녀석의 팔꿈치와 어깨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고 여름이 지나갔다. ‘선수 보호차’ 일체의 야구 행위를 금지한 뒤 신기하게도 녀석의 열정은 정상치로 돌아왔다. 거의 중독처럼 매일 보던 야구 경기에 대한 관심도 시들해져 오히려 내가 궁금해 TV를 켜는 날도 생겼다. 이렇게 야구에만 집중되던 녀석의 관심은 이제 축구, 배드민턴, 테니스 등의 다양한 스포츠와 음악회나 체험 행사 등으로 골고루 퍼지고 있다.

 

한글날인 10월9일, 나들이에 나섰다. 목적지는 ‘예쁜 한글 엽서전’이 열리는 청계광장이었다. 버스를 타고 시청 앞에 내리니 한글문화축제도 열리고 있었다. 시청에서 청계광장을 거쳐 내친 김에 광화문 광장으로 향했다. 광장에 들어서자 세월호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노란 풍경이 눈에 들어왔다.

 

녀석은 이따금 TV에서 세월호 뉴스가 나올 때마다 물었다.

“아빠, 아직 찾지 못한 사람이 몇 명이지?”

언제부턴가 나는 기억이 가물가물했다.

“10명인가, 9명인가... 잘 모르겠네.”

 

녀석은 바로 이날, 그 자리에서 정확한 답을 찾았다. 9명. 광화문 광장 초입에 이들의 사진과 사연이 적힌 노란 간판이 있었는데 녀석은 그걸 지나치지 않았다. 아픈 가슴을 추스르고자 휘리릭 훑고 잡아끄는데도 녀석은 움직이지 않았다. 한참을 섰다 앉았다 하며 9명의 사연을 꼼꼼히 읽었다.

 

 12079176_477626409070526_869051446743287328_n.jpg

 

광장에 들어서니 노란 스폰지를 잘게 잘라 리본을 만드는 좌판이 여러 개였다. 스폰지에 본드를 붙여 리본 모양을 만들거나 만들어진 리본에 고리를 다는 작업의 손길이 필요했다. 아이는 작업을 자처했다. 우리 세 식구는 30분 가까이 수북이 쌓인 노란 리본에 고리를 달았다. 그리고 가방에도 달았다. 아이와 함께 나온 여러 가족들이 작업을 함께 도왔다. “가슴이 아프다”며 지나가려는 엄마 아빠를 아이들이 끌었다.

광장을 빠져나오며 아이에게 물었다. 9명 사연을 찬찬히 읽어 보니 기분이 어떠냐고.

“응. 슬퍼.”


12088377_477626552403845_1212773098073472937_n.jpg

 

세상에는 상상 속 린치까지 유발하는 인면수심의 존재들이 많지만... 인지상정과 측은지심, 이런 게 사람의 모습이다. 누구의 강요도 없이 자발적으로 노란색 리본을 만들던 아이들의 작은 손에서 난 성선설의 강력한 근거를 찾았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김태규 기자
서른두살 차이 나는 아들과 마지못해 놀아‘주다가’ 이제는 함께 잘 놀고 있는 한겨레 미디어 전략 담당 기자. 부드럽지만 단호하고 친구 같지만 권위 있는 아빠가 되는 게 꿈이다. 3년 간의 외출을 끝내고 다시 베이비트리로 돌아왔다.
이메일 : dokbul@hani.co.kr      
블로그 : plug.hani.co.kr/dokbul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14001/86b/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33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엄마 미안해, 내 딸들을 더 사랑해서 imagefile [3] 안정숙 2017-12-01 56100
132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세월호와 제주도 그리고 글쓰기 imagefile 안정숙 2017-04-18 34973
131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결국, 사람이더라 사랑이더라 imagefile [2] 안정숙 2017-03-22 37797
130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아이들, 선생님께 상장을 수여하다 imagefile 정은주 2017-01-30 25961
129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지저분해서 좋은 집 imagefile [8] 안정숙 2017-01-13 56142
128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이런 질문하는 내가 싫다 imagefile [9] 안정숙 2017-01-03 55865
127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로이터 사진전] 65살 아빠와 35살 딸의 합작 관람기 imagefile [7] 안정숙 2016-09-21 46001
126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위태로운 아이들, 어떻게 살려낼까 [4] 안정숙 2016-08-03 63609
125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불안하다고 불안해하지 마 imagefile [2] 송채경화 2016-06-10 34170
124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인테리어는 안드로메다로 imagefile [2] 송채경화 2016-05-24 40266
123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육아가 그렇게 힘든가요? imagefile [17] 안정숙 2016-05-03 54598
122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객관성을 상실했다 imagefile [3] 송채경화 2016-01-04 44347
121 [앙큼군과 곰팅맘의 책달리기] 짝퉁 만리장성에서 터닝메카드를 imagefile [2] 권귀순 2015-11-27 55900
120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그렇게 엄마가 되었다 imagefile [3] 송채경화 2015-11-02 45322
119 [너의 창이 되어줄게] 복직, 새로운 시작 imagefile [5] 임경현 2015-10-30 22096
»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세월호 리본 만든 아이 눈에 imagefile [6] 김태규 2015-10-11 28902
11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3살 아들, 죽음을 돌보다 imagefile [4] 신순화 2015-09-23 60288
116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태아 박동, 심쿵 그리고 심란 imagefile [1] 송채경화 2015-09-22 38978
115 [하어영 기자의 철딱서니 없는 육아빠] 초보 아빠, 2차는 없었다 imagefile [1] 하어영 2015-09-17 44753
114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덜컥 임신, 큰 일 났다! imagefile [1] 송채경화 2015-09-17 49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