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규 4.jpg

 

언제나 제일 커 보이는 것... 이게 큰 아이의 운명이다.

네살 막내는 아직도 물고 빨아야 할 이쁜 애기지만, 둘째가 네살일때 막내를 낳고보니

네살 아이는 다 큰 아이로 여겨졌다. 그래서 '너 혼자 해' 를 달고 살았다.

둘째가 이 정도니 여덟살 큰 아이는 당연히 이제 엄마가 안 도와줘도 되는 아이로 느껴졌다.

모든 관심이 늘 제일 어린 막내에게 향했기 때문이다.

 

돌이켜보면 갓 태어난 막내 때문에 입학후 첫 등교부터 동네 엄마들과 함께

해야 했던 큰 아이의 마음은 늘 허전했을 것이다. 그래서 자주 떼를 쓰고 나를 힘들게 했다.

마음이 읽혀도 당장 내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는 일 때문에 큰 아이의 응석을 받아줄

여유가 없었다. 그때부터 큰 아이랑 관계가 힘들어졌는지도 모른다.

 

초등 2학년까지 일반학교를 다니고 3학년부터 대안학교로 옮긴 후에는

학교가 편해졌으니 아이도 훨씬 더 편해지지 않을까... 내심 기대했었다.

적어도 학교에 안 간다는 말로 싸우는 일은 없어졌지만 큰 아이는 늘 나를 찾았다.

눈만 마주치면 안아달라, 뽀뽀해 달라 조르곤 했다.

동생들만 이뻐한다고, 자기는 안 사랑한다고 삐지곤 했다.

그럴때마다 아니라고, 너도 사랑한다고 말을 해도 큰 아이는 잘 믿지 않는 눈치였다.

그러면 왜 어린 동생들만 더 많이 안아주냐고 따지곤 했다.

 

늘 답답했다.

이제 저만큼 컸는데 엄마보다는 친구가 더 좋을 나이인데 아직도

안아달라 뽀뽀해달라고 조를까.  둘째가 태어나기 전까지 만 4년을 그렇게

물고 빨고 하며 키웠는데 이젠 동생들 차례인 것 뿐인데 왜 그걸 몰라줄까 생각했다.

그래서 큰 아이는 늘 '나를 힘들게 하는 아이'라는 느낌이 컸다.

몸은 점점 크는데 기어코 내 무릎에 올라타서 안아 달라고 조르는 큰 아이가

때로는 밉기도 했다. 막내와의 스킨쉽은 아무렇지 않고 좋은데

내 키만큼 큰 큰 아이가 입술을 내밀고 내 가슴에 얼굴을 비벼대는 것은

편하지 않았다. 나이가 들었으니 이젠 좀 다른 방식으로 사랑을 표현할 수 없을까..

그런 생각만 했다.

 

주변 엄마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하면 동생들이 많아서 오히려 더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고, 큰 아이도 더 자주 먼저 안아주고 부벼주고 해 달라고

큰 아이 마음 이해할 수 있다는 반응이 많았다.

내가 새 집에서 할 일이 얼마나 많은데, 큰 아이한테도 할만큼 하는 걸 몰라서

하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늘 큰 아이에게 충분히 하고 있다고 여겼던 것이다.

 

그런데 한달에 한번씩 있는 큰 아이 학교 반모임에서 담임선생님에게

깜짝 놀랄 이야기를 들었다. 큰 아이는 '늘 사람을 그리워 하는 아이'라는 것이다.

남자인 담임선생님에게 제일 많이 안기고 부벼대는 것도 필규란다. 그런데

늘 선뜻 먼저 다가가지 못하고 그 마음을 알아줘야 와서 안긴다는 것이다.

이 말을 듣던 여러 반 엄마들이 필규가 엄마를 늘 그리워 한다고

동생들에 비해 제가 덜 사랑받는 듯이 느끼는 것 같다는 말을 해 주었다.

 

가슴이 쿵 내려앉았다.

필규는 여전히 내 손길에 허기가 져 있었던 것이다.

나는 그냥 습관처럼 매달리고 조르는 것처럼 여겼는데 큰 아이에게는 아직도

내 품이, 내 손길이, 저를 보듬어 주고 품어주는 내 사랑이 부족했던 모양이다.

열한살이라고 다 큰 것이 아니다. 첫 아이라고 엄마품이 덜 그리운 것도 아니다.

오히려 여전히 엄마 품을 파고드는 어린 동생들과 함께 지내는 일이

엄마를 더 그립게 했는지도 모른다.

안아달라, 뽀뽀해달라고 매달리는 것이 나를 힘들게 하는 큰 아이의 투정이 아니라

늘 진심으로 나를 원하는 외침이었던 것이다.

