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온날.jpg

 

자고 일어났더니 눈세상이었다.

"얘들아, 일어나봐, 엄청 눈이 많이 왔어!!"

이불속에서 꾸물거리는 애들은 놔두고 나 혼자 신이 나서 마당을 돌아다녔다.

이 나이가 들어도 눈 내린 아침은 이렇게 설렌다.

그러나...

음...

애들, 학교는 어떻게 가나.

눈 덮고 있는 차를 흘깃 보니 눈 치우는게 더 귀찮다. 차의 눈이야 금방 치우지만

언덕길 눈은 또 어떻게 하나. 간신히 나가도 올라오는 건 무리겠지.

그래, 그래, 걸어가자.

걸어가는거야.

 

마침 날도 그닥 춥지 않고 눈은 폭신 폭신 젖은 눈이다.

이런 날은 신나게 눈 속을 걸어야지.

 

눈 온날2.jpg

 

모자에 목도리에 장갑에 부츠까지 단단히 챙겨 입고 눈이 계속 내리고 있으니까

우산도 쓰고 두 딸과 집을 나섰다.

태어난지 한달이 지난 복실이 새끼 강아지들이 달려와 안긴다.

눈 내린날 제일 신난것은 아이들과 강아지구나..

 

눈 온날3.jpg

 

지나가는 차도 드믈지만 걷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눈이 얼굴로 쏟아져 내려서 이룸이는 자꾸만 얼굴을 손으로 훔치면서도

눈구경 하느라 고개를 가만히 두지 못했다.

윤정이는 열심히 발자국을 만들며 걷는 일이 즐거워 보였다.

아아.. 정말 겨울이구나.

눈 내리는 겨울..

이렇게 걸어갈 날들이 많겠구나.

괜히 힘이 불끈 난다.

 

"얘들아, 이런 노래 아니?

 

하얀 눈위에 구두 발자국

바둑이도 같이 간 구두 발자국

누가 누가 새벽길 떠나갔나

외로운 산길에 구두 발자국"

 

내가 목청껏 부르자 윤정이가 알은체를 한다.

"엄마. 바둑이 말고, 도토리로 해 주세요"

복실이가 낳은 네마리 새끼중에 윤정이가 이름 지은 강아지가 도토리다.

 

"그래, 그래..

 

하얀 눈위에 윤정이 발자국

도토리도 같이간 장화 발자국

누가 누가 등교길 걸어갔나

이쁜 윤정 이룸이, 엄마 딸이지"

 

애들이 좋아했다. 나도 웃었다.

눈 내린 날은 나도 아이가 된다. 이게 참 좋다.

 

눈 온날5.jpg

 

지난 밤 몸이 뜨겁고 기침하며 보채던 이룸이였다.

오늘 유치원을 쉬게 해야 하나.. 고민했었는데 눈 내린 마당을 보더니

유치원에 가서 친구들과 눈 싸움 해야 한다며 여벌 바지와 옷을 챙겨 달란다.

이마를 짚어보니 서늘하다. 콧물은 여전하지만 그래, 걸어가보자.

 

감기 걸리면 찬바람은 쐬지 말고 집에서만 지내라고 쉽게 충고들 하지만

이 집에 사는 동안 경험한 바로는 감기 들었을때에도 바깥 바람을 쏘이며

적당한 외부 활동을 하는 것이 회복이 빨랐다.

 

물론 너무 아프면 곤란하지만 콜록 거리면서도 아이들은 뛰어 놀고

찬 바람속을 돌아다니며 즐거워 한다.

몸을 낫게 하는 것은 약이 아니다. 기대하고 즐거운 기분이다.

눈 속에서 친구들과 놀 생각으로 두근거리는 마음, 신나는 기분

그런 기분이 몸을 일으킨다. 감기를 이기게 한다.

 

이룸이는 어린 날 나 처럼 볼을 빨갛게 하고 눈 속을 열심히 걸어갔다.

호드득 호드득 눈을 밟으며 신이 나서 걸어갔다.

 

두 아이를 교실에 넣어 주고 딸들 우산까지 챙겨 다시 돌아왔다.

 

눈 온날4.jpg

 

잠시 눈보라 그치고 햇살 비치자 갈치 저수지 풍경이 그림처럼 환했다.

내가 사는 그 마을이 맞는 건가.. 휘둥그래져서 나는 눈 쌓인 저수지의 풍경에

매혹당한다.

 

눈은 지금도 내리고 또 내린다.

차는 아무래도 오늘 종일 마당에서 꼼짝도 안 할 것 같다.

오후에는 다시 걸어서 아이들을 마중가야지. 돌아올때는 마을버스를 탈 수 있을지도 몰라.

 

눈 속에 파묻힌 집에서 혼자 먹을 점심을 궁리하며 행복하다.

점심 먹고 반납할 책을 베낭에 잔뜩 넣고서 뒷산길을 너머 도서관에도 들러야지.

이렇게 눈 오신 날은 눈 속을 많이 많이 걸어다니는거다.

 

나는 다시 대책없이 철 없는 아이가 된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24917/cd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9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물맛 내는 데 10년 걸리더라.. imagefile [2] 신순화 2013-06-24 23626
28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이 집 나갔다, 얼쑤 신난다!! imagefile [10] 신순화 2014-02-11 23615
28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언덕 위 마당 넓은 집이 기적처럼 imagefile 신순화 2010-12-07 23576
28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첫 제주 가족여행, 아뿔사... 망했다 imagefile [6] 신순화 2012-06-19 23516
28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곰팡이, 습기, 벌레.. 장마철 주택에서 살아남기!! imagefile [1] 신순화 2013-07-16 23484
28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가족끼리 상장, 상상 그 이상 imagefile [11] 신순화 2015-01-07 23462
28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멕고나걸 교수의 주름에서 배우는 것들 imagefile [8] 신순화 2016-12-01 23213
28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산타할아버지 때문에 아들과 대판 싸운 날.. imagefile [9] 신순화 2013-09-03 23155
28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이룸이 이야기 imagefile 신순화 2010-05-30 23150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줌마, 철없는 아이 되다 imagefile [3] 신순화 2015-12-03 23023
28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남편과 말다툼 뒤 아들의 말 한마디 imagefile [20] 신순화 2014-03-12 22982
27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1살 아들에게도 엄마 품은 필요하구나.. imagefile [4] 신순화 2013-05-14 22797
27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짜장로드'를 아시나요? imagefile [4] 신순화 2013-02-05 22654
27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부모가 공부해야, 자식도 공부한다!! imagefile [10] 신순화 2012-09-18 22491
27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0대 길목, 딸 변신은 무죄 imagefile [10] 신순화 2016-02-19 22304
27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또 잃어 버렸다, 지갑!! imagefile [1] 신순화 2012-09-04 22197
27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부모 보낸 자식, 자식 앞세운 부모 imagefile [3] 신순화 2014-05-12 22114
27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가 많이 아프면 어떻게 할래.... imagefile [3] 신순화 2013-05-28 22098
27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삭발 미수, 그리고 또 다른 음모 imagefile [2] 신순화 2015-11-20 21970
27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여기까지 오는 길도 정말 멀었다 imagefile [9] 신순화 2013-10-01 2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