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 수유하면 드러눕고 토하는 누나 
엄마와 광화문 주말 나들이로 마음 풀리려나

148034166214_20161129.JPG » “동생 밥 주지 마.” 포효하며 드러누운 큰아이. 큰아이와 나는 ‘무언가’가 되기 위한 번데기의 시간을 보내는 걸까. 박수진 기자
“밖에 나가려고 하니 자꾸 눈물이 나.”

큰아이 눈에 눈물이 맺혔다. 막 낙엽이 떨어지던 때였다.

드디어 시작됐다. 첫째가 어린이집에 가지 않겠다고 떼쓰기 시작했다. 큰아이도 힘들 것이다. 취재 일정이 아침 일찍 잡히는 때를 제외하면 조금 늦은 출근을 할 수 있는 덕에 큰아이는 나와 함께 9시~9시30분쯤 어린이집에 등원해왔다.

그러나 동생이 생긴 뒤부터는 아빠가 출근하는 시간인 8시, 우리 집 기준으로 새벽 댓바람에 집을 나서야 한다. 느긋하게 아침 먹는 여유도, 요즘 최고의 낙으로 떠오른 바다 탐험 만화 ‘××넛’ 한 편 시청도 불가능해졌다. 그림책 <동생이 곧 태어날 거야> 주인공의 질문 ‘엄마, 동생한테 그냥 오지 말라고 하면 안 돼요?’를 이제 온몸으로 이해하는 것 같았다.

두어 번 울고불고 떼쓰더니 전략이 바뀌었는지, 마음이 바뀌었는지 4살이 아니라 14살의 눈빛으로 무장하고 나를 쳐다보며 애절하게 반복했다. “엄마, 밖에 나가려고 하니 자꾸 눈물이 나는 것 같아.”

나는 그 눈빛에 홀랑 넘어가 ‘에라, 모르겠다’의 심정이 됐다. “그래, 그럼 하루 쉬자.” 첫째는 동생이 태어나길 학수고대해왔다. 온 동네에 ‘×월×일에 동생이 태어난다’고 광고해서 놀이터에서 만나는 친구 엄마들, 어린이집 선생님들 모두 둘째의 출산 예정일을 (본의 아니게) 기다렸다. 동생이 태어나 병원과 산후조리원을 거쳐 집으로 돌아온 뒤에는 “동생이 보고 싶어서” 놀이터도 건너뛰고 집으로 왔다. “누나가 얼마나 보고 싶었는 줄 알아?” 같은 닭살 멘트도 날렸다. ‘허니문’은 2주도 채 가지 않았고 첫째는 자기도 동생처럼 어린이집이 아닌 집에 있고 싶은 눈치였다.

어른 하나에 44일 영아와 43개월 유아의 한나절은 44일 영아가 잘 자준 덕에 생각보다 무사했다. 다만, 첫째의 이상행동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는 마치 감시자처럼 나와 아기를 통제했다. 급기야 둘째 밥 먹는 시간까지도. 때가 돼서 수유하려고 하자 “밥 주지 마”를 연발하며 벌렁 드러누워 울어대기 시작했다. “내가 주라고 하면 줘.” 절규했다. 44일 아기도 이에 질세라 ‘밥 먹겠다’고 울어댔다.

새로운 증상도 나타났다. 요구사항을 말하던 첫째가 기침을 콜록콜록하더니 ‘우웩’ 하며 약간의 음식물을 게워냈다. 그리고 말했다. “엄마, 나도 토했어.” 잘 토하는 동생이 부러웠던 것인가. 토할 때마다 닦아주고 등을 토닥여주는 모습이 부러웠을지도. 그렇다고 구토까지 ‘의지’로 해낼 줄이야.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이집 저집 첫째들의 다양한 증상이 생각났다. 어느 집 첫째는 수유 시간마다 옷에 오줌을 싸서 엄마를 혼비백산케 하고, 어느 집 첫째는 원인 모를 통증 호소에 응급실을 밥 먹듯 가고….

아이가 보는 곤충책에는 성충이 되기까지 캄캄한 땅속에서 애벌레와 번데기의 모습으로 1년여를 보내는 곤충들의 한살이가 등장한다. 육아하느라 이 기막힌 시절에 촛불 한번 못 들고 집에 꽉 매여 있는 나도, 새 가족을 받아들이는 일에 즐거움만 있는 게 아니라는 걸 알아가며 몸과 마음을 갈아엎고 있는 큰아이도, 모두 번데기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주말엔 둘째를 맡기고 첫째와 광화문에 나갈 생각이다. 번데기끼리 ‘즐거운 동맹’을 맺는 시간이 되었으면.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는 아이 둘을 키우는 박수진 기자의 육아 칼럼입니다. 

(*이 글은 한겨레21 제1139호(2016.12.5)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박수진
서른여덟에 두 아이의 엄마가 된 뒤 육아휴직 중이다. 선택의 기로에서 갈팡질팡하다가, 결정적 순간에 감정적으로 휙 저지르고 보는 스타일. 일도, 육아도 그렇게 해서 온 식구가 고생하는 건 아닌지 또 고민하는 ‘갈짓자 인생’. 두 아이의 엄마로서, 좋은 기자로서 나를 잃지 않고 행복하고 조화롭게 사는 방법이 있다면 그건 뭘까, 그 길을 찾는 것이 지금의 숙제다.
이메일 : jin21@hani.co.k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677891/194/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12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남편 없으니 집안일이 두 배 imagefile [8] 케이티 2015-06-06 9523
12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그래, 아내에게도 친구가 필요해 imagefile [1] 홍창욱 2017-06-06 9515
12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탈장이라서 다행(?)이야 [1] 케이티 2014-07-18 9514
12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짝짝이들, 모여! 우리는 KT 가족 imagefile [11] 케이티 2016-08-03 9508
121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전업육아 엄마에서 학생 엄마로 [4] 케이티 2015-09-03 9505
12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 아이와 겨울 방학 생존기 imagefile 신순화 2017-01-18 9471
119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매일 먹는 놀이밥 imagefile [8] 서이슬 2018-02-20 9466
118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0편] 전업맘이 되어보니 어때? imagefile [1] 지호엄마 2016-12-13 9464
11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스마트폰이냐 자전거냐 imagefile 정은주 2017-04-17 9458
»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첫째가 아기가 됐다 imagefile [2] 박수진 2016-12-05 9454
11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두 마음 사이 전쟁 imagefile 강남구 2017-12-01 9428
11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그래도 아이는 자란다 imagefile [8] 정은주 2018-02-19 9417
11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표선해수욕장에서 연날리기 imagefile 홍창욱 2018-03-12 9416
11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역사를 가르칠 것인가 imagefile [4] 케이티 2015-10-26 9399
111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아내가 스페인 여행을 갔다 imagefile [4] hyunbaro 2017-05-19 9387
110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4편] 찬이 엄마~ 땡큐 imagefile [9] 지호엄마 2016-06-01 9354
109 [너의 창이 되어줄게] 다시 시작하는 '너의 창이 되어줄께' [12] rashaim74 2015-06-19 9354
10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세상 부러울 것 없는 하루 imagefile [1] 홍창욱 2016-03-02 9333
10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6편] 아... 이 놈의 봄봄봄!!! imagefile [2] 지호엄마 2017-04-04 9322
106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어린 농부의 탄생 imagefile [2] hyunbaro 2017-04-10 9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