 

비슷한 일로 큰 아이와 갈등을 겪었던 한 엄마가 조언을 해 주었다.

일주일에 하루를 큰 아이만을 위한 날로 정해 그 날은 엄마가 큰 아이방에가서

단 둘이 자라는 것이다. 그렇게 했더니 큰 아이와 관계가 아주 좋아졌단다.

그렇게 할 수 도 있구나. 왜 그런 생각을 못 해 봤을까.

막내 젖을 뗀지도 몇 달 되었는데, 이제 막내는 아빠와도 잘 자는데

진작에 큰 아이와 단 둘이 잘 생각을 해 볼것을...

 

집으로 돌아와서 큰 아이와 얘기를 했다. 매주 토요일은 내가 큰 아이와 단 둘이

큰 아이 방에서 자기로 했더니 너무 좋아한다.

그날도 일찍 잠든 막내를 살그머니 남편이 있는 침대로 옮겨놓고 양쪽에

큰 아이와 둘째를 껴안고 잤다.

 

아이가 사랑받는다는 느낌은 전적으로 아이 입장에서 채워져야 하는게 맞다.

나는 충분히 사랑해주고 있다고 해도 아이가 여전히 허기져 있다면 다시 돌아봐야 한다.

그동안 큰 아이랑 제일 다툼이 많았는데 마음 속에 늘 엄마가 고픈 상태였으니

나와 관계가 편할리 없었음을 이제서야 깨달았다.

안아달라 뽀뽀해달라는 말도 중학교 들어가면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는데

그렇다면 내가 이렇게 큰 아이를 품어 볼 수 있는 날도 길지 않다는 뜻이구나.

 

늘 다 큰 아이처럼 밀어내고 야단치고 기대했던 것이

아직도 큰 아이를 내게 더 매달리고 허기지게 했었구나. 충분하게 듬뿍 채워주지도 않고

이제 다 먹었으니 상에서 일어나라고 등만 떠밀었구나...

 

이제 두 여동생이 엄마와 떨어져도 잘 자고 아빠와도 잘 지내니

정말 열심히 아들과 단 둘이 외출하고 잠 자고 숙덕거리고 킬킬거리는 시간들을

만들어 봐야겠다.

 

이 나이가 되어도 늘 엄마가 그리운데 11살 아이에게 어른처럼 굴라고 했었다니..

엄마는 늘 이렇게 실수하고 다시 깨우치며 또 배우는 존재란다. 아들아..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08832/1f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9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물맛 내는 데 10년 걸리더라.. imagefile [2] 신순화 2013-06-24 23626
28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이 집 나갔다, 얼쑤 신난다!! imagefile [10] 신순화 2014-02-11 23613
28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언덕 위 마당 넓은 집이 기적처럼 imagefile 신순화 2010-12-07 23574
28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첫 제주 가족여행, 아뿔사... 망했다 imagefile [6] 신순화 2012-06-19 23515
28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곰팡이, 습기, 벌레.. 장마철 주택에서 살아남기!! imagefile [1] 신순화 2013-07-16 23483
28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가족끼리 상장, 상상 그 이상 imagefile [11] 신순화 2015-01-07 23460
28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멕고나걸 교수의 주름에서 배우는 것들 imagefile [8] 신순화 2016-12-01 23212
28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산타할아버지 때문에 아들과 대판 싸운 날.. imagefile [9] 신순화 2013-09-03 23154
28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이룸이 이야기 imagefile 신순화 2010-05-30 23148
28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줌마, 철없는 아이 되다 imagefile [3] 신순화 2015-12-03 23021
28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남편과 말다툼 뒤 아들의 말 한마디 imagefile [20] 신순화 2014-03-12 22980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1살 아들에게도 엄마 품은 필요하구나.. imagefile [4] 신순화 2013-05-14 22796
27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짜장로드'를 아시나요? imagefile [4] 신순화 2013-02-05 22654
27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부모가 공부해야, 자식도 공부한다!! imagefile [10] 신순화 2012-09-18 22490
27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0대 길목, 딸 변신은 무죄 imagefile [10] 신순화 2016-02-19 22303
27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또 잃어 버렸다, 지갑!! imagefile [1] 신순화 2012-09-04 22193
27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부모 보낸 자식, 자식 앞세운 부모 imagefile [3] 신순화 2014-05-12 22112
27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가 많이 아프면 어떻게 할래.... imagefile [3] 신순화 2013-05-28 22097
27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삭발 미수, 그리고 또 다른 음모 imagefile [2] 신순화 2015-11-20 21966
27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여기까지 오는 길도 정말 멀었다 imagefile [9] 신순화 2013-10-01 21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