의 냉장고라는 사실,

1학기가 점점 마무리되어가는 요즘, 더위와 습기에 부쩍 피곤해보이는

아이들의 몸을 생각하니 더 이상 청소를 미룰 수가 없었다.


그런데 문제는 냉장고 청소가 생각보다 중노동이라는 사실.

속에 별로 든 게 없으면 청소도 수월할텐데.

생협 물건이 도착하면, 마트에서 장을 봐오면, 뭐든 좀 먹다 남으면,

무조건 냉장고로 고고씽시키다 보니.. 아마 엄격하게 분류해보면 다시 조리해서

먹기가 꺼려지거나 처분해야 할 식재료가 몇 분의 1 정도는 될 것 같다.

다 돈 주고 산 거니, 아까워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음식들을

냉장고에게 그저 떠맡겨 버린 건 아닐까.

습기와 비오는 날이 많은 일본은 드디어 긴 장마철이 시작되었다.

더 이상은 안되겠다 싶어, 냉장고 청소를 과감하게 시작했는데

체력과 지구력이 급격히 떨어진 40대 엄마인지라,

냉장실/야채실/냉동실로 하루씩 나누어서 매일 조금씩 청소하는 방법을 적용해 보았다.

냉장실 안에 필요없는 것들은 버리거나 치우고, 달걀이나 음료를 보관하는 케이스들을

모두 꺼내 씻어 말린 뒤 다시 세팅하고 나니,

와우!  이 얼마만에 보는 비주얼인가! 실내가 훤하고 넓어져서 열 때마다 기분이 좋아진다.


냉장고 용량의 70% 이상, 너무 꽉 차게 식품을 보관하면

냉기가 제대로 순환되지 않아 구석에서 음식이 상할 수 있다는 게

이래서 그렇구나, 하는 걸 가뭄에 콩나듯 청소를 할 때마다 실감하게 된다.

아직 냉동실과 야채실 청소가 남아있긴 하지만

7월을 싱그럽게 시작하는 의미로 오늘 내일 중으로 끝내기로 마음먹어 본다.


냉장고와 씨름한 시간을 보낸 뒤, 텃밭에 다니러 갔을 때

밭은 정말 훌륭한 천연 냉장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충분한 수분과 최고의 신선도를 유지시켜주는 자연의 냉장고.


밭에서 금방 딴 채소들이 가장 수분 함량이 높고 맛이 좋다는 것,

작물들이 밭에서 생산자를 거쳐 중간 상인을 거쳐 상품화되어 소비자에게 이르기까지.

소비자가 구매한 뒤에도 가정의 냉장고에서 장기간 보관된다는 것,

그 전체 과정을 생각하면 우리가 먹는 식재료는 비싼 돈을 주고도

가장 신선도가 떨어진 상태로 만들어 먹게 되는 건 아닐까.

냉장고 청소를 하다

식재료와 냉장고와 우리 가족 건강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DSCN5045.JPG
DSCN5037.JPG


텃밭에서 거둬온 채소들은 되도록 그때그때 조리해서 먹고,

다른 식재료들도 그때그때 필요한 만큼만 구입해서 만들어 먹기.

백만년에 한번 한 듯한 냉장고 청소지만,

깔끔하고 훤해진 냉장고를 보면

잠시동안은 그런 부엌살림 의욕이 샘솟곤 한다.


텃밭 냉장고에서 막 따온 채소들과 고기를 뜸뿍 넣어 만든 군만두.

비오는 여름날, 새콤달콤한 간장에 찍어먹고 싶다.

쾌적한 냉장고와 건강한 음식으로 아이들과 이 장마철을

건강하게 지낼 수 있기를!!


DSCN5022.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87031/469/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4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들의 생생한 글쓰기 imagefile [2] 윤영희 2017-09-13 12178
4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네 아이의 엄마가 된 날 imagefile [12] 윤영희 2015-08-31 12158
4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 생활교육, 쉬운 것부터 하나씩 imagefile [4] 윤영희 2017-01-16 11967
4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감자샐러드로 크리스마스 트리 만드는 법 imagefile [1] 윤영희 2016-12-24 11933
»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냉장고 안 안녕하십니까 imagefile [5] 윤영희 2015-07-01 11923
3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너의 그 존재가 아름다워 imagefile [3] 윤영희 2015-06-03 11891
3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여름방학, 아들의 도전 imagefile [2] 윤영희 2016-07-31 11875
3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우리집만의 12월 imagefile [2] 윤영희 2016-12-11 11758
3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캠프가 아니라도, 제주가 아니라도 imagefile [3] 윤영희 2014-08-19 11755
3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삶을 디자인할 수 있는 아이 imagefile [4] 윤영희 2018-04-30 11724
3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우리집만의 '윤식당' imagefile [4] 윤영희 2017-04-12 11405
3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모님의 삶, 그리고 마무리 imagefile [20] 윤영희 2017-02-19 11347
3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운동 교육에 부족한 2% imagefile [3] 윤영희 2016-07-11 11319
3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태양의 후예' 속 지진이 현실이 된다면 imagefile [7] 윤영희 2016-04-20 11275
2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에겐 책이 먼저일까, 경험이 먼저일까 imagefile [2] 윤영희 2017-08-07 11139
2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우리집 100년 레시피 imagefile [5] 윤영희 2016-04-10 11105
2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돈 밖에 없는 빈곤 imagefile [3] 윤영희 2016-11-30 11010
2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늦가을 사과밭 여행 imagefile [2] 윤영희 2015-11-24 11010
2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해마다 하는 아이의 생일날 의식 imagefile [6] 윤영희 2014-06-16 10996
2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가 자라는 소리 imagefile [8] 윤영희 2015-01-27 10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