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 xcm, 세로 xcm. 뽀뇨네 집에는 아주 작은 밥상이 있다.

에게, 무슨 식탁이 이렇게 작아라고 생각이 들었는데

, 찌개, 밑반찬, 금방 만든 반찬, 과일 샐러드를 한 상에 놓을 수 있다.

결혼하며 장만한 식탁은 여러 가지 집기가 올려져 있다가

이사를 앞둔 며칠 전 결국 다른 집으로 입양갔다.

 

남편들은 결혼하며 부엌 식탁에 아침상이 가득 차려질 것이라는 환상을 가지고 있다.

나 또한 마찬가지였는데 서울 생활하며 아내도 나도 새벽같이 출근하고 밤늦게 퇴근하다보니

이 식탁은 거의 쓸모가 없었다.

아침은 학원 근처 사내 식당에서 간단히 해결하고 저녁도 개별적으로 먹고 들어오다보니

 부엌식탁 가득은 드라마의 일이 되어버렸다.

 

제주에 내려와서 처음에 적응이 안된 것은 밥 먹을 시간이 충분히 보장된다는 것이었다.

아침을 든든히 먹고, 걸어서 10분이면 충분히 출근하고

저녁 6시에 칼퇴근하여 걸어서 6시 반이면 식사를 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제주였다.

제주이주 후 막 출산을 앞둔 아내와 아주 작은 밥상을 두고 옥신각신했는데

아내는 우리집은 오늘부터 이 밥상에서 먹을 거에요. 찬은 딱 3가지 알았죠?”라고 통보했고,

나는 아무리 그래도 밥상이 너무 작은거 아니에요?”라고 맞받아쳤다.

 

상에 올라가는 밑반찬도 전라도와 경상도를 합쳐놓았는데

나는 어느 곳이든 맛있게 먹었지만

입이 짧은 아내는 경상도 시어머니가 만든 반찬을 전혀 먹지 못하였고

전라도 엄마가 만든 반찬,

그것도 갓 무친 김치만을 맛있게 먹었다.

 

아내와 결혼을 한지 6년차, 밥상 차려달라고 하는 남편은 간 큰 남자라고 하는데

나는 전생에 나라를 몇 번씩이나 구했는지 아내가 차려준 밥상을 매일 맛있게 먹고 있다.

남편의 당연한 권리라기보다는 아내가 나를 극진하게 생각하는구나라는 것을

매일 매일 절로 느낄 수 있어서 참 고맙다.

 

이사 가기 전에 냉장고에 차있는 음식을 다 해결해야 해요

 

라고 이야기를 하지만 요즘 하루가 다르게 반찬 가지 수가 늘어나고 있다 보니

내가 이렇게 대접을 받아도 될까싶다.

 

아내가 처음에 말한 찬 3가지에는 김치와 계란후라이, 밑반찬이 들어갈 수 있는데

어제 저녁에 밥상에 올라간 찬이 무려 7가지.

무엇이 아내를 이렇게 만들었는지 잘 모르겠다.

 

아내는 현재 만삭의 몸이고 가끔 학생들을 가르쳐야 하며 이삿짐도 싸고 뽀뇨도 돌봐야 한다.

남편은 요즘 일이 잘 되는 건지 밖에서 머무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다.

자연스럽게 현관문을 열고 아빠 일 다녀올께요”, “아빠 다녀왔어요라고

얘기하는 횟수도 늘어나고,

점점 우리는 다소 특이한 가족에서 보통가족(맞는 표현인지 모르겠다)’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듯하다.

 

아내는 내가 밥을 먹을 때 뽀뇨를 함께 불러서

뽀뇨, 가족이 식사를 할 때는 밥을 다 먹었더라도 옆에서 항상 있어줘야 해라고 이야기를 해준다.

생각해보면 지난 10년간 서울생활하며 혼자 밥 먹었을 때가 얼마나 많았는지.

앞에 아무도 없는 자리에 앉아 퍼슥한 식판의 밥을 입안으로 우겨넣는 그 밥맛엔

고독이 철철 넘쳐흘렀다.

 

아빠’, ‘남편이라는 위치가 아직도 익숙하지 않는 ’.

배부른 고민이자 가진 자의 오만이라고

다른 아빠, 남편들은 뭐라 할지 모르겠지만

그 자리가 참 부담스럽다.

배려로 생각하고 고마워하면 그만이겠지만 박목월의 가족같은 시가 생각나고

밥심으로 더 열심히 일해야 하지 않을까싶다.

 

우리 가족은 출발부터 보통가족과는 달랐다.

주례 없는 결혼식이며 아빠가 준비한 돌잔치며 아빠육아에 육아가 가능한 직장구하기까지..

현재도 보통가족으로 돌아갈 생각은 추호도 없지만

아내의 밥상만큼은 나를 아빠/남편의 자리로 소환한다.

이러한 긴장관계는 일단 맛있게 먹고 살찐 돼지가 되어 고민하리라.

 

<나라를 구한 남편의 밥상. 다과상 같은 밥상에서 점점 더 커진다 ^^;>

아내의 밥상.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44195/ea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9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엄마와 아내 사이, 남편이 편든 탓에... imagefile [5] 홍창욱 2014-08-07 18393
9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할머니 싫어’병에 명약은 이것 imagefile 홍창욱 2014-07-25 13317
9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다섯달, 기러기아빠의 종착역 imagefile [2] 홍창욱 2014-07-10 23133
9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경상도 사위의 전라도 처가 방문기2 imagefile 홍창욱 2014-06-27 13290
9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경상도 사위의 전라도 처가 방문기1 imagefile [6] 홍창욱 2014-06-19 20391
9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나의 두번째 인생을 열어준 둘째 아이 홍창욱 2014-05-21 9893
9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외롭고 긴 터널을 걷다 imagefile [4] 홍창욱 2014-05-08 10722
9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예정일 지나 7일째, 둘째의 첫 세상여행 imagefile [2] 홍창욱 2014-04-08 20690
8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기러기아빠의 게스트하우스 여행기 imagefile [9] 홍창욱 2014-03-20 26268
8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기러기아빠, 속빈 강정을 채우기 imagefile 홍창욱 2014-03-20 10418
8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내 없는 일주일, 외식 외식 외식.... imagefile 홍창욱 2014-03-01 18804
8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내 없이 살아가기1 imagefile 홍창욱 2014-02-18 19505
8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48시간 안방 감금, 아내의 포고령 imagefile [4] 홍창욱 2014-01-29 21794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전생에 나라를 구한 남편의 밥상 imagefile [4] 홍창욱 2014-01-17 33183
8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만삭 아내의 새 화장대 imagefile [6] 홍창욱 2014-01-03 31364
8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소심한 아빠여, 아이에게 자유를 허하라 imagefile [7] 홍창욱 2013-12-19 16154
8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보다 남자친구가 좋아? imagefile [1] 홍창욱 2013-12-09 20463
8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3600원짜리 주말여행 imagefile 홍창욱 2013-11-28 23240
7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뽀뇨와 하나사이, 첫째와 둘째의 차이 imagefile [4] 홍창욱 2013-11-17 18179
7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어젯밤 침대에서 일어난 격투(?) imagefile [2] 홍창욱 2013-11-06 2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