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ce73ed6a68a23ba884547698b434b7.인류학자(!)인 나는 모든 의사소통을 쌍자음으로만 한다는 ‘쌍자음의 세계’에 현지조사를 나와 있다. 이름은 소율이지만, 집에서는 ‘율뽕’으로 통하는 아이의 집에 머물게 되었다. ‘소율아~’라고 ‘부르면 들은 체 만 체 하지만, ‘율!’ 이라고 부르면 고개가 자동으로 돌아간다. 과연 듣던 대로 쌍자음의 세계로다.



우선, 먹는 문제. 율뽕이는 먹는 걸 밝힌다.(밥), , 등 쌍자음로 된 주식과 된소리화된 후식-과(사과), 기, 박(수박), 토(토마토), 나나(바나나)를 먹고 산다. 율뽕이네는 ‘일단, 잘 먹고 보자’는 철학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집에 비해 엥겔지수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재밌는 것은 애나 어른이나 서로 많이 먹으려고 경쟁을 한다는 점, 그리고 신기한 것은 외할머니, 엄마, 율뽕이로 이어지는 모계 3대의 식성 싱크로율이 90% 에 육박한다는 사실이다. <당신이 먹는 게 3대를 간다>는 책도 나왔는데, 이는 율뽕이네에서 완벽히 증명되고 있었다.



먹었으니 이제 싸는 문제를 살펴보자. 모든 아이가 그렇듯, 율뽕이도 ‘똥’을 좋아한다. 자기가 눈 똥을 보고 배꼽을 잡고 자지러지게 웃는다. 자기 똥에만 집착하는 게 아니다. 엄마, 아빠가 화장실을 갈 때도 꼭 따라와 화장실 문턱에 앉아서 놀거나 변기 앞에 앉아서 놀아야 직성이 풀린다. 그러다 보니 이 집에서는 도저히 프라이버시라는 게 없다. 가장 은밀하고 개인적인 작업조차 모두 오픈해야 한다. 처음에는 뭐 이런 희한한 집이 다 있나 싶었는데, 지금은 적응이 되었는지 밖에 나가서도 화장실 문을 닫으면 답답하고 이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



율뽕이 부모는 ‘뭐든지 때가 되면 한다, 억지로 시키지 말자’는 철학을 가지고 대소변 훈련을 시키지 않고 있다. 그래서 27개월이 되도록 율뽕이는 아직 대소변을 가리지 못한다. 하지만, 어느날부터 똥을 누고는 엄마나 아빠에게 가서 기저귀를 가리키며, ‘똥똥’이라고 말하면서 사후조치를 요구한다. 최근에는 사전 변의를 느끼기 시작했는지, 잘 놀다가 갑자기 엄마, 아빠에게 가서 ‘똥똥’이라고 말하기 시작했다. 과연 조만간 스스로 변기에 앉게 될 날이 올까?



ca1f905280ffe28a20971384e22eb840.다음은 사회성. 율뽕이는 남자를 밝히는 경향이 있다. 남녀노소, 대체로 낯을 안 가리고 누구에게든 잘 가서 팍팍 안기지만, 특히 남자들에게 먼저 반응하고 애교를 떠는 경향이 있다. 사람들은 벌써부터 지 엄마를 닮아서 남자를 밝힌다고 하지만, 인류학자인 내가 관찰한 바로는 남자들을 부르는 호칭, 오, 삼, 아, 아저, 할아버지(하라) 에 쌍자음(센소리)가 들어가기 때문이 아닐까 판단된다.



율뽕이는 빵빵(자동차)을 좋아한다. 사람들은 여자 애가 자동차를 좋아한다고 신기해 하지만, 율뽕이 입장에서는 자동차를 좋아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 놓여있다. 율뽕이 부모는 장난감을 사주지 않고 사람들에게 얻어서 쓰는데, 우연히 자동차가 압도적으로 많았을 뿐이다. 단 예외적으로 아직 뽀로로 비디오, 뽀로로 장난감 등 뽀로로의 세례를 받지 않았음에도, 가끔 밖에서 ‘뽀로로’를 만나면 반가운 척 하는 걸 보면, 뽀로로는 한 눈에도 반할 수밖에 없는 정말 치명적 매력을 가졌나 보다.



이렇게 율뽕이네 모든 의사소통에는 쌍자음이 들어간다. 이 맘때 아이들이 센소리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옷을 입거나, 신발을 신거나, 똥을 눌 때는 ‘끙’이라고 하고 다 했을 때는 '되따(됐다)'라고 한다. 기분이 좋을 때는 ‘까꿍, 따꿍, 라꿍’ 등 꿍이라는 말을 붙이며 놀고, 괜히 심심할 때는 ‘뽕뽀로뽕뽕~!!’하면, 율뽕이가 ‘뽕뽕!!’이라고 화답한다. 가끔 ‘띠띠꿍’, ‘랄라뽕따이’, ‘빵꾸똥꾸’라는 말을 쓰는데, 이 말들은 주로 호칭이나 대명사로 쓰이지만,  감탄사, 형용사 등으로 품사 변용이 너무 버라이어티해서, 아직 일정한 룰을 발견하지 못했다. 어쨌든 지금까지 쌍자음은 율뽕이네 가족을 경쾌하고 신나게 만드는 중요한 포인트임에는 틀림없다. 그런데 최근에 반갑지 않은 새로운 쌍자음의 세계에 입문했다. 어떤 노력에도 타협과 소통이 안 되는 상황, 바로 새로운 쌍자음  ‘쓰기의 세계’다.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된 '떼쓰기'는 본 인류학자의 지상 최대의 연구과제가 될 전망이다.



