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1.jpg

 

처음 생리를 시작했을때 부터 주기가 불규칙했다.

고등학교때는 1년에 딱 두 번 했었다.

여름방학에 한 번, 겨울 방학에 한 번이었는데 그야말로 6개월치가 한번에

나오는 것 만큼 몸이 힘들기는 했다.

친구들은 편하니까 좋은거 아니냐고 부러워도 했지만 나는 좀 걱정이 되어서

대학때 병원을 찾은 적도 있었다.

그때 나를 진찰한 의사는 '처녀의 생리 주기는 하나님만이 알 것'이라는 말로

내 걱정을 날려 주었다. 1년에 두 번을 하든, 세 번을 하든 생리가 일어난다면

그것도 주기가 될 수 있다고 하신 것이다. 그래서 그때부턴 걱정않고 살았다.

 

서른 세살의 늦은 나이에 결혼을 했는데 신기하게도 평생 불규칙하던 생리는

결혼한 그 달부터 딱딱 한달만에 나와 주더니 석달만에 첫 아이를 가졌다.

결혼과 동시에 내 인생의 모든 주기가 순리를 찾았구나.. 감격한 순간이었다.

 

첫 아이 낳고 23개월 간 수유하는 동안은 생리가 멈추어 있었고, 

서른 일곱에 둘째 낳고는 한창 수유중인 14개월에 생리가 찾아왔다.

막내때는 생리가 찾아오는

시기가 더 빨랐다.

몸이 그만큼 좋아진거라 생각하고 상관없이 수유를 계속하다

38개월만에 끊었다.

 

3월 1일에 생리가 시작되길래, 날이 날인지라  한층 경건하게 내 몸을 돌보았고,

4월 1일에 또 생리가 시작되길래 만우절답게 명랑한 마음으로생리를 맞이하셨다.

그래서 5월 1일 근로자의 날 기념으로 생리가 오려니... 맘 놓고 있었다.

 

그런데..... 안 왔다.

어린이날 쯤 오려나? 어버이날 쯤? 아니면.. 스승의 날 무렵?? 설마 부처님 오신날????

5.18도 지나고, 부부의 날도 지나면서부터는 심각해지기 시작했다.

워낙 주기가 정확했던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결혼하고 이렇게까지 늦추어 졌던 적은 없었다.

안그래도 요즘 안 오던 어지럼증도 있는 것이 그럼.. 혹시... 그래서?

자그마한 모래알 한 알에서도 심하게 창대한 바다를 보는 내 넘치는 상상력은

금새 초특급 심리 스릴러 어드벤쳐 영화 한 편을 써내려 가기 시작했다.

 

올 해 내 나이 마흔 넷. 지금 넷째가 생기면 마흔 다섯에 출산, 막내와는 다시 네 살 차이..

아아아. 내 몸이 감당해 낼 수 있을까?

아이들은 좋아하겠지. 철이 없으니까.. 그저 또 한명의 아이가 생기는 구나, 신나할꺼야.

일흔 넘으신 친정 엄마는 올 7월에 막내 여동생이 둘째를 낳은 것으로 당신 인생의

출산도우미 역할을 끝내는 것으로 알고 계시는데 내가 넷째를 가졌다는 것을 알면

얼마나 망연해 하실까.

 

아직도 내 품을 파고드는 우리 막내는 불쌍해서 어쩌나. 언니노릇, 누나 노릇 할 수 있을까?

그건 그렇고 셋째 출산때에도 자궁경부가 약해서 출혈이 심했는데 이번에도 가정 분만을

할 수 있을까? 젖은 또 제대로 나올까? 세 아이는 천 기저귀 썼지만 이번엔 종이기저귀를

쓸지도 몰라.

 

이름은.... 막내와 똑같이 한글 이름으로... 음... '다움'이는 어떨까. 자기 답게 살라고

'다움'.. 왠지 근사하네? 세상에 언제 또 이런 이름을 맘 속에 품고 있었던가?

정말로 진짜로 넷째를 바라왔던 거야?

 

겨우 막내 젖 떼고 요즘 부쩍 나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아져서 강의도 하러 다니고

글도 더 의욕적으로 쓰고 있는데, 다시 임신에 출산, 수유에 신생아 돌보는 그 전쟁같은

삶으로 돌아갈 수 는 없어, 정말 더 이상은 안돼...

 

이런 소설을 쓰기 시작하니 잠도 안 왔다.

