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식구.jpg

 

결혼 하면 매일 남편과 한 이불에서 함께 자는 줄 알았다.
혼수를 장만하며 예쁜 이불을 살 땐 남편과 같이 자며 나눌 아롱다롱 예쁜 꿈도 많이 꾸었더랬다.

그러나...

남편과 한 이불에서 잔 건 결혼 10년 동안 딱 첫 아이 낳기 전까지 였다.
결혼하고 바로 첫 아이를 가졌으니 한 1년이나 같이 잤을까, 첫 아이 낳은 그 날부터 서로
딴 이불 덮기 시작해서 어언 9년째 우린 떨어져 자고 있다.
첫 아이때는 나와 아이가 침대 아래서 따로 자고 남편은 침대에서 혼자 잤다.
그러다가 둘째 낳고 부터는 내가 양쪽에 아이들을 끼고 자고 남편은 따로 이불 덮고 잤다.
셋째를 낳은 후로는 한쪽에는 셋째가 다른 쪽에는 3일찍 내 옆자리를 차지하는 첫째와 둘째 옆에
남편이 잔다.
마당 있는 집에 이사 온 후에는 제일 넓은 거실에서 온 가족이 함께 잔다.
침대는 여름에 잠깐 쓰기도 하지만 침대가 놓여 있는 안방이 워낙 곰팡이가 심해 대부분
거실에서 이렇게 잔다.
그래서 너른 거실에 다섯 식구 잘 이부자리 펴고 개는 일이 늘 귀찮다. 침대를 쓰면 몸만 쏙
빠져 나오고 대충 자리만 정돈하면 되지만 겨울 이부자리는 어찌나 손이 많이 가는지 한 번 펴고
개려면 꽤 힘이 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게으른 나는 늘 아이들을 시켜먹을 궁리를 열심히 한다.

 

온 가족이 함께 자는 일은 좋기도 하지만 불편한 점도 많다.
가족간의 거리가 가까와지는 건 물론 제일 좋은 점이다. 아빠랑 만날 시간이 없는 아이들은
이부자리를 펴고 나면 이불 위에서 아빠에게 한꺼번에 매달린다.
책을 읽어줘도 세 아이가 함께 듣고, 영화도 온 가족이 함께 본다. 그래서 늘 함께 나눌 화제거리가
풍성하다. 아이들이 무엇을 좋아하고, 어떤 것에 열중하고 있는지 다 안다.
그렇지만 모두가 함께 자야 하기 때문에 신경써야 하고 불편한 점도 있다.
늘 늦도록 책을 보고 싶어하는 필규가 잔소리를 제일 많이 듣는다. 불을 꺼야 모두 잠들 수 있기
때문에 한 사람 맘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오래전에 돌아가신 외할머니는 내가 결혼할 무렵에
'아무리 남편이랑 싸웠어도 잘 때는 꼭 한 이불에서 같이 자야 한다. 그래야 정도 깊어진다'
일러주셨건만 애 낳고 살다보니 도대체 아이들 떨어뜨려 놓고 부부끼리 같이 자는게 가능하지가 않다.
첫 아이가 학교에 들어갈 무렵 제 방에서 혼자 자라고 권해 봤지만 딱 잘라 거절 당했다.
하긴 어린 두 여동생은 여전히 부모 곁에서 자는데 저 혼자 제 방에서 자고 싶을까.
그래서 우리 부부는 조금 구슬르다가 맘을 접었다. 어짜피 좀 더 커서 저만의 세계가 생기고 나면
같이 자자고 불러도 저 혼자 잘 날이 오겠지... 생각한 것이다.

가끔 남편은 아이들 잠 들고 나면 슬며시 내 옆으로 와서 눕는데 그럴땐 남편이 안스럽기도 하다.
투탁거리고 싸워도 부부끼리 살 부비며 말없이 풀기도 하고, 서로 힘든 하루 살아낸 것을
가만히 안아보며 위로도 하는 법인데 늘 엄마만 편애하는 아이들에게 치여 마누라 언저리만
맴돌고 있는게 미안한 것이다.


그래도 아이들 건강하고, 또 큰 탈없이 잘 자라고 있는 것도 이렇게 오랜 시간 함께 한 이불에서
서로 부비고 안고 만지며 보낸 시간들 덕이라는 것을 안다. 세월이 가면 하나 둘씩 품을 떠날테고
그 다음엔 넓은 이부자리 위에 우리만 남을 시간이 오리라는 것도 안다.
그때가 오면 어떨까? 좋을까? 아니면 허전할까..

부모에게 비밀이 없고, 뭐든지 함께 하고 싶어 하고, 서로 안기고 싶어 하는 이 끈적끈적한
시간이 어느날 끝나버린다는게 지금은 실감이 나지 않지만 제 방에 들어가 문을 쾅 닫아 버릴
날이 와도 너무 놀라지는 말아야지...
그러니까 지금 흥부네 식구처럼 온 식구가 함께 자는 이 시절을 맘 껏 누리며 더 많이 안아주고
더 많이 부벼가며 찐하게 보내는거다.

 

확실한 건 부부끼리 한 이불 안 써도 애 만드는 일엔 아무 상관없더라. ㅋㅋㅋ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6889/125/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33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닭장의 수컷 본능, 미움 연민 공포 imagefile [8] 신순화 2015-07-02 26661
32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무꾼 남편, 이번엔 목수로 변신? imagefile [6] 신순화 2012-04-23 26418
32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어느날 그 개가 우리집으로 왔다 imagefile [8] 신순화 2013-09-24 26318
32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30년만의 언덕 위 단독주택, 겨울도 시샘 imagefile 신순화 2011-01-19 26286
32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사이좋은 남매의 비결은? imagefile [12] 신순화 2012-10-16 26235
32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확실한 막내 우월 유전자!! imagefile 신순화 2011-06-01 26170
32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는 ‘전천후 종합 예능인’ imagefile 신순화 2010-09-14 26044
32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1년만에 찾아 온 아들의 잠자리 독립!! imagefile [9] 신순화 2013-01-09 26024
32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 없는 2박 3일, 엄마만 신났다!! imagefile [2] 신순화 2012-11-14 25904
32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울고 또 운 아이 이름 ‘숙명’ imagefile 신순화 2010-06-28 25846
32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노릇, 천 번 만 번 가슴이 쿵! imagefile 신순화 2011-03-29 25828
31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셋째 너 마저..., 엄마라서 더 미안 imagefile 신순화 2010-10-12 25752
31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설맞이 대작전 시작!! imagefile [4] 신순화 2014-01-28 25686
31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들이 준 선물, 지혜 imagefile 신순화 2011-02-01 25677
31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리얼 다큐, '단독주택에서 살아남기'! imagefile [4] 신순화 2012-07-10 25648
31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는 어떻게 글을 배울까? imagefile [2] 신순화 2013-04-30 25340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 아이 덕에 10년 째 딴 이불!! imagefile [3] 신순화 2012-01-16 25305
31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1년 만에 누려보는 자유, 그러나... imagefile [5] 신순화 2013-04-16 25284
31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눈 내린 그곳에 아버님 혼자 계셨다 imagefile [3] 신순화 2014-02-18 25208
31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는 좀비다!! imagefile 신순화 2011-05-24 25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