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만 둬도 집 안을 놀이방으로 변신시키는 아기용품의 위력

스너그, 부스터, 러닝홈, 바운서, 베이비룸, 힙시트, 아기체육관, 놀이방매트, 알집매트, 슬리핑백, 범퍼침대…. 이 용어들이 외계어로 들린다고? 만일 임신부가 이 글을 읽고 있다면 정신 똑바로 차리기를 당부한다. 나도 임신부 시절 아기용품 목록을 만들다가 현기증이 나다 못해 안 하던 입덧까지 할 뻔했다. 거짓말 안 하고 아기용품 목록으로 이 칼럼을 다 채울 수도 있다. 꼭 필요하다는 용품만 해도 몇십 가지가 된다. 그 용어들 또한 생전 듣도 보도 못한 것이 대부분이라 처음 접했을 땐 마치 내가 간첩이라도 된 기분이었다.
146373299472_20160521.JPG » 심플했던 우리 집 거실이 아이를 낳은 뒤 놀이방으로 변했다. 송채경화 기자
임신 8개월 즈음 나보다 먼저 아기를 낳은 친구가 작성했던 용품 목록을 받았다. 거기서 ‘아기체육관’이라는 단어를 봤는데 순간적으로 머릿속에 떠올린 이미지는 권투장에 있을 법한 ‘사각링’이었다. 아기가 들어가서 운동하라고 작게 만든 미니 사각링이 아닐까 추측했다. (상상력의 빈곤함이여!) 아기용품을 챙겨주던 사촌언니가 “근데, 힙시트는 있니?”라고 물었을 때는 그게 뭔지 한참을 고민했다. ‘hip seat’라는 영어 단어의 조합으로 머리를 굴리다가 “언니, 나 산모방석은 있는데…”라고 대답했다. 힙시트는 엄마의 허리에 둘러 그 위에 아기를 앉힐 수 있도록 만든 아기띠의 한 종류다.

자, 여기까지가 입문 단계다. 용어를 마스터했다면 이제 이것을 어떻게 구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돈이 많으면 그냥 다 사면 된다. 새 물건을 살 돈이 부족하면 중고시장을 알아보는 방법도 있다. 그런데 나처럼 중고시장을 기웃거리기도 귀찮거나 돈이 많이 부족하다면? 인맥을 활용하면 된다. 일단 임신 사실을 만방에 알린 뒤 안 쓰는 물품이 있으면 물려달라고 부탁한다.

나는 이 방법으로 옷과 장난감 등 아기용품의 90% 이상을 얻어 쓰고 있다. 회사 동료, 학교 선후배, 친인척, 동네 친구 등등 평소 연락도 자주 안 하고 지내던 지인들까지 팔 걷어붙이고 도와주었다. 어떤 것들은 다른 집을 두세 바퀴 돌아 우리 집으로 오기도 했다.

물품을 구했다고 끝난 게 아니다. 가장 어려운 단계가 아직 남아 있다. 대체 이 물건들을 집 안 어디에 배치할 것인가! 신혼 초 우리 집 인테리어의 콘셉트는 ‘미니멀리즘을 추구한 모던 스타일’이었다. (어디선가 실소를 터뜨리는 엄마들이 눈에 보인다.) 아기가 태어나고 한참 지난 뒤까지 나는 이 콘셉트를 유지하기 위해 갖은 애를 썼다.

그러나 아기가 본격적으로 기어다니기 시작하자 인테리어 폭탄인 ‘놀이방매트’를 꺼내지 않을 수 없었다. 바닥에 깔기만 해도 자연스럽게 ‘놀이방’으로 변신한다. 이걸 피하고자 많은 엄마들이 알록달록한 놀이방매트 대신 심플한 디자인의 매트를 구매해보지만 그렇다고 한들 ‘놀이방 인테리어’를 피해갈 수는 없다. 매트 위에 아기와 함께 올려진 형형색색의 놀이기구들은 어쩔 건데! 이 글 맨 앞에 적힌 물품들을 그냥 어딘가에 놓기만 해도 집 안의 인테리어는 전혀 모던하지 않게 변한다.

