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뻔하다 느꼈던 말이나 관습이 오히려 지혜가 응축된 '삶의 진리'임을 종종 깨닫습니다.

그 중 유독 자주 들었던 숫자 3.

왜 3일까요? 아이의 탄생을 제대로 축하하는 '백일'(일단 3개월이라 칩시다), 신입 직장인의 수습기간 3개월, 중학교 고등학교는 3년제, 그 옛날 조상들이 치렀다던 '삼년상'(말도 안되는 소리라 외면했던)...

 

아이가 자폐 진단받은 지 2년 6개월입니다. 3년이 다가오는 이 시점에 나는 겨우 정신을 차렸습니다. 그리고 깨달았죠. 이 막막하고도 힘든 '장애'를 온전히 받아들이는데 3년이 걸리는구나. 되돌아보면, 처음 진단받고는 그 충격 속에 일상을 이어가다가, 이래서는 안되겠다 마음을 추스리고는 3개월 후에 회사에 휴직계를 제출했습니다. 역시, 3이군요.

 

회사에서 일을 하지 않는 일상은 고요하고도 혼란스러웠습니다. 삼시세끼 아이와 함께 먹을 밥상 차리는 일도 만만치 않았지요. 그러던 어느날 문득 깨달았습니다. 아이는 낮에도 아무 소리 내지 않는다는 걸. 그리고, 내가 없었던 시간 동안 아이는 혼자 외롭게 자기 세계 속에서 살고 있었다는 걸. 

 

그 동안 많은 일이 있었고, 아이는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흔히 자폐 등 발달장애 아이는 자라지 않는다는 편견이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천천히, 또는 빠르게, 자기 속도대로 자랍니다. 지난 2년 반 동안 그 '성장'을 도우며 배우고 느낀 점을 나누고자 합니다.

 

학령기 어린이 중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수는 미국은 68명당 1명, 세계적으로는 대략 전체 아동의 1%라고 합니다. 그리고 현장에 계신 모든 분들은 그 숫자가 점점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고 얘기합니다. 즉, 자폐를 앓는 아이들은 우리와 함께 살아가야 할 이웃이고, 그 아이들 역시 삶의 의지가 여느 아이들처럼 강하고, 여느 아이들처럼 행복하고 싶어합니다.

 

어느 분야건 첫 3년이 지나야 제 몫을 한다고들 얘기하죠. 자폐스펙트럼 아이 엄마 노릇 이제 3년이 되어갑니다. 작년 베이비트리 편지 공모전에서 과분하게 상을 주셨는데, 그 글에서 결심했듯이 아이와 저는 조금씩 조금씩 창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그 창으로 바라본 세상 얘기를 조금씩 풀어놓을께요. 응원 부탁드립니다... ^^;;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임아가다
다이나믹한 싱글생활을 보내고 느지막히 결혼하여 얻은 아들이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진단받고 생애 가장 큰 절망을 경험했으나, 천천히 나무가 자라듯 성장하는 아이의 모습에 벅찬 환희를 느끼는 일이 더욱 많다. 남과 다른, 심지어 자신과도 다른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매일매일이 도전이고 시행착오이지만, 모든 걸 일상으로 담담히 받아들이면 할만하다는 자신감으로 오늘도 씩씩하게 살고 있다. 말도 많고 오해도 많으나 실제 일상 생활은 알려지지 않은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이야기를 계속 쓰고 싶다.
이메일 : kh.lim0206@gmail.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asdwindow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83464/e70/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12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그래, 아내에게도 친구가 필요해 imagefile [1] 홍창욱 2017-06-06 9512
12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탈장이라서 다행(?)이야 [1] 케이티 2014-07-18 9512
123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너를 사랑하는 만큼 나를 사랑하고 싶다 imagefile [2] 최형주 2017-09-21 9510
12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전업육아 엄마에서 학생 엄마로 [4] 케이티 2015-09-03 9501
121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짝짝이들, 모여! 우리는 KT 가족 imagefile [11] 케이티 2016-08-03 9500
12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 아이와 겨울 방학 생존기 imagefile 신순화 2017-01-18 9469
119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0편] 전업맘이 되어보니 어때? imagefile [1] 지호엄마 2016-12-13 9461
118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매일 먹는 놀이밥 imagefile [8] 서이슬 2018-02-20 9458
11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스마트폰이냐 자전거냐 imagefile 정은주 2017-04-17 9457
116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첫째가 아기가 됐다 imagefile [2] 박수진 2016-12-05 9448
11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두 마음 사이 전쟁 imagefile 강남구 2017-12-01 9420
11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그래도 아이는 자란다 imagefile [8] 정은주 2018-02-19 9406
11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역사를 가르칠 것인가 imagefile [4] 케이티 2015-10-26 9395
11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표선해수욕장에서 연날리기 imagefile 홍창욱 2018-03-12 9393
111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아내가 스페인 여행을 갔다 imagefile [4] hyunbaro 2017-05-19 9379
110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4편] 찬이 엄마~ 땡큐 imagefile [9] 지호엄마 2016-06-01 9350
» [너의 창이 되어줄게] 다시 시작하는 '너의 창이 되어줄께' [12] rashaim74 2015-06-19 9349
10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세상 부러울 것 없는 하루 imagefile [1] 홍창욱 2016-03-02 9328
10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6편] 아... 이 놈의 봄봄봄!!! imagefile [2] 지호엄마 2017-04-04 9316
106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어린 농부의 탄생 imagefile [2] hyunbaro 2017-04-10 9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