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아이 2.jpg

 

남편과 싸웠다.

3일째 우린 한 집안에서 두 개의 섬처럼 지내고 있다.

종일 떨어져 있다가 밤 늦게 만나도 서로 눈길을 마주치는 일 없이 그 옆을 지나다녔다.

그러는 동안 아이들만 바닷물처럼 찰랑이며 우리 사이를 채우고 있었다.

아이들이 없었다면 어땠을까.

아이들을 빼고 나면 우리 사이엔 무엇이 있을까.

 

잘못은 둘 다 했을 것이다.

싸움이라는게 한 사람만 잘못하는 것으로 일어날 리 없다.

나는 본래 불편한 관계를 잘 참지 못한다.

부부싸움 하고 나서 며칠씩 말을 안 하고 지내는 여자들도 있다지만

 나는 선천적으로 그렇게 하지 못한다.

마음이 불편하면 몸으로 바로 드러나는 사람이라서 어떻게든 풀어내지 않으면 지낼 수 가 없다.

그런데 이번엔 그런 날들이 3일째 지나고 있다.

결혼하고 나서 이렇게 오래 지내보기는 처음이다.

 

늘 내가 먼저 손 내밀었다.

자존심이 없어서가 아니라 풀지 않고서는 지낼 수 가 없어서

돌아선 남편에게 먼저 말 걸고 내 안에 있는 걸 다 쏟아내곤 했다.

남편은 그러고나서야 미안해... 하는 사람이었다.

그렇게 12년을 살았다.

 

이번에도 그러면 되는데..

우린 며칠째 섬처럼 가까와지지 못하고 있다.

이번 만큼은 남편이 먼저 내게 사과해주기를 나는 바라고 있는 것이다.

한 번이라도 먼저, 이번 만은 꼭 그래주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결혼하고, 살림을 늘리고, 세 아이를 낳고, 큰 집을 얻고...

12년간 우린 남 보기에 정말로 평탄한 생활을 이어왔다.

그렇지만 물질을 이룬 만큼 서로의 마음안에 가까와졌던가.. 를 생각하면 문득 자신이 없다.

남편과 한 번씩 싸울때마다 내 앞에 있는 사람이 너무 낮설어서 당황하곤 한다.

우린 서로를 얼마나 모르고 있는가 퍼뜩 깨달아져서다.

 

겨우내 메말라있던 나뭇가지마다 생기가 돌고,

단단히 입 다물고 있는 목련 봉우리가 환하게 벌어진 봄날의 마당에 서 보면

이렇게 아름다운 계절에 마음의 겨울을 지내고 있는 우리 두 사람이 너무 딱했다.

그 사이에도 나는 월요일엔 밤 열시 넘어까지 큰 아이 학교에서 부모회의를 했고,

화요일엔 요가 첫 수업에, 윤정이네 반모임에,

마을협동조합 자원봉사를 하며 바쁘게 다녔다.

큰 아이 이야기도, 윤정이네 반 엄마들 이야기도, 애들의 일상에 대해서도

 남편에게 들려주고 싶은 것들이 너무나 많은데

말들은 한 마디도 우리 사이를 편하게 건너가지 못했다.

 

일상을 나누지 못하는 부부란 얼마나 공허한지,

그렇게 지내는 시간들이 얼마나 지옥같은지 매일 겪고 있다.

그러면서 남편에게 내내 화를 내고 있었다. 사실은 나 자신에게 벌 주고 있는 것을 알면서 말이다.

그래도 새벽이면 일어나 남편의 아침거리를 차려 놓았다.

늘 하던 일을 변함없이 하는 것이 나로서는 화해의 손길을 내미는 것인데 남편은 여전히 입을 다물고 있다.

그리고나면 나는 또 다시 상처를 받곤 한다.

애쓴 만큼 남편이 더 미워지고 그러면서 남편의 말을 기다리고..

바라는 것이 있으니 실망하고, 실망은 다시 미움이 되고..

지독하게도 어리석다. 이 나이 먹도록 이토록 못나고 어리석다.

 

아범을 왜 이렇게 키우셨어요..

미안하면 미안하다고 하고 서운하면 서운하다고 하고 고마우면 고맙다고 해야지,

그냥 입만 다무는 것으로 상대방도 벌 주고, 자신도 벌 하면서 지내도록... 왜 이렇게 키우셨어요..

나는 하늘나라에 있는 어머님께 따지며 울었다.

 

우리집 남자들이 원래 다 그래. 마음은 그게 아닌데 말을 못해.

그렇다고 자꾸 타박하고 구석으로 몰지말고

조금만 참고 풀어주면 된다. 왜들 그렇게 마음과 다르게 행동을 하는지...

힘들어도 니가 먼저 다독거리고 살아야지..

 

어머님은 늘 그렇게 말씀하셨다.

그래도, 그래도 그래도요...

이게 다 어머님이 너무 일찍 돌아가셔서 그런 거라구요.

