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회사진.jpg  (사진출처 unsplash)

어느 날 나는 궁금해졌다. 결혼이 이런 모습으로 고착화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남자가 밖에서 먹을 것을 구해오고 여자가 안에서 살림과 육아를 맡아 한다는 이 시나리오는 어떻게 이렇게 공고하게 자리 잡게 되었을까? 프랑스 철학자 엘리자베트 바댕테르의 유명한 저서 남과 여는 이런 물음에 긴 서사시로 대답해준다. 선사 시대부터 지금까지 남녀 관계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변화의 동인은 무엇이었는지, 그에 따른 권력 변동이 어떤 양상을 띠었는지를 생물학적·인류학적·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다채롭게 조명한다.

바댕테르에 따르면 남자가 여자를 거느리고 보호한다는 개념의 가부장제에 균열이 생긴 것은 200년 전부터였다.

 

가부장제의 쇠퇴는 아버지가 권한을 잃은 것과 여성이 권한의 분배 방식을 바꾼 사실로부터 초래되었다. 18세기와 19세기는 아버지에게서 신적인 대부권을 빼앗았고, 20세기는 도덕적 권위와 경제적 독점권을 완전히 앗아갔다. 가부장제를 여성의 임신 통제와 업무의 성적 분담으로 규정지을 수 있었다면, 최근 20년 사이에 여성은 이중적 승리스스로의 의지에 의한 임신 조절과 남성과의 경제권 분담을 이뤄낸 것이다. 그 이후로 여성은 더 이상 물건이 아니다.” _182

 

==아버지로 대표되던 큰 축이 무너진 것이 가부장제가 낸 최초의 파열음이었다. 그러나 가부장제는 단번에 끝나지 않고 길게 끌면서 조금씩 스러져갔고, 그 끝물에 이르러 껍데기만 남은 것이 지금의 모습이다. 가부장제의 귀퉁이가 허물어져 내리는 만큼 여성의 권리도 조금씩 면적을 넓혀간다. 바댕테르는 이를 풍습의 변혁이 완성되기까지는 몇 세기가 필요하다고 표현했는데, 이 한 문장이 내게로 와 강렬하게 내리꽂혔다. 결혼하기 전까지 30년 동안 머물렀던 자리에서 내려와 그보다 훨씬 낮은 자리로 가라는, 그 자리에서 고분고분 여자의 도리를 행하라는 합창을 사회 각계각층에서 매일매일 들으며 들끓어 올랐던 내 마음을 이 문장이 차분히 가라앉혀주었다.

저자가 속한 서구권과 우리나라의 가부장제는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한참 달라 보였지만, 그래도 이 문장은 강력한 효과를 발휘했다. 기다려라. 너를 괴롭히고 있는 그 제도는 이미 수명을 다했다. 지금 이는 것은 여진일 뿐, 가만히 들여다보면 핵심부의 지진은 끝났고 그 여파는 그리 길게 가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리라. 그렇게 말해주는 것 같았다.

작가의 서술은 단순히 역사적인 사실에만 머물지 않는다.

 

점진적으로 그들의 권한을 양도하면서 여성은 본래 그들의 몫이었던 책임감에서 해방된다. 그 대신 그들은 거기에서 수동성의 달콤한 즐거움과 마조히즘적인 욕망의 비밀스런 만족도 얻은 것 같다.” _161

 

 선사 시대부터 중세에 이르는 기간에 여성의 권력이 얼마나 잔인하게, 압도적으로 남성에게 넘어갔는지를 묘사하는 대목 끝에 나오는 문장이다. 권력을 빼앗기고 남성의 말 한마디에 생사가 달린 위치로 전락하면서, 여성들은 고통스러워했지만 한편으로는 나른한 수동성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어쩔 수 없다는 생각으로 복종하면서 사는 삶의 안락함. 이 부분의 의미를 너무나 잘 이해하는 나를 보면서, 정신이 번쩍 들었다. 내 안에 그런 부분이 없었다면 그 문장을 그렇게 매끄럽게 이해하지 못했을 터, 나는 그제야 내가 속하지 않은 성별에 대해 적개심을 불태우던 단순하기 그지없는 양태에서 빠져나오게 되었다. 눈을 크게 뜨고 내 모습을 주시하게 되었다. '남자가 뭐가 어쩌네, 결혼이 뭐가 어쩌네' 하지 말고 네 모습을 봐라. 너는 '기대는 성별'이 아닌 '자립하는 성별'이 되기 위해 투철히 노력했는가? 대답은 곧바로 나왔다. 아니, 안 그랬어. 남편이 의식적무의식적으로 남녀 성별분업을 행하려고 했던 것처럼, 나 또한 내가 편리한 분야에서는 자동적으로 성별분업을 행하려 했던 것이다.

