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jpg 

 

강릉이 시댁이라는 것은 축복이자 재앙이다.
동해바다와 설악산을 끼고 있는 사시사철 아름다운 천혜의 자연이 있는 곳이라는 점은 축복이지만
바로 그 이유때문에 시댁에 가는 길은 1년 내내 막히는 지독한 고행길이기 때문이다.

석가탄신일이 월요일이어서 3일간 이어지는 연휴에 모처럼 시댁에 가기로 했다.
시댁 할아버님 제사가 마침 일요일이어서 제사에도 참석하고 어머님 모시고 절에도 다녀오는
일정이었다. 설에 다녀오고 처음이라 막히는 길을 감수하고서라도 꼭 다녀오고 싶은 마음이었다.
그러나 도로사정은 끔찍했다.
토요일 정오에 출발했는데 그야말로 집 앞에서부터 막혔다. 여주까지 가는데 세시간이 넘게
걸렸는데 정작 큰 일은 여주에서 발생했다. 막히는 길을 거북이처럼 천천히 가고 있는데 옆 차가
계속 빵빵거리며 뭐라고 소리치는 것이었다. 창을 내렸더니 '뒷 바퀴가 빠질것 같아요' 한다.
뭐라고??


깜짝 놀라 근처 공터에 차를 세우고 살펴 보았더니 정말 한쪽 뒷바퀴가 비스듬히 누워 있었다.
남편이 공구를 찾아 애를 써서 차를 올리고 바퀴를 뺐다가 다시 끼워 보았지만 똑같았다.
여주 시내를 돌아다니며 문 연 공업사를 찾느라 40여분을 소비했고 간신히 찾은 공업사에서
차를 살펴 보았더니 12년간 30만 킬로를 넘게 달린 차의 뒷 바퀴를 연결하고 있는 축이
부식이 심해 갈라지고 떨어져 나가있는 상태였다. 수리를 해서 가야하는데 모든 공업사가 연휴에
들어가서 월요일에나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그 상태로 강릉까지 가는 것은 무리였다.
짐이 많은데다 강릉에서도 이곳 저곳으로 움직여야 했기 때문에 대중교통으로 가는 것도 무리였다.

고심하다가 결국 그 차를 타고 국도를 돌며 살살 운전해서 집으로 돌아왔다. 길에서만 다섯 여 시간을
보내고도 시댁에 못 간 것이다. 집에서 자고 일요일 아침 일찍 일어나 남편의 출퇴근 용으로 쓰는
작은 차에 옮겨타고 강릉으로 다시 출발했다. 큰 차를 타고 다니던 아이들은 짐이 가득찬
작은 차에 타자마자 아우성이었다. 일요일도 막히는 건 여전해서 도무지 속도를 내지 못하는
차 안에서 아이들은 덥다고, 힘들다고, 오줌 마렵다고, 좁다고 싸우고 짜증내고 울고 난리였다.
달래고 어르고 야단치고 혼내면서 먼 길을 가자니 나도 죽을맛이었다. 운전하는 남편도 스트레스를
너무 받아 '다음부터는 다 오지마, 나 혼자 다닐꺼야' 소리를 질렀다.
이 난리를 치며 다섯 시간 걸려 시댁에 도착했더니 몸이 다 꺼질만큼 지쳐 버렸다.

 

 어머님 2.jpg

 

시댁의 제사는 꼬박 밤 열두시가 넘어야 시작된다.
오후에 아버님을 모시고 시댁에 도착해 부엌일을 거들며 제사 준비를 하다가 두 딸은 잠들고
필규만 깨어서 제사를 보았다.
결혼 10년 째지만 제사를 준비하는 절차와 형식은 여전히 어려웠다. 친정 제사와는 너무나 달라서
여전히 익숙하지 않았다. 어른들은 도포와 망건을 차려 입고 제사를 모셨다. 음복을 하고
산더미 같은 설거지를 하고 났더니 새벽 2시.. 시댁으로 돌아와 정리하고 잠자리에 든 것이 3시였다.
다음날 일어나 아침도 제대로 차리지 못하고 어머님 모시고 절에 갔다. 남편이 아이들을 보는 동안
법당에 들어가 어머님 옆에 앉아 건네주시는 염주를 들고 어머님이 하는 대로 염불을 외는 시늉을
했다. 내게 종교란 효도와 같다. 어머님이 독실한 불교신자니까 나도 어머님 모시고 절에
다니는 거다. 어머님이 기뻐하시니 함께 다니지만 다른 감흥은 없다. 다만 나를 낮추고 절대자
앞에 절을 올리며 내 삶을 돌아보는 것이 소중할 뿐이다.
절밥을 한 그릇 먹고 시댁에 돌아와 짐을 챙겨 나선 것이 오후 2시..

