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075173_P_0 copy.jpg » 한겨레 사진 자료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케이티를 아직 한 번도 보지 못한 우리 외할매.

아흔의 우리 외할매. 

우리 외할매가, 떠난다. 

둥둥, 바람에 날려, 한 줌 먼지가 되어, 떠난다. 


우리 가족을 통틀어 내가 가장 좋아했던 사람.  

내 힘들었던 유년기, 수 십 통의 '연애편지'로 소식을 전하며 내게 위로가 되어 주었던 사람. 

부지런하고 섬세한 손놀림을 가졌던 사람. 

그 손놀림으로 덧신부터 원피스, 커튼까지 모두 손뜨개로 만들어 주변 사람들과 나누었던 사람. 

너무도 많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던 사람. 

그래서 내 이야기의 원천, 내 생애 최고의 이야기꾼이었던 사람. 


일제 시대에 여학교를 다녀 본래 이름 대신 '고가네 요시꼬'라는 창씨개명한 이름으로 살아야 했던 여자. 위안부 징집을 피해 도망쳐야 했던 여자.  

전쟁통에 첫 남편과 헤어져 끝끝내 남자의 생사도 모르고 살아야 했던 여자. 

피난길에 등에 업힌 갓난 아이가 죽은 줄도 모르고 있다 뒤늦게 발견해 울며 강가에 아이를 묻고 돌아서야 했던 여자. 

휴전 후 혼란기에 만난 두번째 남편도 갑자기 세상을 떠나 혼자 아이 셋을 키워내야 했던 여자. 

여자 혼자 아이 셋 데리고 할 수 있는 일이 없어 고아원, 보육원을 전전하며 내 아이를 전쟁 고아들과 함께 키워야 했던, 그래서 고아들이 내 아이인지 내 아이가 고아인지 그저 다같이 품어 키워야 했던 여자. 


그런 사람이, 간다. 

먼지가 되어, 둥둥. 


너무 멀리 있어 발 동동 구르며 울고만 있을 막내 외손녀를 위해, 

오래전 여읜 두번째 남편 옆에 묻히기보단 바람결에 흩날리길 원했나보다. 

바람 타고 둥둥, 한번도 와 본 적 없는 이 미국 땅까지 날려와 내 볼에, 내 손에 

그 내음, 그 체온, 그 손길 한번 전해주고 가려고. 내 아이 재롱 한번 보고 가려고. 


당신 떠나면 내가 제일 많이 울 거라며, 내 새끼 내 강아지 막내 외손녀가 제일 많이 울 거라며 

입버릇처럼 말하던 우리 외할매. 그걸 알아서, 마지막 가는 길엔 외손녀 꿈에도 들르지 않고 그렇게 훌쩍 가버렸나보다. 가족에게조차도 민폐 끼치는 일 같은 건 없어야 한다고 믿었던 우리 할매, 의식 잃어 '때가 되었다'는 의사들 말에 응급실, 중환자실을 거쳐 일반 병실로 옮겨진 지 30여 분 만에 편안히 눈을 감았다는 우리 할매. 그 마지막 순간에 그녀를 편안하게 만들어 준 기억은 과연 언젯적, 어떤 기억이었을까. 나는 아직 다 못 들은 이야기가 많은데, 그 많은 이야기를 지고서 둥둥, 내게로 건너오는 중일까. 


기어이 오고 만 이 순간이, 

나는 못내 원망스럽다. 

이럴 줄 어렴풋이 알고 있었으면서도, 내 생애 처음 맞는 영원한 이별의 순간을 

어떻게 매듭지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

엉엉, 소리내어 울다가도 아이가 곁에 와 재롱을 부리면 피식, 웃게 되는, 

아이가 있어 밥도 먹어야 하고 기저귀도 갈아야 하고 노래하고 춤추며 놀기도 해야 하는 이 일상 속에서 나는 갈피를 잡을 수가 없다. 


엄마가 된 막내 손녀가 할매를 떠나 보내는 일.. 참 쉬운 일이 아니다. 다음 세대를 낳아 기르고 있으니 앞선 세대를 기꺼이 보내줘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우리 모두 '태어나 살고 죽는' 인간의 삶을 살고 있음을, 그래서 할매가 가고 나도 언젠가 가고 내 아이도 언젠가 가리란 걸 알면서도, 나는 지금 이 순간이 어렵고 힘들다. 여기 멀리 앉아 울다 웃다 하며 글로 할매를 떠나보내는 의식을 치르고 있는 이 순간이, 너무나도 어렵고 힘이 든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서이슬
'활동가-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다. 막연했던 그 꿈에 한발 더 가까워진 것은 운명처럼 태어난 나의 아이 덕분이다. 아이와 함께 태어난 희소질환 클리펠-트리나니 증후군(Klippel-Trenaunay Syndrome)의 약자 KT(케이티)를 필명으로 삼아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라는 제목의 연재글을 썼다. 새로운 연재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은 아이책, 어른책을 번갈아 읽으며 아이와 우리 가족을 둘러싼 세계를 들여다보는 작업이다. 내 아이 뿐 아니라 모든 아이들을 함께 잘 키워내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되는 글과 삶을 꾸려내고 싶다.
이메일 : alyseul@gmail.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alyson0215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246224/e8b/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18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싸워도 괜찮아 imagefile [1] 신순화 2018-08-13 9962
18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서울 살이 끝 집 imagefile [4] 최형주 2015-11-12 9952
18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이 온다 imagefile [2] 신순화 2018-03-28 9951
18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날로그 육아, 시즌1끝 시즌2 시작합니다! imagefile [5] 윤영희 2016-09-28 9951
18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귀한 웃음 imagefile [1] 최형주 2015-09-06 9942
180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마리아 몬테소리 읽기] 2. 이유 없는 행동은 없다 imagefile [1] 케이티 2016-09-05 9929
17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달콤 달콤, 아들과의 데이트 imagefile [2] 신순화 2018-08-31 9916
178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5월에 피는 소금꽃 [4] 서이슬 2018-04-30 9912
17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당 미용실 imagefile [4] 신순화 2018-08-20 9910
176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우리 균도, 우리 케이티 imagefile [8] 케이티 2015-03-22 9902
175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째째~! (내가 내가~!) imagefile [1] 최형주 2014-11-20 9899
17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돌을 좋아하는 딸들에게 image [1] 신순화 2017-12-20 9866
17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평범한 날'이 가장 '빛나는 날'이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04-04 9866
17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학교 가는 길 imagefile 신순화 2017-06-28 9861
171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6편] 호떡의 신분상승~ imagefile [9] 지호엄마 2018-02-02 9860
»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먼지가 되어, 떠난다.. 우리 할매가. imagefile [18] 케이티 2014-10-06 9847
169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다시, 꽃들에게 희망을 imagefile [1] 정은주 2018-08-28 9843
168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또 하나의 소셜마더링, 아동전문병원 image [8] 케이티 2016-04-03 9836
16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더 키워봐야 안다 imagefile [2] 신순화 2017-07-19 9829
16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앗! 이 소리는? imagefile 최형주 2015-01-09 9828