 

작가는 남녀 관계의 변천사를 전개해가면서 남녀가 어떤 식으로 대응했는지를 냉철하고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권력을 일방적으로 빼앗아가는 입장의 남성에게 양가감정이 있었던 것처럼, 권력을 빼앗기는 입장의 여성에게도 양가감정이 있었다. 그리고 속수무책으로 권력을 빼앗겼던 선조 여성들의 경험을 대리 체험하면서, 나는 현재 내 안에 들어 있는 양가감정을 들여다보게 되었다. 이 책의 효용은 그 지점에 있었다. 이를테면 남들한테 뭐라고 하기 전에 네 안에 있는 가부장적 선입견부터 타파해라하는 경각심 같은 것. 정신 차리고 너부터 뜯어고치라는 준엄한 호통 같은 것.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정아은
헤드헌터, 번역가, 소설가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며 살아왔지만 저의 제1 정체성은 언제나 ‘엄마'였습니다. 엄마 경력 12년에 접어들던 어느날, 좋은 엄마가 되겠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너무 아등바등 살아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지요. 그때부터 이 글을 쓰기 시작했고, 연재 글을 바탕으로 에세이 <엄마의 독서>를 펴냈습니다. 2013년 < 모던 하트 >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했고, 이후 장편소설 < 잠실동 사람들 >, < 맨얼굴의 사랑 >을 펴냈습니다.
이메일 : emma750322@hanmail.net      
블로그 : http://blog.naver.com/emma1027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59426/27d/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05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시시포스가 되어 날마다 산을 오르다: 엄마의 탄생 imagefile [1] 정아은 2017-12-28 10941
200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사춘기 초입, 따뜻한 동행 imagefile [4] 정은주 2017-12-27 11886
2003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그립고도 미안한 사랑…제천 희생자를 추모하며 imagefile [1] 강남구 2017-12-27 11853
200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삼천번 절은 못 했지만... imagefile [2] 신순화 2017-12-26 11852
»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정신 차리고 너부터 고쳐! - 엘리자베트 바댕테르 《남과 여》 imagefile [1] 정아은 2017-12-21 12043
200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돌을 좋아하는 딸들에게 image [1] 신순화 2017-12-20 9846
1999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아들 딸 구별 말고 서이슬 2017-12-20 8528
1998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한밤 전화, 슬픔의 무게 imagefile 강남구 2017-12-19 8992
199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2편] 엄마의 혼밥 imagefile [2] 지호엄마 2017-12-19 10546
1996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좋은 죽음, 풀뿌리 운동 imagefile 정은주 2017-12-15 6926
1995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너는 ‘그나마 나은 편’이라고?: 결혼이라는 통과의례 imagefile [4] 정아은 2017-12-14 10761
199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생리컵에 대한 아이들과의 토크 image [9] 신순화 2017-12-12 13330
1993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1편] 상처 imagefile [1] 지호엄마 2017-12-12 28500
199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내의 첫 운전교습 imagefile [2] 홍창욱 2017-12-12 8921
1991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 박완서 《엄마의 말뚝》 imagefile 정아은 2017-12-11 8493
1990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왜 창남은 없는가 - 니키 로버츠 《역사 속의 매춘부들》 imagefile [3] 정아은 2017-12-07 18156
1989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팬케이크와 비지찌개 imagefile [2] 서이슬 2017-12-07 7546
1988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나도 입양되지 않았다면..." image [1] 정은주 2017-12-06 8642
198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누라보다 딸이 더 좋지? imagefile 신순화 2017-12-05 11598
1986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투명 인간의 발견: 사회라는 그 낯선 세계 imagefile [3] 정아은 2017-12-04 10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