시댁에 다녀올때면 꼭 용평리조트를 들려 관광곤돌라를 타는 것이 큰 낙인 아이들을 위해
용평리조트에 들렀다가 오후 4시 넘어 나왔다. 그리고 다시 끝없이 막히는 고속도로에 들어섰다.
아이들은 잠들고 남편은 졸음과 싸우며 지루한 운전을 했다. 휴게소도 너무 차가 많아
들리지도 못하고 덕평에 와서야 간신히 차를 세워 화장실에 다녀올 수 있었다.
맛없는 휴게소 음식으로 저녁을 때웠지만 남편은 너무 고단해서 저녁도 먹고 싶어하지 않았다.
다시 운전을 해서 집에 오니 밤 아홉시..
아이들 씻기고 집안 치워서 잠자리에 든 것은 열한시가 다 된 시간이었다.

자고 일어났더니 온 몸이 쑤시고 목은 잠기고 기운을 차릴 수 가 없다.
우울했다.

시댁 오가는 길이 이렇게도 힘들다는 것이, 그래서 자주 가지도 못하고 부모님 뵙는 것도
어려운 것이 아쉽고 속상했다. 아이들이 더 크면 나 혼자 세 아이 데리고 고속버스 타고
다녀올 수 있을까. 모두 제 짐가방 등에 메고 훌쩍 떠날 수 있으려면 얼마나 더 지나야 할까.
그때에도 부모님이 모두 다 계실까?

내가 너무 고생한다고 연신 미안해하시는 어머님을 뒤로하고 오는 길엔 늘 눈물이 난다.
먼 곳에 사는 자식들을 맘 놓고 부르지도 못하고, 한 번 오고 갈때마다 도로사정 때문에
맘 졸이시는 어머님이 짠했다.

시댁 가는 길은 너무 힘들다. 그렇지만 힘들고 고단해도 가야한다. 가고 싶다.
어머님 모시고 절에 다녀올 수 있는 날이 얼마나 더 남았을까.
지금은 힘들어도 아이들은 금방 큰다. 언젠가는 스스로 제 가방을 메고 나를 따라 나설 날도
올 것이다. 부디 부모님이 오래 오래 우리 곁에 계시기만을 바랄 뿐이다.

늘 나보다 열 배는 더 고단하게 사시면서도 늘 자식 걱정뿐인 어머님..
한 해 한 해 눈에 띄게 건강이 잦아들고 계신 아버님..

멀어도 힘들어도 며느리는 달려갑니다
오래 오래 사세요.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66169/424/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멀어도, 힘들어도 며느리는 달려간다!! imagefile 신순화 2012-05-29 18833
22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눈, 보는 건 낭만, 겪는 건 개고생 imagefile [2] 신순화 2012-12-12 18636
22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빠와 아들, 엄마와 딸 사이 imagefile [2] 신순화 2013-11-05 18605
22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돌아보니, 어느새 결혼 11년! imagefile [2] 신순화 2013-06-18 18562
22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까다롭고 요구 많은 아들이 나를 키우는구나.. imagefile [2] 신순화 2014-01-15 18558
22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어느날 갑자기 상남자 냄새 풀풀 imagefile [4] 신순화 2014-07-02 18546
22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생일 선물만 열 다섯 개 째!! imagefile [5] 신순화 2012-10-09 18521
22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힘든 씨월드지만 보람은 있구나.. imagefile [5] 신순화 2012-10-03 18502
22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는 편리함이 불편하다 imagefile [2] 신순화 2016-10-14 18393
22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대안학교 첫 학기보낸 아들, 이렇게 변했다!! imagefile [6] 신순화 2012-07-17 18339
22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유쾌, 발랄 딸들과 나누는 성(性) 토크! imagefile [6] 신순화 2018-02-01 18306
21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뿔난 엄마를 부탁해 imagefile [8] 신순화 2015-06-24 18259
21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흔 아홉 10월, 팔굽혀펴기를 시작하다 imagefile [1] 신순화 2018-11-28 18208
21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기대했던 경춘선. 이게 아니었는데... imagefile [7] 신순화 2012-10-31 18129
21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강아지들아, 잘 살아. imagefile [2] 신순화 2013-11-12 18117
21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웃고 운 가족 상장 수여식 imagefile [3] 신순화 2016-01-04 18109
21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남편님아, 제발 쫌!! imagefile [10] 신순화 2016-09-07 17942
21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방학에 대처하는 나의 사상과 투쟁 imagefile [9] 신순화 2012-07-30 17817
21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언니 때문에 막내는 열공 중 imagefile 신순화 2014-02-26 17768
21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월따라 달라지는 신정 풍경 imagefile [2] 신순화 2013-01-02 17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