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내의 한턱.jpg

 

목요일까지 휴가였던 남편이 드디어 출근을 한 금요일,

엿새간 이어졌던 연휴끝이라 밀린 일도 많고 지치기도 했다.

열일곱살 아들은 하루의 반나절을 잠으로 보내고 있으니 깨워도 소용없고

열세살 둘째도 라면 끓여 먹고 친구집에 놀러간다고 하니

방과후 프로그램을 들으러 학교에 간 막내와 둘이 맛난 밥도 사먹고

은행도 들리고 장도 보러 가면 좋을 것 같았다.

 

지치고 힘든데 든든하고 따뜻한 음식이 생각날때 잘 가는 곳이 있다.

친절하고 부지런한 사장님이 9년째 음식값을 올리지 않고 정성스럽게

대접해 주시는 해장국집이다.

이룸이는 뼈다귀 해장국을 나는 황태 해장국을 주문했다.

두 메뉴 다 5천원씩 이다.

 

"와, 엄마 역시 뜨끈하고 푸짐하고 맛있어요"

"그러니까.. 엄마가 시킨 황태해장국도 엄청 시원하고 맛있어"

늦잠에서 일어나 헐레벌떡 학교로 달려가느라 아침도 못 먹었던

이룸이는 정말 맛있게 먹었다. 과일로 배를 채웠던 나도 뜨끈한 국물이

정말 반가왔다.

땀나게 먹으며 우린 다음주에 있을 이룸이 생일 파티 의논을 했다.

 

막내는 본래 1월 31일이 생일인데 그 전날 오빠 학교 사람들 열댓명이 와서 하룻밤을

자고 가는 바람에 생일파티가 미뤄진것을 다음주에 하기로 했기때문이다.

"언니 친구 네명 초대 했고, 네 친구는 다섯명이지?

먹고 싶은 음식은 뭐야?"

"목살간장구이요!!"

맞다. 돼지목살을 간장과 갈이 배를 넣어 재웠다가 굽는 요리를 이룸이는 아주 좋아한다.

인원이 많은데 퍽 손이 가는 음식을 하게 생겼다.

"알았어. 목살구이하고, 봄동겉절이도 하고 샐러드도 하고, 김밥을 할까?"

"... 엄마... 고마워요. 준비하시려면 힘드실텐데..."

"아니야, 이게 엄마가 해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생일선물이잖아"

"엄마........"

이룸이는 감동한 듯 눈가가 촉촉해지더니

"엄마, 오늘 밥 값은 제가 낼께요. 세뱃돈 받은 것 중에서 만원은 밥값으로 쓸래요" 하는거다.

"아니야 무슨.. 괜찮아. 세뱃돈도 네가 받은건데 그럴 필요 없어"

"아니예요. 엄마가 이렇게 애써주시는데 제가 엄마한테 한 턱 내고 싶어요.

만원을 써도 7만원 저금할 수 있잖아요. 괜찮아요. 꼭 제가 사드리고 싶어요"

갑자기 밥 먹다가 가슴이 꼭 메일 뻔 했다.

"... 그래? 그럼 그럴까? 엄마가 이룸이한테 밥 한번 대접 받는 걸로 할까?

정말 고마워. 맛있게 잘 먹을께"

"아.. 정말 행복해요. 제가 엄마한테 밥도 사드릴 수 있어서요.

정말 잘한 일 같아요"

이룸이도 나도 마음이 행복으로 꽉 차서 맛있게 밥을 먹었다.

 

마당 있는 집으로 이사온 후부터 아이들의 생일이 돌아오면 좋아하는 친구들을 불러 밥을 해 먹였다.

그게 내가 해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이었기도 하고 아이들이 정말 좋아했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배불리 먹고 1층과 2층을 오가며 늦도록 신나게 놀곤 했다.

