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1494451930944-8998635c2123.jpg

<사진출처 unsplash> 

육아서를 읽거나 다른 엄마들과 손을 맞잡고 다시는 그러지 말자는 다짐을 주고받은 뒤면 하루나 이틀 정도 웃는 얼굴로 친절하게아이를 대했지만, 일정한 순간이 되면 어김없이 소리를 지르고 화를 냈다. 이것은 내게 엄청난 스트레스 요인이 됐다. 내가 나를 자제하지 못한다는 것. 그렇게 많은 책을 보고, 그렇게 많은 강연을 듣고, 그렇게 수없이 다짐을 했는데도 내가 나를 억제하지 못한다는 것. 그것은 나에 대한 자괴감과 열등감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감정의 수렁에 빠지자 못된 습성은 더욱 기승을 부렸다. 육아서 읽기와 교육 강연 순례하기, 동료 엄마들과 다짐 주고받기 의식에 매진하기 전보다 더 빈번하게 불을 내뿜게 되었던 것이다.

혹시 나는 쓰레기인 것일까?

이 시기 마음속에 맺힌 내 이미지는 쓰레기였다. 엄마면서 애들에게 사랑을 주기는커녕 툭하면 소리나 질러대고, 울면서 아이들을 탓하는 못나고 멍청한 인간. 그렇다고 돈을 왕따시만큼 벌어오는 워킹맘도 아닌 주제에(당시 번역 일로 적지 않은 액수의 수입을 올리고 있었지만 출퇴근할 장소도, 누군가에게 일하는 엄마임을 증명할 재직증명서도 내놓을 수 없는 나를 스스로 어정쩡한 위치에 자리매김해두고 경시하고 있었다) 살림도, 육아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못난이. 한마디로 뭐 하나 잘하는 게 없이 불평만 많은 인간이었던 것이다.


이 시기에는 주로 엄마 스스로 행복해져야 함을 설파하는 책들을 읽었다. 신의진의 나는 아이보다 나를 더 사랑한다, 슈테파니 슈나이더의 행복한 엄마가 행복한 아이를 만든다와 같이 아이를 제대로 키워내기 위해서는 엄마가 먼저 행복해야 함을 강조하는 책들이었다.

엄마가 아이보다 자신을 더 사랑해야 한다는, 행복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설파하는 책들을 읽으면서 얼마나 막막했던가. 얼마나 답답했던가. 눈물이 나고 뭔가 말하고 싶었지만, 다른 인생 과정에서 그러했듯 당시 나는 그 책들을 읽고 내가 진짜 느낀 게 무엇인지 알지 못했다. 타인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기 위해 행복해야 한다는, 의무로 다가오는 행복이 얼마나 억압적인 것인지를 그때는 인식해서 말로 풀어낼 수 없었다. 그냥 행복해야겠다고, 내가 행복하지 않아서 우리 아이들이 행복하지 않은가 보다고 습관처럼 죄책감을 느끼며 자책을 해댔다. 이 글을 쓰면서 이 시기에 만났던 책들을 다시 읽어보았다. 놀랍게도 그 책들은 지금 내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들과 맞닿아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당시 상황상 나를 더 사랑하는 삶을 살 수 없었던 내게는 책 속에 나오는 말들이 모두 허황한 말처럼, 빛 좋은 개살구처럼 느껴져서 그저 행복해야 한다는 또 하나의 의무로만 다가왔다.