병원에 가서 확인해 보거나, 임신 진단 시약이라도 사다가 테스트 해 보면 되겠지만

설마 설마 진짜 그런 일이 사실로 드러날까봐 선뜻 나서지지가 않았다.

이런 생각에 빠져 지내니까 몸도 더 으실으실 이상스럽게 느껴지고 빈혈기가 있는 듯

어지러운 것도 같고, 난데 없이 남편이 운전하는 차를 타면 멀미까지 느껴졌다.

바야흐로 모래알 하나가 창대한 쓰나미를 일으키고 있었다.

 

어제서야 난 드디어 약국에 가서 진단키트를 사 왔다.

그리고 새벽에 비장한 마음으로 혼자 일어나 욕실로 들어갔다.

진단키트에 소변을 적셔 결과가 나오기까지 그 짧은 순간이 흡사 영원처럼 길게 느껴졌다.

결과는.....

붉은 줄 하나... 임신이 아니었다.

 

그럼 그렇지.. 그래도 간혹 이 진단키트로도 임신이 확인 안 되는 경우도 있다잖아?

끝까지 의혹을 풀지 못하고 있는데 아침에 일어나니... 그 분이 와 있었다.

속옷에 묻어 있는 붉은 흔적이 이토록 반가울 수가...

 

중반부를 넘어 클라이맥스로 치닫고 있던 초특급 심리 스릴러 어드벤쳐 영화는

금새 시시한 코믹물로 변해 버렸다. 나는 실실 웃으면서 이참에 철분제를 좀 먹어볼까 생각했다.

 

남편은 셋째를 낳으면 바로 수술을 하겟다고 약속하더니 차일 피일 미루고 있었다.

알고보니 비용이 너무 비싸다는 둥 말도 안되는 소리를 늘어 놓으며 언제부터인가

얘기조차 꺼내지 않고 있는데 이번 기회에 대놓고 외치고 싶다.

 

남편이여.. 하루 빨리 약속 이행하라..

더 이상 스릴과 어드벤쳐가 넘치는 삶은 거부한다.

행복한 성생활을 위해 당신의  실천이 필요하다.

빠른 약속 이행, 부부 행복 보장한다, 보장한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14031/a65/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쉽지는 않구나, 시아버님과 함께 살기.. imagefile [8] 신순화 2013-08-27 27989
16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어머님이 돌아가셨다 imagefile [21] 신순화 2013-08-20 30690
16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네 살, 말이 시가 되고 꽃이 되는 나이 imagefile [17] 신순화 2013-08-13 28952
16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순둥이 둘째의 반란, 이제는 착하지 마라 imagefile [12] 신순화 2013-08-06 29280
16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놀아주기'가 아니라 '그냥 함께 지내기' imagefile [9] 신순화 2013-07-30 21389
16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사연 많은 우리집 설거지 변천사! imagefile [2] 신순화 2013-07-24 19266
16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곰팡이, 습기, 벌레.. 장마철 주택에서 살아남기!! imagefile [1] 신순화 2013-07-16 23490
16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빗속에서 놀아보자! imagefile [4] 신순화 2013-07-08 20020
16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때로 엄마보다 나은 큰 딸.. imagefile [15] 신순화 2013-07-02 21871
16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물맛 내는 데 10년 걸리더라.. imagefile [2] 신순화 2013-06-24 23628
16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돌아보니, 어느새 결혼 11년! imagefile [2] 신순화 2013-06-18 18609
15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눈물많은 아들, 그래도 사랑해! imagefile [7] 신순화 2013-06-11 20346
15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내 슬픔 날려준 막내의 한 마디 imagefile [4] 신순화 2013-06-04 19983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달거리, 너 정말 반갑구나.. imagefile [9] 신순화 2013-05-30 33259
15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가 많이 아프면 어떻게 할래.... imagefile [3] 신순화 2013-05-28 22102
15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쥐야, 쥐야 나와라. imagefile [2] 신순화 2013-05-21 16623
15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1살 아들에게도 엄마 품은 필요하구나.. imagefile [4] 신순화 2013-05-14 22802
15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남편의 지름신, 유죄? 무죄? imagefile [6] 신순화 2013-05-07 25031
15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는 어떻게 글을 배울까? imagefile [2] 신순화 2013-04-30 25339
15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딸네 집은 편하게 오세요. imagefile [11] 신순화 2013-04-23 24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