피자나 치킨을 시켜줄 수 도 있지만 그런 음식은 내가 안 좋아해서

늘 직접만든 고기요리와 나물 같은 것으로 상을 차렸다. 그런 생일을 기대하는

것도 어린날 한때라는 것을 알기에 힘들어도 열심을 냈는데

열살이 된 막내가 그런 내 수고를 알아주고, 고맙게 여기고, 제 용돈으로

따뜻한 밥 한끼 대접하고 싶은 마음을 내 주다니, 어떻게 그런 생각을 다 했을까.

언제 이렇게 속이 꽉 차게 자랐을까.. 고맙고 뿌듯해서 정말 귀한 선물을 내가 다 받은 것 같았다.

 

밥을 다 먹고 이룸이는 사장님에게 쑥쓰러운 표정으로 만원짜리 한장을 내밀었다.

"허허. 니가 돈을 내니?"

"네, 세뱃돈 받은 돈으로 엄마한테 밥 한끼 사는 거래요" 내가 설명을 하자

"하이고, 기특해라, 세상에.."

사장님은 몇번이고 칭찬하시며 식당 입구 까지 나와서 이룸이를 배웅해주셨다.

식당을 나와서도, 7만원을 은행에 들러 통장에 저금하면서도 이룸이는 뿌듯해했다.

 

마흔에 셋째를 낳아 쉰이 되기까지 내 40대의 날들은 이 아이를 기르는 일에

모두 바쳐졌다. 이제 막내는 또래중에 월등하게 키도 크고 재능도 넘치는

멋진 아이로 자라났다.

뭐든지 잘 먹고, 늘 새롭고 재미난 일을 궁리하고, 제가 계획한 일들을 하느라

하루종일 집에서도 바쁜 건강하고 이쁜 막내딸에게 처음으로 밥을 얻어 먹었다.

지난 10년을 한번에 보상받고도 남을 잊지못할 선물이다.

 

잘 커준 딸도, 이만큼 키워낸 나도 다 대견하다.

지난 세월이 몽땅 다 대견하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816897/cbd/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45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다짜고짜 아슬아슬 성교육, 아들 답이 걸작 imagefile [29] 신순화 2012-03-04 241555
44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자, 생각해 볼까? imagefile 신순화 2019-04-12 158488
44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40대 유부녀가 제대로 바람나면? imagefile [11] 신순화 2012-04-10 148572
44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와 무슨 이야기를 나눌까? imagefile [2] 신순화 2019-03-25 148430
44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방탄 소년 VS 방탕 소년 imagefile [3] 신순화 2019-03-22 147011
44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도끼질 하는 남편 imagefile [12] 신순화 2011-10-21 133391
44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나...... 좋아하는 사람 생겼어요!' imagefile [11] 신순화 2012-04-03 121144
44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딸딸이가 뭐예요?" 엄마와 아들의 `성문답' imagefile [9] 신순화 2013-04-09 100354
44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모두가 선물을 받은 날 imagefile [4] 신순화 2019-02-16 93089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오늘은 제가 밥 사드릴께요 imagefile [2] 신순화 2019-02-08 89249
44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30인분의 비빔밥을 준비한 날 imagefile [1] 신순화 2019-02-01 88410
43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막내의 반장 도전 성공기 imagefile [8] 신순화 2019-03-13 85424
4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딸 아이의 그 날 imagefile [6] 신순화 2019-02-22 85157
43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 일곱 아들의 편지 imagefile 신순화 2019-05-13 85003
43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좋은 여행 imagefile 신순화 2019-06-10 83720
43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라면, 라면... 또 라면인건가!! imagefile [2] 신순화 2019-03-05 80245
43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이라는 남자 imagefile [2] 신순화 2019-01-18 76718
43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알아버렸다. ‘살아 있는 맛’ imagefile 신순화 2019-04-03 75791
43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잇값을 생각하다 imagefile 신순화 2016-11-04 74394
43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내 첫 책, '두려움 없이 엄마되기' imagefile [15] 신순화 2012-01-03 72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