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 다엘

아이의 동선, 어른의 시선

동네 마당발 다엘선생과 경비원 아저씨의 우정

제1190호
 
151273783710_20171209.JPG
정은주

 

다엘이 학교 여행을 떠났을 때였다. 가끔 다엘이 빌려 쓰는 할머니 휴대전화로 아파트 경비 아저씨의 문자가 왔다. ‘여행이 재미있고 공부에 보탬이 되나, 어떠신가. 기쁘고 행복한 여행되셔, 다엘선생.’

 

들여다보니 그간 주고받은 문자들이 있었다. ‘아저씨, 파이팅 하세요.’ ‘좋은 아침이야. 오늘도 기쁘게 열심히 지내자.’ 다엘이 아저씨의 생신 선물로 편지와 과자를 정문 초소에 가져다놓은 날의 문자는 이랬다. ‘아저씨, 생신 축하해요!’ ‘서프라이즈 고마워. 정말 감격이야.’

 

내가 사는 아파트 단지의 중앙에는 광장이 있어 아이들이 자주 어울려 논다. 이곳에서 다엘은 아이들뿐 아니라 분식집 아줌마, 붕어빵 할아버지, 경비 아저씨들과도 정을 쌓으며 ‘동네 마당발’이라는 명예로운 호칭을 얻었다. 또래와 관계 맺기를 어려워했던 아이는 동네 어른들의 사랑과 인정을 받으며 친구 사귀는 법을 익혀가고 있다.

 

최근 마을 미디어를 통해 우리 동네 아파트 경비원들의 인원 감축 문제를 알게 됐다. 내년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아파트 경비원 수를 대폭 줄이겠다는 안건이 입주자 대표회의에 상정되고 있다 했다. 한편으로는 경비원들의 휴식 공간도 없는데 휴게 시간을 늘려 실질적 임금 인상을 막겠다는 제안까지 나왔다.

 

우리 동네 주민들은 관련자들과 함께 토론회를 열어, 아파트 상생 문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소통이 중요함을 확인했다. 관리비 조금 아끼려고 아파트 경비원들의 삶을 음지로 내몰려는 자본의 논리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 이는 단순히 지역 주민의 선의에 기댈 사안이 아니라 많은 이들의 삶의 질과 관련해 풀어야 할 사회문제다. 경비 업무가 아닌 청소와 택배 관리까지 도맡아 하는 경비원의 현실을 돌아본다. 그들의 최저임금과 안정적 일자리 보장 여부가, 나와 내 아이의 삶에 끼치는 영향이 적지 않음을 마음에 새긴다.

 

아파트 단지 안에선 늘 크고 작은 사건이 일어난다. 긴급 상황에 주민들이 일차적으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이는 경비원이다. 다엘이 ‘경비원 인원 감축 반대’ 서명지를 전달하러 옆 동에 들렀을 때다. 갑자기 한 집에 불이 나서 엘리베이터에 연기가 차고 소방대가 출동하는 일이 있었다. 다엘은 경비 아저씨와 문자를 주고받으며 놀란 가슴을 진정하고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었다. 내 아이의 동선에 동네 어른의 따뜻한 시선이 함께한다는 건 얼마나 큰 힘이 되는가.

 

“다엘은 제 친구예요.” 경비 아저씨가 다엘을 가리키며 내게 하신 말씀이다. 아마도 다엘은 이 우정을 평생 잊지 못할 것이다. 아저씨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프로필엔 어린 손녀의 사진과 함께 글귀 한 줄이 있다. ‘빙긋이 웃다’. 세상이 아이를 향해 ‘빙긋이 웃어주는’ 일, 그 가치를 돈으로 환산할 수 있을까? 내 아이가 자신의 고향 마을을 삭막한 아파트숲이 아닌 따뜻한 공간으로 기억하길 바란다면, 부모로서 어떤 노력을 기울일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면 좋겠다.

 


정은주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웰다잉 강사

 

(* 이 글은 한겨레21 제 1190호(2017. 12. 11)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정은주
딸이 뇌종양으로 숨진 후 다시 비혼이 되었다. 이후 아들을 입양하여 달콤쌉싸름한 육아 중이다. 공교육 교사를 그만두고 지금은 시민단체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의 상담원이자 웰다잉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일산지역의 입양가족 모임에서 우리 사회의 입양편견을 없애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으며 초등 대안학교에 다니는 아들과 함께 대안교육 현장의 진한 경험을 쌓아가고 있다.
이메일 : juin999@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heart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62166/d3b/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202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유쾌, 발랄 딸들과 나누는 성(性) 토크! imagefile [6] 신순화 2018-02-01 18526
202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격동의 1월을 보내고 imagefile [6] 정은주 2018-02-01 8498
2023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5편] 독감때문에 미안해 imagefile [2] 지호엄마 2018-01-26 10224
202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들과 함께 자고 싶어하는 아빠 imagefile [2] 홍창욱 2018-01-24 11038
202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힘들땐 '딸랑이'를 흔들어 주세요!! imagefile [2] 신순화 2018-01-23 10431
202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손톱이 자랐다, 마음도 함께 자랐다 imagefile [8] 신순화 2018-01-19 10615
201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아파서 고마운 지금 imagefile 최형주 2018-01-19 8633
2018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4편] 친정엄마가 해 준 맛이 아니야 imagefile [4] 지호엄마 2018-01-19 9987
2017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육아서를 읽으면 좋은 엄마가 될 수 있을까 - 서형숙 《엄마학교》 imagefile [1] 정아은 2018-01-18 11164
2016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가능과 불가능의 사이에서: 두 아이의 엄마 imagefile [2] 정아은 2018-01-11 10815
2015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바다도 되고, 캠핑장도 되는 imagefile 서이슬 2018-01-10 7094
201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큰 바다 손 위에 작은 자연 imagefile [7] 최형주 2018-01-09 8834
2013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받아쓰기보다 시! imagefile [6] 박진현 2018-01-06 16969
2012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방학 때 아이와 가볼 만한 `레고 아트' 전 imagefile 양선아 2018-01-05 12519
201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제주살이 10년의 씨앗 imagefile [3] 홍창욱 2018-01-05 9964
2010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펼치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되는 어린이책들 - 마쓰이 다다시 《어린이와 그림책》 imagefile [4] 정아은 2018-01-04 11872
»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아이의 동선, 어른의 시선 image [2] 정은주 2018-01-03 10539
200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 가족이 한 해의 마지막 날을 보내는 방법 imagefile [9] 신순화 2018-01-01 14472
200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2017 아날로그 육아의 종착역 imagefile [7] 윤영희 2017-12-31 10703
2006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3편] 오~ 내가 케잌을 만들다니 imagefile [3] 지호엄마 2017-12-30 15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