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변환_DSCN7187.JPG



늦가을의 어느 주말.
텃밭 친구들과 고구마와 땅콩을 수확했다.
아무 것도 없을 것 같은 땅 속에서
마구마구 쏟아져 나오는 보물같은 고구마들.

해마다 경험하는 일인데도 아이들은 늘 신기해 하는데
고구마를 캐다가 작디작은 도마뱀 한 마리까지 덤으로 발견한 아들은
온 세상을 다 가진 듯 행복해했다.
작은 땅 몇 평이 아이들에게 얼마나 많은 것들을 경험하게 하는지,
텃밭에 갈 때마다 감탄하게 된다.

크기변환_DSCN7194.JPG

텃밭에서 가져온 고구마는
쪄서도 먹고
구워서도 먹고
튀김도 해 먹고
빵이나 케잌에도 넣어 먹고.

크기변환_DSCN7219.JPG

감이랑 얇게 썰어서 말려서 먹으면
말랑말랑한 게
식감도 영양도
아이들 겨울 간식으로 최고다.

크기변환_DSCN7196.JPG

연한 줄기는 나물로도 해 먹을 수 있으니
새삼
고구마가 대견하고 고맙게 느껴진다.
이 세상에 와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살다
최대한의 쓸모를 남기고 가니,
이보다 더 야무진 삶이 있을까.

어마어마한 돈과
최고의 권력을 가지고도
온 나라 사람들을 이렇게까지 못살게 굴고
자신의 삶까지 최악으로 만들어버린 사람들보다
고구마의 삶이 백만배는 더 훌륭하고 낫다.

돈 밖에 없는 빈곤.
모두들 돈 때문에 그 난리를 치며 살지만
그렇게나 많은 돈이 있어도
지혜나 인간다움,
그런 모든 것은 최악의 빈곤상태였던 사람들.
가장 돈이 많다는 강남구의 자살률이 높다는 것도
'돈 밖에 없는 빈곤' 때문은 아닐까.

이번 일을 겪으며
세상살이와 육아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아이들이 먹고 살아갈 돈을 벌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도와주는 것은 꼭 필요하지만
'돈 밖에 없는 빈곤'한 삶을 살지만은 않았으면 한다.

최소한의 여건과 비용으로도
세상에 쓸모있는 존재가 되고
자기자신도 만족하며 살 수 있는 사람으로 키우고 싶다.

크기변환_DSCN7179.JPG

다시 고구마에게 돌아와서.
먹을 것을 주는 것으로 고구마의 삶은 끝나지 않는다.
수확이 한창인 밭 한 켠에서 선배 엄마 몇 명이
나물을 해 먹을 수 없는 큰 줄기들을 엮어, 리스 형태로 만들고 있었다.
모두들 집으로 하나씩 가져가 아이들과 크리스마스 리스를 만들기로 했다.
정말, 아낌없이 주는 고구마,다.

크기변환_DSCN7193.JPG

주변에 이미 있는 것만으로도 필요한 것을 만들어 내는 삶.
고구마밭에서 배운 것이 너무 많다.

경제가 힘들다고 다들 걱정이 많지만
요즘 주말마다 열리는 촛불집회를 보며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훌륭한 시민들을 많이 가진 한국은 참 부자구나. 라는 생각.

이미 존재하는 것만을 가지고도 나라살림을 알뜰하게 꾸려갈 수 있는 사람이
새 대통령이 되었으면... 간절히 바란다.
제 자리를 잡는 날까지, 마지막 남은 올해 한달도
야무진 고구마처럼
아이들 열심히 키우고
나도 잘 살아야지.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676948/849/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4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들의 생생한 글쓰기 imagefile [2] 윤영희 2017-09-13 12156
4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네 아이의 엄마가 된 날 imagefile [12] 윤영희 2015-08-31 12144
4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 생활교육, 쉬운 것부터 하나씩 imagefile [4] 윤영희 2017-01-16 11962
4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감자샐러드로 크리스마스 트리 만드는 법 imagefile [1] 윤영희 2016-12-24 11925
3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냉장고 안 안녕하십니까 imagefile [5] 윤영희 2015-07-01 11916
3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너의 그 존재가 아름다워 imagefile [3] 윤영희 2015-06-03 11884
3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여름방학, 아들의 도전 imagefile [2] 윤영희 2016-07-31 11865
3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우리집만의 12월 imagefile [2] 윤영희 2016-12-11 11754
3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캠프가 아니라도, 제주가 아니라도 imagefile [3] 윤영희 2014-08-19 11742
3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삶을 디자인할 수 있는 아이 imagefile [4] 윤영희 2018-04-30 11709
3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우리집만의 '윤식당' imagefile [4] 윤영희 2017-04-12 11392
3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모님의 삶, 그리고 마무리 imagefile [20] 윤영희 2017-02-19 11346
3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운동 교육에 부족한 2% imagefile [3] 윤영희 2016-07-11 11307
3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태양의 후예' 속 지진이 현실이 된다면 imagefile [7] 윤영희 2016-04-20 11269
2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에겐 책이 먼저일까, 경험이 먼저일까 imagefile [2] 윤영희 2017-08-07 11126
2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우리집 100년 레시피 imagefile [5] 윤영희 2016-04-10 11100
»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돈 밖에 없는 빈곤 imagefile [3] 윤영희 2016-11-30 11003
2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늦가을 사과밭 여행 imagefile [2] 윤영희 2015-11-24 10996
2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해마다 하는 아이의 생일날 의식 imagefile [6] 윤영희 2014-06-16 10994
2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의 재능, 찾아도 걱정 imagefile [2] 윤영희 2016-05-24 1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