원래 서재였던 방을 아이방으로 꾸며주고 거실까지 놀이방으로 만들어주고 나니 내 공간이 사라져버린 느낌이다. 외출하고 돌아와 현관문을 열면 지저분한 거실 때문에 한숨부터 나온다. (빨리 익숙해지자고 되뇌어보지만 쉽지 않다.) 그래도 다행히 아직 침실만은 아이에게 점령당하지 않았다. 혹시 아이가 놀다 떨어질까봐 침대 프레임을 없애긴 했지만 그럭저럭 신혼 초의 콘셉트를 유지하고 있다. 아이를 재우고 난 뒤 침실에 들어서면 그때부터 진정한 휴식이 시작된다. 아가야, 앞으로도 이곳만은 엄마·아빠를 위해 남겨줄 수 있겠니?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이 글은 한겨레21 제1112호(2016.5.20)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송채경화
결혼 안 한다고 큰 소리치다가 서른넷에 결혼했다. 아이를 안 낳겠다고 떠들다가 결혼한지 1년 만에 아이가 생겼다. ‘평생 자유롭게 살겠다’던 20대의 꿈은 잠시 접어두고 하루하루 모성애를 탐구하며 보내는 서른 여섯 초보 엄마. 2008년 <한겨레>에 입사해 사회부, 정치부를 거쳐 <한겨레21> 정치팀에서 일하다 현재 육아휴직중이다.
이메일 : khsong@hani.co.k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62838/30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33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엄마 미안해, 내 딸들을 더 사랑해서 imagefile [3] 안정숙 2017-12-01 55699
132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세월호와 제주도 그리고 글쓰기 imagefile 안정숙 2017-04-18 34630
131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결국, 사람이더라 사랑이더라 imagefile [2] 안정숙 2017-03-22 37608
130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아이들, 선생님께 상장을 수여하다 imagefile 정은주 2017-01-30 25786
129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지저분해서 좋은 집 imagefile [8] 안정숙 2017-01-13 55792
128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이런 질문하는 내가 싫다 imagefile [9] 안정숙 2017-01-03 55490
127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로이터 사진전] 65살 아빠와 35살 딸의 합작 관람기 imagefile [7] 안정숙 2016-09-21 45782
126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위태로운 아이들, 어떻게 살려낼까 [4] 안정숙 2016-08-03 63246
125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불안하다고 불안해하지 마 imagefile [2] 송채경화 2016-06-10 33964
»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인테리어는 안드로메다로 imagefile [2] 송채경화 2016-05-24 40021
123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육아가 그렇게 힘든가요? imagefile [17] 안정숙 2016-05-03 54287
122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객관성을 상실했다 imagefile [3] 송채경화 2016-01-04 44051
121 [앙큼군과 곰팅맘의 책달리기] 짝퉁 만리장성에서 터닝메카드를 imagefile [2] 권귀순 2015-11-27 55629
120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그렇게 엄마가 되었다 imagefile [3] 송채경화 2015-11-02 45090
119 [너의 창이 되어줄게] 복직, 새로운 시작 imagefile [5] 임경현 2015-10-30 21987
118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세월호 리본 만든 아이 눈에 imagefile [6] 김태규 2015-10-11 28779
11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3살 아들, 죽음을 돌보다 imagefile [4] 신순화 2015-09-23 59894
116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태아 박동, 심쿵 그리고 심란 imagefile [1] 송채경화 2015-09-22 38713
115 [하어영 기자의 철딱서니 없는 육아빠] 초보 아빠, 2차는 없었다 imagefile [1] 하어영 2015-09-17 44507
114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덜컥 임신, 큰 일 났다! imagefile [1] 송채경화 2015-09-17 49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