조금 더 살아계셔서 아범들을 가르쳐주셔야지요..

엉엉울며 하늘나라에 있는 어머님을 원망하다가..

 

그렇구나..

남편은 엄마 없는 아들이구나..

이담에 내가 세상을 떠난 다음 우리 아들이 마누라랑 싸우고

 풀지 못해 힘들어 하고 있으면 도울 수 도 없으면서

나도 맘 아플텐데...

나 역시 며느리한테 조금 더 따듯하게 보듬어주기를 바랄텐데..

 

그래도, 그래도, 그래도....

나이들 수록 마음도 무두질을 할 줄 알아야지요.

 거친 가죽도 수없는 무두질을 통해 부드러운 살갖이 되는 거잖아요.

원래 그러니까 늘 그대로 있으면 안되는거잖아요.

 세월이 이렇게 흘렀는데 겉 껍질도 조금은 말랑해져야지요.

힘들수록, 미안할 수록 겉은 더 단단하게 싸 버리는 조개처럼,

여리고 부드런 속살을 감추기만 하고

딱딱한 껍질로 허세만 부리고 있으니 딱하고 가엽다. 내 남편...

아니, 아니, 아니 내가 잘 못한건가.

남편의 껍질을 12년 동안 여전하게 둔것이 내 잘못인가.

그렇구나. 4년 전에도, 7년 전에도, 10년 전에도 우리는 이런 모습이었구나.

우린 그날로부터 한 걸음도 제대로 못 나가고 있었구나.

문득 우리 두 사람.. 막막해진다.

 

새벽이 지나고 새 날이 왔다.

밤새 기침하던 윤정이가 가느다란 목소리로 '엄마..'부른다.

정신이 번쩍 난다.

 

그래, 그래... 내가 엄마지..

세 아이들의 엄마지..

내 감정에 빠져서 내가 얼마라는 사실을, 그렇게 큰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이란 걸 잠시 잊었구나.

어른이니까, 부모니까, 엄마니까.. 내 감정대로만 살 수 없다는 걸,

 나는 아이를 낳자마자 알았는데

제 뱃속 열어 생명하나 내어놓지 못한탓일까.. 남편은 아직 모른다. 모르는 것 같다.

 

아아.. 이게 다 뭐하는 짓인가.

뜨끈한 국 끓여놓고 일찍 와서 먹으라고 하고,  다 먹었으니 마누라한테 사과하라고 큰 소리 치면서

담에 또 그러면 집 나가버릴꺼라고 결코 하지도 못할 일을 땅땅 뱉어내면서

 한바탕 울다가 웃으면 되는 것을..

이 나이 먹도록 이토록 어리석게 이런 글을 이 아침에 나는 쓰고  있는 것이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53782/97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1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월따라 달라지는 신정 풍경 imagefile [2] 신순화 2013-01-02 17797
20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3박 4일 고향행, 다섯 식구 대 이동!! imagefile [2] 신순화 2012-01-23 17602
20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추석맞이 슈퍼우먼 모드로 변신 완료! imagefile 신순화 2013-09-17 17590
20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산타 부모님들... 고생하셨어요. imagefile [4] 신순화 2012-12-26 17542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한 지붕 두 섬, 부부는 말이 없었다 imagefile [8] 신순화 2014-04-01 17391
20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애엄마에게 문화생활은 너무 먼 이야기..ㅠㅠ imagefile [10] 신순화 2012-12-05 17338
20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사연-애정 버무려 김장해서 좋은 날 imagefile 신순화 2013-12-03 17308
20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홉살 아들, 돈벌이에 나서다! imagefile 신순화 2011-10-25 17249
20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이런 학부모 회장 봤나요? imagefile [6] 신순화 2016-02-04 17167
20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모두 잠든 깊은 밤, 나홀로 은밀하게 imagefile [6] 신순화 2014-06-25 17072
20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도 배우는 사람일 뿐.. imagefile [2] 신순화 2016-10-06 16971
19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돈 보다 더 귀한 것 imagefile [11] 신순화 2017-06-20 16960
19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들이 가르쳐 준 '죽음'에 대한 예의 imagefile [6] 신순화 2015-04-09 16874
19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몸과 마음 아픈 아내를 위한 남편의 선물 imagefile [16] 신순화 2014-12-17 16742
19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드디어 큰아들이 돈 맛을 알아버렸다! imagefile 신순화 2014-08-08 16716
19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쥐야, 쥐야 나와라. imagefile [2] 신순화 2013-05-21 16637
19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반찬 imagefile [2] 신순화 2016-08-19 16581
19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시의 향기 흐르는 집마당 imagefile [5] 신순화 2015-10-30 16498
19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애들 부려먹기.. 생각보다 힘들구나.. imagefile [3] 신순화 2012-11-21 16470
19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도 아이도 신나는 장터!! imagefile [4] 신순화 2016-10-21 16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