그렇다면 행복의 의무를 설파하는 그 책들을 읽으면서 나쁜 엄마라는 열등감과 죄책감에 더해 행복해야 한다는 의무감까지 갖게 된 나는 당시 어떻게 대응했던가? 술을 마셨다. 사방에서 황량한 모래바람이 불어오던 그 시기에, 나는 술을 마셨다.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와 이제 걸음마를 떼고 왕성한 호기심으로 온 집 안을 헤집고 다니는 아이 둘을 허덕이며 건사하고 어깨가 축 처질 즈음이면 황혼이 왔고, 황혼이 왔다는 건 이제 그날의 가장 크고 무거운 과제인 저녁밥 차리기에 돌입해야 한다는 소리였다. 아침과 점심은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대충 먹고 지나갈 수 있어도, 저녁은 반드시 제대로 영양가가 들어간 밥상을 차려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저녁 할 시간이 돌아오는 건 어마어마한 스트레스였다. 쳇바퀴 돌듯 반복되는 일과를 보낸 뒤 저녁을 하려다 말고 부엌에 서서 냉장고에 남아 있던 매취순을 컵에 따라 마신 게 발단이었다. 빈속에 달큰하고 새콤한 술이 들어가자 싸하게 위장이 불타올랐다. 술기운이 저릿하게 몸으로 퍼져나가자, 저녁을 짓는 일이 갑자기 별거 아닌 일처럼 느껴졌다. 까짓 밥, 하면 되지! 별거야? 까짓 국, 끓이면 되지! 몇 가지 뚝딱뚝딱 썰기만 하면 되잖아? 그게 뭐라고! 밥 짓는 과정이 껌 씹듯 손쉽게 느껴졌다. 알딸딸하게 취기가 오르자 아이들이 그렇게 귀엽고 사랑스럽게 느껴질 수가 없었다. 평소 같으면 귀찮게 여겨졌을 말과 행동들도 아이답기 그지없는 순수함으로 다가왔다. 저녁을 해결하고 나면 어김없이 닥쳐오는 잔일들, 산더미처럼 쌓인 설거지와 아이들을 씻기고 재우는 일도 다 사소하게 느껴졌다. 그렇게 술의 힘으로 저녁 시간을 버티고 나자 다음 날에도 한잔, 그다음 날에도 한잔 마시게 되었고, 술의 향연은 매일매일 나 자신에게 내리는 위로와 격려의 의례로 자리 잡기에 이르렀다. 

....................................................................................................................................

*그동안 베이비트리에 연재했던 내용과 그 뒷이야기를 묶어서 <엄마의 독서>라는 제목의 책으로 엮어냈습니다. 이후로는 <엄마의 독서> 출간 후에 읽은 책들, 일상의 이야기들을 가지고 시즌2로 돌아오겠습니다. 그동안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엄마의독서북토크330x120.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정아은
헤드헌터, 번역가, 소설가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며 살아왔지만 저의 제1 정체성은 언제나 ‘엄마'였습니다. 엄마 경력 12년에 접어들던 어느날, 좋은 엄마가 되겠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너무 아등바등 살아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지요. 그때부터 이 글을 쓰기 시작했고, 연재 글을 바탕으로 에세이 <엄마의 독서>를 펴냈습니다. 2013년 < 모던 하트 >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했고, 이후 장편소설 < 잠실동 사람들 >, < 맨얼굴의 사랑 >을 펴냈습니다.
이메일 : emma750322@hanmail.net      
블로그 : http://blog.naver.com/emma1027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68383/21d/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3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집에서 노는 엄마는 없다-낸시 폴브레 <보이지 않는 가슴> imagefile [1] 정아은 2018-09-30 13015
12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형제는 원래 사이좋게 태어나지 않았다- 프랭크 설로웨이 <타고난 반항아> imagefile [3] 정아은 2018-03-22 11720
»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행복해야 한다는 또 하나의 의무 - 슈테파니 슈나이더, 《행복한 엄마가 행복한 아이를 만든다》 imagefile 정아은 2018-02-01 9023
10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육아서를 읽으면 좋은 엄마가 될 수 있을까 - 서형숙 《엄마학교》 imagefile [1] 정아은 2018-01-18 11173
9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가능과 불가능의 사이에서: 두 아이의 엄마 imagefile [2] 정아은 2018-01-11 10827
8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펼치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되는 어린이책들 - 마쓰이 다다시 《어린이와 그림책》 imagefile [4] 정아은 2018-01-04 11884
7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시시포스가 되어 날마다 산을 오르다: 엄마의 탄생 imagefile [1] 정아은 2017-12-28 10939
6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정신 차리고 너부터 고쳐! - 엘리자베트 바댕테르 《남과 여》 imagefile [1] 정아은 2017-12-21 12042
5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너는 ‘그나마 나은 편’이라고?: 결혼이라는 통과의례 imagefile [4] 정아은 2017-12-14 10759
4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 박완서 《엄마의 말뚝》 imagefile 정아은 2017-12-11 8490
3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왜 창남은 없는가 - 니키 로버츠 《역사 속의 매춘부들》 imagefile [3] 정아은 2017-12-07 18155
2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투명 인간의 발견: 사회라는 그 낯선 세계 imagefile [3] 정아은 2017-12-04 10479
1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엄마라는 이름의 속살 imagefile 정아은 2017-11-30 26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