c2d0f2a1ba5c179b01862dd2432a7488.나는 다시 공부를 한다면 문화인류학을 했을 거란 이야기를 하고 다닌 적이 있다. 그 이유는 낯선 세계에 대한 무한한 호기심과 탐구심, 역마살 등등 때문에 문화인류학이 딱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화인류학을 공부하기 위해 비싼 등록금 내고 대학에 갈 필요 없이, 아기를 낳고 자동적으로 인류학자가 되어 버렸다! 그것도 육아라는 낯선 세계의 현지조사부터 하고 있다. 생각해보라! 엄마라는 존재처럼 한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생애사적으로 연구하는 인류학자가 또 있을까? 다만, 어쩌다 현지조사를 나오긴 나왔는데, 인류학적 훈련이 덜 되었다는 점이 문제다. 인류학자란 현지인(아기)의 관점을 주요한 가치를 인정하고, 관찰하고 듣는 능력이 우선인데, 자주 이 사실을 망각하고 내 관점과 입장이 앞선다. 특히 아이가 떼를 쓸때 그렇다.



인류학자의 현지조사에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문화가 충돌하기 마련이고, 이로 인해 각종 오해와 혼란이 일어난다. 육아의 세계가 딱 그렇다. 이 세계에 입문한 이상 충돌과 혼란은 통과의례, 아니 필수다. 다만 인류학자가 그러하듯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으로 자기 주장과 개입을 줄이고, 상대방을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대하고자 할 때, 그 충돌과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장마가 시작되었다.  비가 오면 유난히 센티멘탈해지는 나와 밖에 못 나가서 본격적인 떼쓰기가 시작된 아기 ‘율뽕’이와의 잦은 충돌이 예상된다. 아무리 쌍자음의 세계에 살고 있지만, 내 입에서 진짜 쌍자음 나오는 일이 없어야겠지.ㅋㅋㅋ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김연희
30대 중반, 뒤늦게 남편을 만났다. 덜컥 생긴 아기 덕분에 근사한 연애와 결혼식은 건너뛰고, 아이 아빠와 전격 육아공동체를 결성해 살고 있다. '부자 아빠=좋은 아빠', '육아=돈'이 되어버린 세상에 쥐뿔도 없으면서 아이를 만났고, 어쩔 수 없이 '돈 없이 아기 키우는 신세'가 되었다. 처음엔 돈이 없어 선택한 가난한 육아였지만, 신기하게도 그 경험을 통해 가족, 친구, 이웃과의 관계를 풍요롭게 만들어가고 있다. 더불어 몸의 본능적인 감각에 어렴풋이 눈을 뜨 고 있으며, 지구에 민폐를 덜 끼치는 생활, 마을공동체에 재미를 들여가고 있는 중이다.
이메일 : tomato_@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slowlife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20191/395/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39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베이비시터와의 만남, 이별 그리고 또 만남 imagefile 양선아 2011-07-01 26769
38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야구장에 나타난 귀인 imagefile [4] 김태규 2015-06-29 26759
37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드디어 알아낸 아들 약점 imagefile [4] 김태규 2015-06-07 26654
» [김연희의 태평육아] ‘쌍자음’의 세계 imagefile 김연희 2011-06-24 26599
35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엄마라는 이름의 속살 imagefile 정아은 2017-11-30 26441
34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7편] 체육이 사라지고 있다 imagefile [3] 지호엄마 2018-04-19 26163
33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소년, 야구인생 최대 위기 imagefile [3] 김태규 2015-08-07 26042
32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육아가 어렵나, 육아일기가 어렵나 imagefile 김태규 2011-04-25 25987
31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남편의 ‘엄마~’센서 imagefile 김은형 2010-08-31 25970
3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는 ‘전천후 종합 예능인’ imagefile 신순화 2010-09-14 25965
29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떳떳한 남자 image [2] 김외현 2012-06-18 25808
28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진짜 궁금할 이야기, 지금부터 시작~ imagefile [4] 임지선 2013-06-12 25369
27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불청객이 왔다, 나에게도 imagefile 김은형 2010-06-25 24926
26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짬짬육아 시즌2를 시작하며 [3] 김태규 2015-05-26 24734
25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아이가 잠든 사이 `드라마 감성충전' imagefile [9] 양선아 2011-11-30 23608
24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겪지 않아도 될 일, 겪어야만 하는 일 image [1] 김외현 2012-07-02 23489
23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만두달”이라는 딸이 준 선물, 동심 imagefile 양선아 2010-12-03 22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